[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행복의 길, 호생관 최북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행복의 길, 호생관 최북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20-06-05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권력과 부, 명예로부터 자기 자신을 지켜내기는 참으로 어렵다. 동서고금이 다르지 않다. 세속의 끊임없는 달콤한 유혹에서 벗어나기가 만만치 않다. 가치 있는 일을 하지 말란 말이 아니다. 셋 중 하나를 가진 자가 다른 것을 탐하면 타락이라 한다. 요즈음 연일 인구에 회자 되는 주인공들을 살펴보면 이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다. 명예를 얻은 자가 권력이나 부를 탐하여 벌어진 촌극이다.

성공이란 무엇일까? 웃음 가득한 삶이요, 진선미를 아는 일이다. 상호 존중하며 사랑할 가족과 이웃이 있는 것이다. 거기에 자신이 좋아하는 일과 함께한다면 더 바랄 게 무엇이랴?

조선 시대 스스로 명인이라 자부하던 최북(崔北, 1712 ~ 1786?)이란 화가가 있었다. 취명거사(醉暝居士) 장승업(張承業)이나 취옹(?翁) 김명국(金明國)에 버금가는 애주가였다. 돈이 되는 것은 모두 가져다주고 술을 마셨다. 성격이 괴팍하기는 따를 자가 없었다. 기이한 행동 때문에 광생(狂生)으로 지목되기도 하고, 주광화사(酒狂畵師)로 불리기도 했다.

최북의 일생을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3.30. ~ 1890.7.29. 네덜란드 화가)가 보기라도 한 것일까? 작가관, 자해, 자살 등 서로 닮은 점이 많다. 고흐는 기독교 선교 사업할 때 모든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일생 빈곤 속에 살아갔다. 절망 속에 예술을 통해 인류에게 위안을 주는 것이 자신의 소명이라 생각한다. 생전에 1400여 작품 중 1점이 팔릴 정도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자신만의 미적 언어를 찾아내 훗날 만천하에 명성을 떨친다. 고갱과 함께 생활하던 중 격정을 못 이겨 왼쪽 귀 일부를 자른다. 권총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



최북 스스로 지은 호가 호생관(毫生館)이다. '붓으로 사는 집'이라는 뜻이다. 신분 차별이 극심하던 당시에 직업 화가, 나아가 전업 작가임을 천명한 것이다. 도화서 화원은 그림 그리며 생활을 보장받는다. 창작활동에 방해될 것을 우려해, 알면서도 그를 거부한다. 자유로운 영혼이다. 남들이 노심초사 탐하던 왕실 광대가 되기 싫었던 모양이다. 평양, 동래 등 전국을 떠돌며 그림을 팔아 연명했다.

최북은 한쪽 눈이 없는 애꾸다. 실명하게 된 사유가 놀랍기 그지없다. 지체 높은 벼슬아치가 그림을 그려 달라 요구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겁박했다. 최북은 노여워하며 "남이 나를 저버리는 게 아니라, 내 눈이 나를 저버리는구나"라고 말하고는 스스로 눈을 찔렀다. 이한철(希園 李漢喆, 1808 ~ ?, 조선 화가)이 그린 최북의 초상화에 의하면 오른쪽 눈이다. 화가로서 가장 치명적인 눈을 자해하며 저항한 것이다. 강요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 흥이 나지 않으면 붓을 잡지 않았다. 마음이 내키지 않으면 그리지 않았다. 쉽사리 세상과 타협하지 않았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자신이 그린 그림에 대한 평가도 철저했다. 다다익선(多多益善)이 아니다. 무조건 값을 많이 쳐준다고 달가워하지 않았다. 마음에 들지 않는 작품에 과하게 돈을 주면, 돈을 집어 던지고 문밖으로 내쫓았다. 손가락질하며 "저런 놈들은 그림값도 모른단 말이야"하고 비웃었다 한다. 일부를 받고 나머지는 돌려주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자신이 흡족해하는 그림에 돈을 적게 내면, 그림을 찢어 버렸다. 화내고 욕하기도 했다.

하루는 왕족인 서평공자(西平公子) 이요(李橈, 선조의 고손)와 내기 바둑을 두었다. 거금 일백 냥을 걸었다. 바둑을 지게 된 서평공자가 한 수 물리자고 하자 바둑알을 쓸어 버리고 "바둑이란 본래 놀자고 두는 건데, 만약 물러 주기만 한다면 죽을 때까지 한 판도 끝내지 못하겠구려"라며 물러앉았다 한다. 다시는 그와 바둑을 두지 않았다. 처세가 아니라 동등한 친구로 대한 것이다.

스스로 명인이라 자부했다. 금강산 구룡연에 갔을 때 일이다. 금강산의 빼어난 절경과 술에 취해 웃다가 통곡하기를 반복하더니 "천하 명인 최북이 천하 명산에서 죽는다"하고는 몸을 날려 못에 뛰어들었다. 감히 화폭에 옮길 수조차 없는 천하명승, 그것을 본 것으로 여한이 없다, 생각한 것일까? 그대로 간직한 채 이승을 하직하고 싶었을까? 다행히 구해 준 사람이 있어 미수에 그쳤지만 말이다.

그림
최북(崔北), 풍설야귀인도(風雪夜歸人圖), 종이에 수묵담채, 66.3×42.9㎝,간송미술관
화가는 초상화로 자신을 만나지만, 모든 작품에 작가 내면의 치열한 고뇌가 담긴다. 그림은 풍설야귀인도(風雪夜歸人圖)이다. 깊은 산중에 눈보라 치는 겨울밤 귀가하는 나그네 모습을 그린 지두화(指頭畵)이다. 붓이 아닌 손가락으로 그린 그림이다. 눈 덮인 산과 계곡에 강풍이 휘몰아친다. 유장경(劉長卿, 725? ~ 791?, 중국 당나라 시인)의 시에서 화제를 가져왔다 하나, 어떤 시구(詩句) 못지않게 스산한 느낌이 절로 강렬하다. 오싹할 정도이다. 놀란 개가 사립문 밖으로 쫓아 나와 마구 짖어 댄다. 작가의 거침없이 자유분방한 성품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다른 미사여구가 필요치 않다. 눈보라가 제아무리 거세고 개가 사납게 짖어도 가야 할 곳으로 가야만 하는 것이 인생이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교원임용시험 합격 응원해요" 공주대 사범대 응원 간식 선물
  2. 천안법원, 억대의 짝퉁 명품 판매한 일당 징역형
  3. 천안법원, 경찰관에게 대변 던진 40대 중국인 '징역 1년'
  4. 충남창경센터, 창업기업 글로벌 진출 발판 마련
  5. 한기대, 독일·프랑스 전문가 초청 '국제 직업교육훈련 콘퍼런스' 개최
  1. 순천향대천안병원, 홍성군 결성면 주민 대상 건강영향조사 실시
  2. 천안동남서,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 운영
  3. 천안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도상훈련 실시
  4. 천안시건강가정지원센터, '도담누리 놀이활동가 워크숍' 진행
  5. 우승 겨냥한 한화이글스 응원전 대전이 '들썩'…야구장에 7천명 운집

헤드라인 뉴스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대전시는 한화이글스의 한국시리즈 진출을 축하하고 시민과 함께 승리를 기원하기 위해 26일 1차전을 시작으로 원정경기마다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한화이글스 승리기원 응원전'을 개최한다. 25일 시에 따르면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대규모 응원 축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경기장 내 대형 전광판을 통해 한국시리즈 경기를 생중계하며, 시민들은 선착순 무료입장으로 한화이글스의 선전을 함께 응원할 수 있다. 대전시는 이번 응원전을 통해 한화이글스를 중심으로 지역의 정체성과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경기장 인근 상권 활성화 등 지역경제에도 활력..

대전 평균 외식비 여전히 고가... "점심 사먹기 부담스럽네"
대전 평균 외식비 여전히 고가... "점심 사먹기 부담스럽네"

대전 평균 외식비용이 여전히 고가에 머물고 있다. 김치찌개 백반은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비싼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은 전국에서 높은 가격으로 순위권에 올라있다. 2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9월 기준 대전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1만 200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비싸다. 김치찌개 백반은 점심시간 직장인 등이 가장 많이 찾는 음식으로, 1만원 한 장으로 점심을 해결하기 어렵다. 대전 김치찌개 백반은 1년 전(9700원)과 비교하면 5.1% 오른 수준이다. 점심 단골 메뉴인 비빔밥 역시 1만..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 백화점인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계룡건설이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계룡건설은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지난 8월 낙찰했다. 금액은 401억 원으로 2024년 5월 공매가 진행된 이후 1년 3개월 만에 낙찰을 받았다. 세이백화점 탄방점은 33회 유찰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으며, 매각가도 올해 7월 공매 최저입찰가(1278억 원)와 비교해 877억 원 줄었다. 세이백화점은 2022년 5월 대형 백화점과의 경쟁과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매출 감소를 이기지 못하고 자산관리회사인 투게더투자운용과 매각을 위한 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