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일 교육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온라인을 통한 지식 전달을 넘어 아이들이 배움을 통해 성장하고, 더불어 사는 공동체 의식을 기르기 위해서 같은 공간에서 또래 친구, 선생님과 대면 수업을 통해 경험하는 소통과 교감이 절실하다"며 "가정에서의 원격수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격차는 또 다른 고민이 될 수 있기에 등교 수업이라는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앞서 교육부는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세 달여간 등교 개학을 미루다가 지난달 20일부터 순차적 등교 수업을 시작한 바 있다.
청원인은 지난 4월 24일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되거나 백신이 개발될 때까지 등교 수업을 연기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글을 올렸고 한 달 이내 25만 5333명이 동의했다.
유 부총리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학업과 일상, 방역 모두 지켜나가기 위해 어려움과 불편함을 감수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님, 선생님, 그리고 국민 모든 분께 송구스러운 마음과 감사의 말씀 드린다"며 "앞으로도 교사, 학생, 학부모 등 현장 목소를리 반영해 계속해서 보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 부총리는 "학교는 가지 못해도 배움은 멈출 수 없다는 각오로 교육 역사상 처음 온라인 개학을 실시했다"며 "교육부와 교육청 그리고 학교는 학생의 학업과 일상, 방역 세 가지 모두를 지킬 수 있는, 새로운 공부 방법, 새로운 학교 방역체계를 만들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등교 수업을 결정한 이유와 관련 사회, 정서적 발달과 성장에 대해 강조한 뒤 학교 현장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도 설명했다.
유 부총리는 "'등교수업 지원의 달' 동안 학교 현장에 부담이 되는 것들은 과감하게 축소하거나 폐지하고 있다"며 "올해 예정된 교육부 종합감사를 취소하고 행정업무를 축소하고, 학교스포츠클럽 축전 등 대규모 행사도 열지 않기로 했다. 이 밖에 학교 현장에 부담이 되는 교육부의 추진 사업 또한 축소 조정하겠다"고 전했다. 전유진 기자 brightbb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