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사랑과 나눔’ 실천으로 찾은 평화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사랑과 나눔’ 실천으로 찾은 평화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UPI사업단장

  • 승인 2020-07-20 14:48
  • 신문게재 2020-07-21 19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RUPI 사업단장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UPI사업단장
매일 밝은 아침을 품을 수 있어 행복하고 아직 꿈이 있어 행복하고 자그마한 사랑을 베풀 수 있어 행복하다. 살아보니, 마음은 평화롭지만 몸이 아픈가 하면 몸은 멀쩡한데 마음이 다람쥐 쳇바퀴 돌듯 정신 차리기 어려운 날들이 많다. 여러분은 몸과 마음이 모두 평화로운 날이 일 년 중 며칠이나 되는지 궁금하다. "언제쯤 나만의 고요하고 평온한 시간을 온전히 가질 수 있을까?" 생각할 때마다 한숨이 나온다. 하지만 이미 평화는 슬며시 내 안에 찾아와 자리했는데 그런 줄도 모르고 평화를 찾아 사방을 헤매고 있는 것은 아닌지. 나 하나만의 평화를 갈구하기에 그런 것은 아닌지.

둘러보면, 실제로 체감할 수 없지만 많은 사람이 전쟁과 폭력, 기아와 빈곤을 넘어 심각한 환경과 생태 위협적인 현실 속에서 살고 있다. 더 이상 어느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생존의 위기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이 대표적 사례다. 지구는 인류 공동의 집이다. 오늘날 세상의 어둡고 끔찍한 불행의 원인은 우리가 생명 경시와 사랑과 나눔 부재 속에서 살아온 까닭에 있다. 그러면 그 해결책은 무엇일까. 당연히 생명 존중 및 사랑과 나눔의 실천이다. 가지고 있는 물질적인 것을 베풀고 개개인의 시간과 재능을 나누면 된다. 악과 무질서로 흐르는 악습을 끊고, 그 희생을 이웃과 나누는 삶의 변화가 행복한 지구공동체로 가는 지름길이다.



최근에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을 지켜보면서 많은 사람이 그동안의 인간적 가치와 자아 정체성에서 큰 혼란을 빚고 있다. 나 역시 무척 혼란스럽다. 왜 사안에 따라 도덕적 가치 기준이 자기 입맛대로 왔다 갔다 하는지 도통 이해할 수 없다. 그것이야말로 전형적인 '내로남불' 아닌가. 나보다는 상대방을 먼저 배려하고 "내 탓이오"를 용감하게 외칠 수 있는 마음 자세가 필요하다. 하루빨리 평화를 찾아 제 자리로 돌아오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평화롭기 위해선 우선 미움, 다툼, 분열이 없어야 한다. 또한 의혹과 그릇됨, 절망을 믿음과 진리, 희망으로 바꿔야 하며 어둠과 슬픔을 빛과 기쁨으로 이겨내야 한다. 그리고 끊임없이 이웃을 위로하고 이해하며 사랑을 나눠야 한다. 그런데 이게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용서와 일치는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어느 집단에 가나 자기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서로 생각이 다르고 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틀린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를 뿐인데도. 그런데 그 상대방을 험담하고 미워하면 내 맘은 편해지는가. 절대 아니다. 그렇게 할수록 평화는 점점 멀어져 간다.



내 마음의 평화를 위해서라도 남을 미워하며 시기하고 질투해선 안 된다. 그리고 나 혼자 잘 먹고 잘 살아서도 안 된다. 나눔은 누군가를 돕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영육(靈肉) 간에 자기 자신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하는 것임을 잊어선 안 된다. 많이 가졌다고 나누는 것이 아니다. 기부를 받으며 근근이 살아가는 지구촌 반대편의 빈곤한 마을 주민의 감사 인사는 너무도 소박하다. 단지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어서"라거나 "물을 기르지 않고 학교에 갈 수 있어서"란다. 우리에겐 사소하기 그지없는 일들이 그들에겐 가장 큰 행복이 된다. 이런 소중하고 아름다운 나눔이 모여 '이 세상 모든 것이 하나'라는 소중한 진리를 깨닫게 해 준다.

매일 새벽길을 걷다 보면 내 숨소리에 감사하다. 커다란 머그잔에 담긴 커피 향처럼 향기로운 아침이 행복하다. 녹슬어가는 인생에 사랑받는 축복으로 고마운 사람과 함께하는 음악이 흐르는 하루하루가 감사할 따름이다. 행복은 자신을 돌보는 사람만이 가질 수 있기에 지극히 이기적이다. 스스로 행복하지 않으면 아무도 도울 수 없지 않겠는가. 또한 행복은 그냥 주어지는 행운의 복권이 아니다. 부지런히 노력하고 연습해야만 얻을 수 있는 열매다. 따라서 행복은 좋은 습관이다. 아는 길이 편하고 가던 길을 또 가듯, 살아가는 동안 몸과 마음에 살포시 베이는 향기처럼. 날마다 하나씩 더해가는 익숙함이 곧 행복으로 승화한다. 오늘 하루도 안부를 전할 그대가 있어 감사하고 행복하다.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UPI사업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2.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3.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4.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5.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1.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2.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3.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4. 코레일, 겨울철 한파.폭설 대비 안전대책 본격 가동
  5.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