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거래 확산 속 고령자들은 웁니다

  • 경제/과학
  • 유통/쇼핑

비대면 거래 확산 속 고령자들은 웁니다

한국소비자원 65세 이상 고령소비자 300명 대상 설문조사
키오스크 난이도 75.5%, 복잡한 단계, 버튼 찾기 등 어려워
키오스크 경험없는 고령소비자 주문실패 등 심리적 부담커
대형마트 제외 극장, 교통시설 등 전담직원 상주 없어 불편

  • 승인 2020-09-09 16:10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GettyImages-jv11349405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로 비대면 거래가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 속에서 키오스크 및 전자상거래 이용과 관련해 고령자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1년간 비대면 거래 경험이 있는 서울 거주 65세 이상 고령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이 결과 전자상거래와 터치스크린 방식의 무인단말기 키오스크를 모두 이용해 본 소비자는 41.4%였다. 키오스크만 이용한 소비자는 40.3%, 전자상거래만 이용한 소비자는 18.3%였다.



전자상거래 경험이 있는 고령소비자는 컴퓨터보다 스마트폰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고, 전자상거래 난이도는 평균 65.3점으로 평가했다. 이는 100점 만점 기준으로 100점에 가까울수록 매우 쉽다를 의미한다.

이용 단계별로 고령소비자가 느끼는 난이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회원 가입 및 로그인 58.5점, 포인트 적립 및 쿠폰 사용 63.5점, 결제 65점, 쇼핑사이트와 앱 찾기 및 설치 66.3점 순으로 평가했다.



키오스크 이용 경험이 있는 고령소비자 245명을 대상으로 업종별 키오스크 이용 난이도를 평가한 결과, 평균 75.5점으로 전자상거래보다 조금 더 쉽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유통점포 71.9점, 병원 73.9점, 외식업 74.6점, 대중교통 74.7점, 문화시설 78.8점, 관공서 79.5점 순이다.

키오스크 이용 중 불편한 이유로는 복잡한 단계 51.4%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 단계 버튼을 찾기 어려움 51%, 뒷사람 눈치가 보임 49%, 글씨와 그림이 잘 안 보임 44.1% 등이 뒤를 이었다.

대형마트내 호출버튼
대형마트 내 키오스크 관련 직원 호출벨.
한편 키오스크 이용 경험이 없는 65세 이상 고령소비자 10명을 대상으로 버스터미널, 패스트푸드점, 은행의 키오스크 이용 모습을 관찰한 결과, 영문 등 익숙하지 않은 용어나 초성검색 등 조작방식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또 키오스크 이용 중 시간 지연, 주문 실패 등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의 경우 과반수의 고령소비자가 영문으로 표기된 메뉴명이나 햄버거, 세트, 디저트 등 익숙하지 않은 메뉴 분류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70세 이상 고령소비자 5명 모두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이용 도중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해 주문을 완료하지 못했다.

키오스크 사용이 활발한 교통시설, 대형마트, 극장, 외식 점포 등 4개 업종의 총 30개 매장에 대해 키오스크 운영 상황을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는 전담 직원이 상주하고 키오스크 직원 호출 버튼이 있어 고령소비자의 사용을 보조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었다.

그러나 나머지 3개 업종의 24개 매장은 전담 직원이 상주한 곳은 패스트푸드점 1곳에 불과했고, 직원 호출 벨은 교통시설 1곳에만 설치돼 있었다.

전체 키오스크 사용법을 게시한 곳은 9곳뿐이었는데, 음성안내를 제공한 매장은 16곳에 불과했고, 고령자용 화면을 제공하는 곳은 1곳도 없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사업자에게 제공해 키오스크 운영 개선을 유도하고, 관련 부처에 '공공 단말기 접근성 가이드라인'에 고령자용 화면 제공 조항 신설과 원활히 조작할 수 있는 버튼 크기를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할 것으로 건의할 계획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4.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5.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1.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2.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