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발 집단감염으로 멜론 수확 물건너 가나

  • 전국
  • 부여군

카자흐스탄 발 집단감염으로 멜론 수확 물건너 가나

부여, 긴급 재난지원금으로 지역경제 숨통 트였지만, 하우스 농가는 외국인 인력 없어 '발 동동'...멜론 작황 좋지만 노동력 없어 제때 수확 어려워

  • 승인 2021-08-24 14:11
  • 수정 2021-08-24 14:12
  • 신문게재 2021-08-25 13면
  • 김기태 기자김기태 기자
멜론
김기태 기자
부여군의 한 멜론하우스 농장에서 시작된 코로나19 집단감염의 전파 속도가 빨라지면서 하우스 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16일 하우스에서 카자흐스탄 4명과 내국인 1명이 확진된 후 이 여파로 일주일 만에 30명으로 늘었다. 내국인이 19명, 카자흐스탄 노동자 10명, 태국인 1명으로 당분간 감염자는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카자흐스탄 외국인 4명은 8월 초 논산시에 거주하는 자국인 출신 근로자와 서울 여행 후 감염된 것으로 방역당국은 추정했다.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외국인 노동자들의 입국이 줄어든 상황에서 코로나19가 하우스에서 전파됐다는 소문이 돌면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하우스 일을 기피하고 있다. 당장 수확을 앞둔 멜론 농가에 불똥이 떨어졌다.

예전에 비해 작황이 좋아 일찍 수확이 시작돼 농민들이 모처럼 웃음을 띠었지만, 코로나19라는 돌발 변수로 농민들의 얼굴의 주름은 가뭄에 갈라진 논처럼 깊어지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들은 3밀(밀접·밀집·밀폐) 환경에 있어 한 명이 감염되면 전파 속도는 겉잡을 수 없이 빠르다. 이번 멜론 농장이 대표적인 사례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딸기
김기태 기자
부여군에 생산되는 멜론과 토마토, 밤, 양송이, 표고버섯은 전국 점유율 1위다. 부여군 10품 생산량과 소득 현황을 보면 수박은 2414 농가가 1693ha에서 7만 2127t을 생산하고 있다. 생산액은 851억 원, 소득액은 468억 원에 달한다. 전국 점유율은 15.2%다. 이번에 문제가 된 멜론도 전국 1위로 345농가가 180ha를 재배하고 있다. 생산량은 3780t, 생산액은 95억 원, 소득액 53억 원으로 전국 점유율은 10.5%다. 가을 문턱에서 수확이 시작되는 밤은 전국 점유율 23.4%에 달한다.

부여군은 노령화가 심해 대부분의 농가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손을 빌리고 있다. 이들이 없으면 사실상 농사일이 어렵다. 이 중 불법체류자들도 다수 포함돼 있다.

이처럼 외국인 노동자들의 손으로 농사를 짓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19가 퍼지면서 수확을 앞둔 농산물의 품질 저하가 우려된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들이 숨바꼭질하듯 꼭꼭 숨으면서 일손 부족은 물론 품삯도 같이 올라 농민들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최근 부여군이 긴급 재난지원금을 풀어 지역경제는 다소 숨통이 트였지만, 이번 카자흐스탄 발 코로나19로 불똥이 농민들에게 튀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연수구, 지역 대표 얼굴 ‘홍보대사 6인’ 위촉
  2.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3. 일단 입학만 시키자?…충청권 대학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 급증
  4. '날뛰는' 허위 폭발물 협박신고… 아산·광주·인천 등 학교 겨냥
  5. [홍석환의 3분 경영] 누구를 선택하는가?
  1.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공기업, 패션 디자인…다양한 진로를 고교부터 준비
  2. '내신 5등급제 첫 적용' 충청권 고1 1학기 학교성적 상승
  3. 지역과 상생하는 '빵의 도시 천안'…대한민국 대표 빵 축제로 도약
  4. 천안시, 긴급차량 천안·아산 경계 넘어도 '끊김 없는 우선신호' 지원
  5. 국제와이즈멘 한국서부지구 대전지방 연수회, 현충원에서 열리다

헤드라인 뉴스


李 대통령 “2030년까지 국방·항공우주 R&D 대대적 예산 투입”

李 대통령 “2030년까지 국방·항공우주 R&D 대대적 예산 투입”

이재명 대통령은 20일 “2030년까지 국방 R&D, 항공우주 R&D에 예상을 뛰어넘는 대대적인 예산을 투입해 미래 국방을 위한 핵심기술과 무기체계를 확보하고 독자적인 우주개발을 위한 역량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국내 최대규모 방위산업 전시회인 'ADEX 2025' 개회식 축사를 통해 “방위산업 4대 강국은 결코 불가능한 꿈이 아니다. 이미 민간의 기술력과 발전 속도는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국방개혁에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

"편의점도 줄어든다"... 인건비 부담에 하락으로 전환
"편의점도 줄어든다"... 인건비 부담에 하락으로 전환

편리함의 대명사로 불리는 편의점 수가 대전에서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어려운 경기 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늘던 편의점 수가 줄어든 것은, 과포화 시장 구조와 24시간 운영되는 시스템상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며 폐점을 선택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8월 현재 대전의 편의점 수는 1463곳으로, 1년 전(1470곳)보다 7곳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새 7곳이 감소한 건 눈에 띄는 변화는 아니지만, 매년 단 한 곳도 빠짐없이 줄곧 늘던 편의점이 감소로 돌아서며 하락 국면을 맞는..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직원 3명의 징계 처분으로 이어진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 선임 논란이 2025 국정감사에서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2월 임명 초기 시의회와 1라운드 논쟁을 겪은 뒤, 올해 2월 감사원의 징계 처분 상황으로 2라운드를 맞이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서울 구로 을) 국회의원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세종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작된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 공교롭게도 첫 질의의 화살이 박영국 대표이사 선임과 최민호 시장의 책임론으로 불거졌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 2월 12일 이에 대한 감사 결과 보고서를 공..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