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Y-zone 프로젝트: 3대 하천 재발견] 콘크리트로 덮인 풍경 아닌 곳은 어디에

[대전 Y-zone 프로젝트: 3대 하천 재발견] 콘크리트로 덮인 풍경 아닌 곳은 어디에

  • 승인 2021-09-21 09:41
  • 수정 2021-09-21 23:30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컷-3대하천





걷기 시작 코스인 문창교 입구서부터 '주차단속 안내'

보행로.자전거도로 미분리 탓에 시민안전 위협되는데

바로 옆에 불법 주차 된 차량 곳곳… 단속 표지판 '무색'

옥계교 하류 꽃길 기대했으나, 작은 규모에 아쉬움 커

 

KakaoTalk_20210921_091156580
대전천③ [하천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은 어디에…]
추석 연휴가 시작되기 전 세 번째 코스로 정한 문창교~옥계교 구간을 걷기로 나섰다. 이번 코스에는 대전천에서 유일하게 꽃길이 있어 기대감이 컸다. 그동안 콘크리트로 덮인 하상도로, 언더패스 등만 가득한 곳에 있다가 자연과 어우러진 풍경을 볼 수 있을 거란 기대감이 들기도 했다.

KakaoTalk_20210921_091702802
* 시작부터 주차금지 안내 표시가

문창교 입구에 들어서기 전 차들에 가려 보이지도 않는 현수막이 눈에 띄었다. '하상 자전거도로 주차 단속 중 보행로 통행 불편 주차금지'라는 문구였다. 대전천은 보행로와 자전거도로가 분리돼 있지 않아 불편함을 유발하는 상황인데, 거기에 주차까지 이뤄지고 있었다.

게다가 천변을 빠져나가면 바로 보이는 일반도로 중심으로 주차장이 형성돼 있었다. 이곳이 대전천임을 모르는 타지인 등이 방문한다면 하천을 중심으로 '주차장이 만들어졌구나'라는 정도로만 생각하고 넘어갈 듯했다.



현수막과 자동차를 지나쳐 밑으로 내려가자 우려했던 것만큼 불법 주차가 돼 있진 않았다. 하천 인근은 비가 오게 되면 천이 범람해 차량 통행은 물론 일반 시민들도 산책하기 어렵다. 이런 곳에 인근에 주차장이 형성돼 있고 차량이 있다는 사실이 이해하긴 어려웠다.

많은 차는 아니지만 일부 주차가 돼 있는 차들이 있었다. 보행로/자전거도로 바로 옆이 차량이 오가는 하상도로이기 때문에 안 그래도 위험한 구간이었다. 자전거 도로 바로 옆 일부 조성된 잔디밭 같은 곳이 있었는데 일부 차량이 몇 대 그곳에 주차돼 있었다. 주차단속 현수막과 차량 진입을 금지하도록 한 볼라드가 무색해진 순간이었다.

KakaoTalk_20210921_090916830_05
* 지긋지긋한 차량과 도로는 말고 이젠 꽃길이 펼쳐졌으면…

분명 대전시 홈페이지에 3대 하천 현황에 대해 안내된 것을 봤는데, 잘못 본 것인가 들 정도로 애매했다. 3대 하천 꽃이 조성된 곳 중 대전천은 현암교 하류, 옥계교 하류 2곳이 맞았다. 꽃의 종류를 살펴보니 '금계국'이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금계국의 개화 시기는 6~9월 사이라고 나와 있어 지금이 아니라면 볼 수 있을 것 같았다. 높이가 높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일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금계국 꽃의 높이는 30~60㎝ 정도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래도 이곳이 맞는 듯싶었다. 꽃길이 조성됐다고 홈페이지에 나와 있을 법한 공간이 아니었다. 인근에 풀숲이 가득했는데 여기에 노란 꽃들 몇 개만 자리 잡고 있어 사람들은 그냥 지나치기 쉬워 보였다.

꽃단지 현황_1

다시 한 번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확인해 보니 규모가 현저히 작았다. 꽃길은 갑천과 유등천에도 조성돼 있었는데, 갑천 원촌교 하류에 조성된 꽃길의 면적은 8500㎡이며, 유등천 한밭대교 하류에 조성된 코스모스 꽃길은 2만㎡다. 반면 대전천 옥계교 하류에 조성된 금계국 꽃길은 1500㎡였다. 작은 규모는 아니지만 눈을 사로잡을 만한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낼 수 있을 만한 규모도 아니었다.

아쉬웠다. 대전천 현암교 하류에 조성됐다고 하는 꽃단지는 사실상 하상도로 때문에 사람이 오가질 않은 곳이었다. 비교적 하상도로가 없고 유동인구가 있을 법한 옥계교 하류의 꽃길이었기에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었다.

연휴가 끝이 나면 다시 한 번 해당 코스 구간을 걸어볼 예정이다. 선선한 바람이 부는 완연한 가을 날씨의 대전천, 조금은 색다른 모습을 기대해본다.  

대전천=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5.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