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농부'가 돼볼까? 기후위기의 대안

  • 경제/과학
  • 유통/쇼핑

'방구석 농부'가 돼볼까? 기후위기의 대안

지속가능한 삶 '퍼머컬쳐'
반려식물 기르며 힐링도…

  • 승인 2021-12-09 16:56
  • 수정 2021-12-14 15:49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KakaoTalk_20211208_092751644
윤정아씨는 대전사회혁신센터 '방구석 농부'에 참여하여 루꼴라, 상추, 몬스테라, 콩나물을 키웠다. 윤정아씨 제공.
코로나로 '집콕'이 지루한 요즘, 방구석 농부가 돼보는 건 어떨까? 땅이 없어도 페트병 화분이나 수경재배로 누구나 농사를 지을 수 있다. 반려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보며 힐링도 느낄 수 있다.

윤정아씨는 대전 사회혁신센터 방구석 농부 프로그램에 참여해 루꼴라, 상추, 몬스테라, 콩나물을 길렀다. 방구석 농부는 지속 가능한 도시, 퍼머컬처 네트워크 프로그램이다. 지속 가능한 농업을 하며 시민들 간의 유대감도 쌓는 취지로 시작됐다. 프로그램을 통해 식물을 키우는 방법을 배우고 SNS에 관찰일기를 공유한다. 서로 피드백을 해주며 농부로서 자질을 키워나간다. 새싹과 콩나물, 허브를 키운다. 정원이 30명인데 30명 대기(정원 30명, 신청 60명)가 있을 정도로 인기였다. 10월 30일부터 열린 이 프로그램은 퍼머컬쳐 기초 학습, 방구석 설계-햇빛 아래 새싹 키우기, 허브 블렌딩과 스머지스틱, 콩나물과 관엽수 식재, 방구석 농부 일기 발표와 요리 교실로 이뤄있다.

6일 작성한 윤정아 씨의 방구석 일기에 정성과 애정이 묻어난다. '나물에 곰팡이가 생겼다. 다른 분들 나물은 쑥쑥 잘 크는데 내 것은 왜 이러는 걸까^^;; 집이 추워서 그런 것인지 나의 정성이 모자랐던 건진 알 수 없지만 일단 곰팡이가 생긴 부분과 주변 콩들을 버리고 다시 물을 주었다. 몬스테라는 잎에 물방울들이 맺혀있다. 어떤 원리로 물방울이 생기는 걸까? 루꼴라는 가늘고 길게 자라고 있는데 점점 옆으로 눕는 듯 하다. 상추는 가운데 부분은 잘 자라고 가장자리 잎들은 점점 시들시들해지고 있다. 힘이 없는 잎들은 그냥 잘라버렸다.'

KakaoTalk_20211208_092750494
방구석 농부에 참여한 유선화씨는 케일과 로즈마리를 키웠다. 물꽂이한 로즈마리에 뿌리가 생긴 모습이다. 유선화씨 제공.
퍼머컬처(Permaculture)는 영속적인(Permanent)와 농업(agriculture)의 합성어로 지속 가능한 농업, 혹은 영속적인 문화라는 뜻으로 기후위기의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1970년대 중반, 오일쇼크와 베트남전쟁으로 인류 문명의 존립과 자본주의에 대한 회의와 성찰이 시기에 빌 몰리슨(Bill Morison)과 데이드 홀그램(David Holmgren)이 퍼머컬처를 제안했다.



방구석 농부 프로그램 강사로 참여한 패트릭 라이든(Patrick rydon)과 강수희(솔밧)씨는 자연농법으로 농사를 짓는다.

전통적인 관행농이 화학비료와 농기계 등을 사용해 환경을 훼손한다면, 그 대안으로 나온 것이 유기농법은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지만 6대필수 영양소를 중시하고, 농약만 사용하지 않을 뿐이지 관행농과 똑같은 방법으로 살균과 살충을 한다는 단점이 있다. 자연농법은 이 유기농법에서 한단계 더 자연으로 다가간 농사법이다. 인공적인 자재냐, 천연의 재료냐의 차이가 관행농과 유기농의 차이라면 자연농법은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농약도 뿌리지 않는다. 오로지 땅의 힘을 이용하고 풀벌레를 적으로 여기지 않는, 자연과의 조화가 핵심이다.

KakaoTalk_20211208_223709758
7일 방구석 농부 성과공유회에서 참여자들이 샐러드 만들기를 배우고 있다.
식물과 교감하며 얻는 심리적 안정감도 크다. 김기철씨는 "식물을 키우며 마음의 여유가 생기고 새로운 활기가 돋는다"라며 "자연스레 집안일도 배워 살림에도 참여하게 됐다"라고 말하며 미소지었다.

김성홍 충남대 농업경제학과 교수는 "집 안에서 작게 농사를 짓는 것은 자급에 한계가 있지만, 먹거리와 식물에 친숙함을 기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8월1일 금요일
  2. 고 김진화 바오로 신부 선종
  3. "늘봄학교 전체 학년 확대 너무 빨라" 대전 교육계 토론회서 우려 제기
  4.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상상의 안내자, 만화
  5. [박현경골프아카데미]성심당 튀소 깔고 쳤는데 홀인원! 골프장 주인 프로도 처음이라 당황
  1. 천안의료원, 사별가족모임 개최
  2.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3. 한기대 박지섭 교수 연구팀, 자율주행차 윤리 딜레마 해결 핵심요인 발견
  4. 백석대, '라인-루르 하계U대회' 배드민턴 동메달 획득
  5. 천안시, 집중호우 피해 하천 신속 복구 총력전

헤드라인 뉴스


충남대-국립공주대 ‘통합대학 직원 인사방침’ 합의

충남대-국립공주대 ‘통합대학 직원 인사방침’ 합의

충남대와 국립공주대가 통합 기반 글로컬대학 추진을 위해 '대학본부 차원의 실무 간담회'와 '직원 인사 방침에 대한 공식 합의'를 연이어 진행했다. 양 대학은 8월 1일 충남대 융합교육혁신센터 컨벤션홀에서 '통합 기반 글로컬대학 추진을 위한 대학본부 구성원 간담회'를 열고 본지정 실행계획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부서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교무처·학생처·기획처·연구처를 비롯해 국제교류본부·대학원·대외협력본부 등 양 대학 본부 소속의 처장과 부처장, 팀장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초광역 대학 통합, 초연결..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하면서 충청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부품 수출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충남은 17개 시·도 중 2위의 수출실적을 자랑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로 전반적인 탄력이 기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7월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25..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계룡건설산업(주)가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대전지역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는 7월 31일 전국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공능력평가' 결과 계룡건설산업이 전년 대비 2633억 원(9.7%) 증가한 2조9753억 원으로 5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전국 순위도 두 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주)금성백조주택이 3884억 원으로 2위(전국 75위), 파인건설(주)는 2247억 원으로 3위(전국 114위), 크로스건설(주)는 1112억 원으로 4위(전국 217위), (..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