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화상 상봉장만 덩그러니…시간 없는데 남북 대치만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이산가족 화상 상봉장만 덩그러니…시간 없는데 남북 대치만

2021년 충청권 실향민 4159명…5년 사이 1351명 감소
화상상봉장 마련 됐으나 사용되지 못하고 있어

  • 승인 2022-01-26 17:26
  • 수정 2022-01-26 18:45
  • 신문게재 2022-01-27 3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ewrewrw
대전적십자사에 설치돼 있는 화상상봉장 (사진=김지윤 기자)
"몇 번이나 북에 있는 가족에게 연락을 해보려 했지만 잘 안됐어. 언젠가 만날 수 있길 때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지."

대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김창선(101)씨는 명절을 앞두고 북녘에 있을 가족 생각에 한숨을 깊게 내뱉었다.

김 씨는 황해도에서 3남 2녀 중 맏이로 태어나 1950년 6·25 전쟁 발발 직후 가족들과 떨어져 홀로 피난 행렬에 올랐다. 전쟁이 끝나고도 고향에 돌아가지 못한 채 벌써 72년이라는 세월 동안 그리움을 가슴에 켜켜이 쌓아왔다. 가족을 찾아주십사 수차례 연락을 시도하며 관계 기관에 도움을 청했지만 '확인할 수 없습니다'라는 답변이었다.

김 씨는 사진 한 장 없이 어머니와 형제의 얼굴조차 잊을까, 내가 없을 때 후손이 찾아오지는 않을까 고향 모습과 가족들 특징을 수첩에 빼곡히 적어가며 마른 숨을 지키는 중이다.



남북의 민족명절 설날이 다가왔지만, 이산가족들은 북녘에 있는 가족과의 교류조차 어려운 현실을 올해도 감내하고 있다. 26일 대전세종적십자사에 따르면 2021년 12월 기준 충청권 실향민은 4159명에 달한다. 그러나 2016년 이후 5년 사이 1351명이 감소했다. 다수 이산가족 1세대들이 반백년 이상의 시간을 버텼지만, 결국 이산의 한을 풀지 못하고 눈을 감고 있다.

특히, 대전세종적십자사는 '화상상봉장'을 설치해 북에 있는 가족을 화면으로라도 만날 여건은 마련했으나 남북관계가 경색되며 이산가족을 모시지 못하고 있다. 북한과의 정치적 교류 불발이 수시로 일어나면서 2007년 3차례 화상상봉을 했던 것을 제외하고는 15년이 지난 현재까지 가족과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대전적십자사 관계자는 "명절 때마다 가족은 찾았는지 형제와 통화 할 수 있는지에 관해 묻는 이산가족들이 많지만 쉽게 연결해 드릴 수 없는 상황"이라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이산가족은 가족의 생사 여부만이라도 알고 싶다며 정부의 뚜렷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정석 이북도민회대전연합 회장은 "명절 때마다 이산가족 상봉을 언급하며 우리에게 기대감을 안겨 줬지만 오랜 기간 이뤄지지 않고 있다"라며 "잠시 만나는 단일성 상봉은 이산가족에게 어쩌면 더 큰 상처가 될 수 있다. 이벤트 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을 찾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5. 식장산부터 장동까지 평화견학…제8회 평화발자국 참가자 모집
  1. 대전과학기술대 여자 배드민턴부, 전국종별배드민턴대회 3위 쾌거
  2. 군의관과 간호장교 부부에서 시작, 을지재단 창립 69년 기념식
  3. 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보건의료지원단 빅데이터 역량 교육
  4. 건양사이버대-대덕파트너스, 미래 인재 양성 위해 맞손
  5. 육군군수사령부, '미식별 선박 대응체계 고도화' 발표 32사단 최우수상 선정

헤드라인 뉴스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지방에서 미분양이 쏟아지는 등 부동산 한파가 심각한 가운데 지방 도시개발사업에서 천편일률적인 임대주택건설 의무 비율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시는 이 같은 여론을 주시하면서 지역 부동산시장의 면밀한 분석을 통한 '조정'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어 주목된다. 민간임대주택의 장점과 수요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건설 경기 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염두한 최대공약수 찾기에 나선 것이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분양이 이뤄진 아파트 단지 청약 미달률은 1순위 기준 41.9%에 달했다. 반면 서울만 0%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대전의 숙원 사업인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충청과 호남의 축 병목 해소에 청신호가 켜졌다. 최근 대전시에 따르면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은 10월 31일 기획재정부 제10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예비타당성조사 심의 결과 최종 통과했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3522억 원 규모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분기점~회덕분기점 구간(총 18.6㎞)이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며 사업기간은 약 8년으로 계획하고 있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은 이 구간을 '충청·호남을 잇는 병목지점'으로 지목하며..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느끼는 경기 체감 지수가 상승 곡선을 그린 뒤 유지하고 있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 등으로 반등한 지수가 우상향하고 있는 것인데, 11월 경기 상황을 내다보는 전망 지수도 올라서면서 경기가 나아질 것이란 희망을 내비친다. 2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10월 경기 체감 지수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으로 상승한 이후 평행선을 유지 중이다. 경기 동향 조사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사업체 운영자의 체감 경기 파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