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건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536가구 공급

  • 정치/행정
  • 세종

계룡건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536가구 공급

'세종 4-1 리슈빌 디어반 H1·H2' 사이버 견본주택 오픈
8월 17일 특별·일반공급 청약접수… 22일 당첨자발표·9월 1~5일 정당계약 진행
최장 8년간 거주… 청약통장 없이 만19세 이상 무주택가구 청약
H1 210가구·H2 326가구 등

  • 승인 2022-08-12 16:04
  • 수정 2022-08-12 16:08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04.CG_통합투시도
세종 4-1 생활권 리슈빌 디어반 통합투시도
세종시 4-1 생활권에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 들어선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최장 8년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



임대료 갱신 시 5% 이내로 제한되며, 주택 수에 포함되지도 않는다.

청약 때 청약통장이 필요 없으며, 만19세 이상이면 거주지역과 상관없이 전국에서 누구나 청약 신청할 수 있다.



취득세와 재산세·종부세 등 주택 소유에 따른 세금도 없다.

계룡건설은 12일 이 지역에 '리슈빌 디어반' H1·H2 사이버 견본주택을 열고, 이러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을 공급한다.

세종 리슈빌 디어반 사이버 견본주택은 최근 재유행하는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한 것으로 가상현실(VR) 영상을 통해 현장감 있게 단지의 특장점과 다양한 상품 정보를 제공한다.

세종 리슈빌 디어반의 공급일정은 17일 특별·일반공급 청약접수를 시작으로 22일 당첨자를 발표한다.

이어 9월 1일부터 5일까지 세종 4-1 리슈빌 디어반 H1·H2 홍보관에서 정당계약을 진행한다.

세종 리슈빌 디어반 공급물량은 H1 블록에 210가구, H2 블록 326가구 등 총 536가구다.

세부적으로 보면 H1 블록은 ▲59㎡ A타입 49가구 ▲59㎡ B타입 2가구 ▲59㎡ C타입 6가구 ▲59㎡ D타입 10가구 ▲59㎡ E타입 4가구 ▲59㎡ F타입 4가구 ▲59㎡ G타입 3가구 ▲59㎡ G-1타입 9가구 ▲59㎡ H타입 12가구 ▲59㎡ I타입 3가구 ▲59㎡ J타입 13가구 ▲59㎡ K타입 13가구 ▲59㎡ L타입 4가구 등 59㎡가 132세대다.

또 ▲84㎡ A타입 25가구 ▲84㎡ B타입 32가구 ▲84㎡ C타입 8가구 ▲84㎡ D타입 11가구 ▲84㎡ E타입 2가구 등 84㎡가 78가구다.

H2 블록은 ▲74㎡ A타입 45가구 ▲74㎡ A-1타입 37가구 ▲74㎡ B타입 56가구 ▲74㎡ C타입 12가구 ▲74㎡ D타입 6가구 ▲74㎡ E타입 4가구 ▲74㎡ F타입 2가구 ▲74㎡ G타입 15가구 등 74㎡가 177가구다.

아울러 84㎡는 ▲A타입 69가구 ▲B타입 28가구 ▲C타입 8가구 ▲D타입 4가구 ▲E타입 12가구 ▲F타입 15가구 ▲G타입 10가구 ▲H타입 3가구 등 모두 149가구다.

03.CG_통합조감도
세종 리슈빌 디어반 조감도
한편 세종 리슈빌 디어반은 국내 굴지의 건설사 계룡건설이 시공하며, 우수한 평면 특화설계를 적용했다.

아울러 단지 배치를 일조와 자연채광에 유리하도록 남향 위주로 배치했다.

이중 단지 내 가장 많은 세대 수를 선보이는 H2 블록의 84㎡ A타입(69가구)은 맞통풍에 유리하도록 3 베이(bay) 판상형 구조로 설계했고, 안방 드레스룸을 제공해 여유로운 수납공간을 갖췄다는 평가다.

여기에 수요자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블록마다 다양한 스타일의 타입을 공급하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리슈빌 디어반은 H1·H2 블록마다 피트니스시설과 GX룸 등 운동시설을 비롯해 개방형 쉼터·옥상정원·작은 도서관·독서실·스카이 커뮤니티 등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을 제공한다.

또한, 어린 자녀들이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도록 지상에 차가 없는 공원형 단지로 설계했다.

이를 통해 리슈빌 디어반은 H1 블록 단지 내 중앙광장과 단지 옆 어린이공원이, H2 블록은 단지 인근에 삼성천 수변공원이 들어서 쾌적한 단지 환경을 조성하는 등 입주민들의 주거만족도를 높일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지상 1·2층에는 근린생활시설로 편리한 생활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계룡건설 관계자는 "세종 4-1 리슈빌 디어반 H1·H2는 최근 금리 인상으로 월세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임대료 갱신 때 5% 이내로 제한되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으로 공급된다는 사실에 많은 수요자의 주목을 받아왔다"고 말했다.

이어 "사이버 견본주택 오픈 전부터 편리한 생활 인프라와 쾌적한 자연환경에 더불어 계룡건설 리슈빌만의 우수한 상품성까지 갖춰 실수요자들의 문의가 이어지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