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흔두 해 역사의 힘을 우리는 믿는다. 본사가 주도한 대전천도추진위원회, 정부청사유치추진위원회 등의 활약이 훗날 정부대전청사의 씨앗을 뿌렸고 '중도(中都)' 행정도시의 뿌리로 자라났다. 여의도 국회 2배 규모의 국회 세종의사당도 내년이면 첫 삽을 뜨게 된다. 허허벌판의 논리, 혹은 경제논리에만 집착해 사람도 없는 지역에 사회간접자본(SOC)이 왜 필요하느냐는 시각을 단호히 배격해 왔다. 서해선 복선전철 연결, 서산공항,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충청내륙고속화도로 건설도 차질없이 진행돼야 한다. 아직 손에 잡히지 않는 지방은행 설립,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도 마찬가지다. 대전특별자치시와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 특별법 입법화도 시급하다.
지역 내 균형,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분야 간 '균형'도 우리에겐 신념이다. 기존 노인신문, 다문화신문 등을 확장해 소외된 곳 없는 지역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이유다. 지역지와 중도일보 전국지를 나란히 발행하며 지방소멸을 막는 역할이 부여됐다는 확신이 한뼘 자랐다. 창조적 사회기풍 조성도 우리 몫이다. 고향사랑기부제 조기 안착을 위해 전국 규모의 대한민국 고향사랑기부 한마당 대축제를 공동 주최했다. 올해 119개 지자체, 7개국이 참여한 대한민국국제관광박람회(KITS)도 몇해째 같이 주관하고 있다. 더 큰 나라, 더 큰 지방시대의 반려신문으로서 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두 수레바퀴를 힘 있게 돌려 나간다. 새만금 잼버리 대회 이후 지역민과 지방정부 역량이, 지방자치와 분권이 도매금으로 비하와 조롱의 대상이 되는 걸 경계하는 맥락도 다르지 않다.
개발(開發)은 새로운 것을 만드는 행위다. '지역사회 개발'의 사시(社是)는 날로 진화를 거듭한다. 72주년 이후의 모든 시간도 지역사랑으로 가득 채워갈 것을 전 임직원의 뜻을 모아 다짐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