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청주국제공항의 확장과 중부권 첨단산업의 비상(飛上)

  • 오피니언
  • 월요논단

[월요논단]청주국제공항의 확장과 중부권 첨단산업의 비상(飛上)

강병수 충남대 명예교수.대전학연구회 회장

  • 승인 2025-08-17 10:05
  • 수정 2025-08-17 10:09
  • 신문게재 2025-08-18 18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강병수 교수
강병수 교수
1997년 외환위기로 실업률이 높아지고 노숙자가 거리로 쏟아지자 국가는 첨단 벤처기업의 창업을 일자리 창출의 탈출구로 삼았다. 그리하여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은 미국 실리콘밸리에 버금가는 우리나라 벤처 창업의 허브로 대덕연구단지를 대덕밸리로 선언하였다.

이때부터 대덕연구단지는 연구만 하는 연구학원도시가 아니라 첨단기술의 이전과 벤처기업을 창업하는 과학기술도시(Technopolis)의 허브로 전환되었고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천안, 청주를 잇는 중부권 첨단산업 삼각 벨트, 즉 중부권 첨단산업지대망이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대덕밸리는 대덕이노폴리스라는 명칭으로 구역을 확장하였고, 오창과학산업단지와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 등이 본격 조성되었다. 또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기업이 이전하고 기술이전과 벤처 창업이 활성화되면서 중부권은 첨단산업 개화기에 이르고 있다.

첨단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지역의 주도산업으로 견인하려는 이유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살기 좋은 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기 때문이다. 첨단산업이 활성화되면 첨단기술 관련 일자리가 다른 일자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이 생긴다. 그리하여 지역사회의 실업률은 낮아지고 전문·사업서비스업 분야가 주축을 이루면서 높은 보수를 받는 첨단산업 관련 3차 산업 분야에 일자리가 많아지면서 '기업 하기 좋은 지역,''살기 좋은 지역'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내륙지역은 제조업 전성시대에는 발전의 경로에서 벗어났지만, 1970년, 1980년대 세계 각지에서 발흥한 첨단산업의 영향으로 첨단산업 지역으로 태어날 가능성을 지니게 되었다. 내륙지역에서도 첨단산업이 꽃 필 수 있는 여건이 점차 갖추어지고 있는 것은, 다름 아닌 외부 노출 시간 감소와 빠른 수송을 요구하는 첨단제품의 특성 때문이다.



첨단제품은 제조업에 비해 가격 대비 무게 비중이 크지 않아 항만이나 운하 없이도 가능하다. 첨단산업이 소규모일 경우에는 밸리항공으로 물량 소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첨단산업 부문의 규모가 커지면 대형 화물 비행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3.7km이상의 긴 활주로가 필요하다.

중부권 거점공항인 청주국제공항 활주로는 2,743m로 승객수송용 중·대형항공기의 이·착륙은 가능하나 대형 화물기(B747, A350-1000 등)의 이·착륙은 힘들다. 활주로 3.7km는 국제선 허브 공항의 기준이며 미국의 오스틴과 애틀랜타, 우리나라의 인천공항, 일본의 도쿄 나리타 공항 등 주요 국제선 허브 공항들은 이 기준을 충족하고 승객수송뿐만 아니라 화물 수송을 위한 물류공항을 겸하고 있다.

우리나라 중부권은 대전, 세종, 천안, 청주를 잇는 첨단산업지대망이 구축되어가면서 고부가가치 첨단제품의 국제 항공수송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청주국제공항은 김해공항과 달리 3.7km 활주로 신설이 가능하다고 하니 참으로 다행한 일이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13일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에 청주국제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을 포함한 청주국제공항 활성화가 포함되어 있어 더더욱 다행스러운 일이다.

청주국제공항의 확장은 민간 전용 활주로로 승객수송뿐만 아니라 첨단제품의 수송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청주국제공항은 화물운송을 위해 화물터미널, 물류창고, 물류단지 등의 대규모 부속시설도 필요하다.

확장된 청주국제공항은 중부권 미래 첨단산업 비상(飛上)의 핵심적인 인프라가 될 것으로 보인다. 조속한 예비타당성 조사와 계획수립, 그리고 국가 차원의 대폭적인 지원도 시급해 보인다. 최근 내륙지역들의 발전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내륙특별법'도 제안되었다. 수도권이나 해안 중심의 발전구조에 대응하여 내륙지역 발전 및 국가균형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특별법이다. 내륙특별법을 조속히 통과시키고 청주국제공항에 3.7km 활주로를 차질없이 건설하기 위해서는 '청주국제공항 확장 대통령실 직속 전담 기구'의 신설도 고려해 봄 직하다.

/강병수 충남대 명예교수.대전학연구회 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공기 중 이산화탄소 직접 포집 기술 2026년 스마트팜서 상용화 기대
  2. 예산 관광의 새 마루지… 예당호 착한농촌체험세상 개장
  3. [현장] 유학생에겐 외로운 명절 연휴… 전통문화로 정 나누는 대학가
  4. 충청지방우정청, 추석 앞 아동복지시설에 '추석빔' 전달
  5. 한화이글스 2025 포스트 시즌 경기 날짜는?
  1. [추석특집] 긴 한가위 연휴 '고향 사랑' 지역명소 여행은 어때요?
  2. 볼거리·체험거리 풍성… 긴 추석연휴 충남 방문 어때?
  3. 야구의 메카 세종 향해 도약… 제9회 세종시장기 생활체육 야구대회
  4. [국군의날] #아내는 TOD 남편은 육군경비정…충남서해 수호 부부군인의 '하모니'
  5. 천안 각원사, 추석 명절 맞아 홀몸노인 172가정에 정성 담은 도시락 전달

헤드라인 뉴스


역대급 긴 연휴… `고향사랑` 지역명소 즐겨볼까?

역대급 긴 연휴… '고향사랑' 지역명소 즐겨볼까?

민족 대명절 추석이 다가왔다. 2025년 추석 연휴는 최장 10일로 여느 때보다 길다. 국민 10명 중 4명이 연휴 중 국내외 여행을 계획 중이다. 해외로 떠나는 인원도 적지 않지만 그동안 미처 몰랐던 지역의 숨은 명소를 찾는 것도 기억에 남는 명절을 보내는 방법이 될 것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이 8월 22일부터 28일까지 국민 99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40.9%가 추석 연휴 여행을 계획했다. 이중 국내 여행은 89.5%, 해외여행은 10.5%다. '민족대이동'으로 고속도로와 국도뿐 아니라 하늘길도 붐빌 전망이다. 유독..

[10월 2일 노인의 날] 디지털 세상에 도전하는 어르신들
[10월 2일 노인의 날] 디지털 세상에 도전하는 어르신들

"남에게 의지하지 않고 혼자 힘으로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다루고 싶어요." 노인의 날을 하루 앞둔 1일, 대전 유성구 진잠도서관 디지털배움터. 낯선 프로그램 화면 앞에서 키보드를 두드리던 한 수강생의 말에는 디지털 사회에 뒤처지지 않겠다는 다짐이 담겨 있다. 키오스크와 모바일·인공지능(AI) 서비스 확산으로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가 심화되는 가운데, 스스로 배우고 도전하는 어르신들의 모습은 작은 희망을 보여주고 있었다. '디지털배움터'는 누구나 쉽게 디지털 세상에 적응하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역량 교육을 추진한다. 이곳에서는..

경찰 국정자원관리원·관련업체 4곳 압수수색…계약·고용관계 파악할듯
경찰 국정자원관리원·관련업체 4곳 압수수색…계약·고용관계 파악할듯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와 관련해 경찰이 2일 오전 9시부터 국정자원관리원과 배터리 이전사업에 참여한 민간 업체 4곳에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에 나섰다. 대전경찰청은 이날 수사인력 30명을 투입해 압수수색을 진행하며 화재 원인 규명에 필요한 증거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그동안 관계자들 진술조사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서류와 데이터 등을 확보해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또 현장에서 배터리 이전 작업을 실시한 이들의 고용과 하청 계약서를 확보해 정당한 업무가 이뤄졌던 것인지 파악하려는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배터리를 옮..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복 입고 배우는 큰절 한복 입고 배우는 큰절

  • 다 같이 외치는 ‘청렴 동구’ 다 같이 외치는 ‘청렴 동구’

  • 추석 앞 붐비는 도매시장 추석 앞 붐비는 도매시장

  • 열려라 취업문 열려라 취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