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R&D 예산안, 기술주도와 연구생태계 복원에 중점투자

  • 정치/행정
  • 국정/외교

2026년 R&D 예산안, 기술주도와 연구생태계 복원에 중점투자

인공지능과 에너지, 전략기술, 방위산업, 중소벤처 혁신 등 기술 주도
기초연구와 인력양성, 출연기관 지역성장과 재난안전 분야에 재원 배분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 관련 브리핑

  • 승인 2025-08-24 12:13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20250822021136_PYH2025082205820001300_P2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공개한 2026년도 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 예산안의 특징은 경제 도약을 이끄는 ‘기술주도 성장’과 ‘연구생태계 회복을 통한 모두의 성장’으로 나눠 투자하는 것이다.

하정우 대통령실 AI 미래기획수석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발표한 ‘2026년 정부 R&D 예산안의 주요 특징’을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눠 설명했다.

▲기술주도 성장=이를 위해 인공지능과 에너지, 전략기술, 방위산업, 중소벤처 혁신에 중점 투자한다.

인공지능 분야는 AI 생태계 전반에 걸친 독자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컴퓨팅 인프라부터 원천기술과 응용 부문까지 포괄하는 풀스택 연구개발에 집중한다.



에너지 분야는 요소기술 개발과 핵심시스템 국산화와 상용급 실증을 확대하고, 특히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을 위해 초고효율 태양전지, 초대형·고출력 풍력 시스템 등의 개발과 국산화를 지원한다.

합성생물학과 이차전지, 휴머노이드 로봇 등 국가전략기술을 5년 내 핵심기술을 자립화하고, 방위산업을 국가 성장을 견인할 전략·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K-9 자주포, 천궁 등의 성능 고도화를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 혁신을 돕기 위해 R&D는 역량을 갖춘 기업을 중심으로 민간투자연계형과 경쟁보육형, 혁신조달과 구매연계형 등으로 구분해 지원을 강화한다.

GYH2025082200010004400_P4
정부가 8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열고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모두의 성장=이를 위해 기초연구와 인력양성, 출연기관, 지역성장, 재난·안전 분야에 재원을 배분했다.

위축된 연구생태계 회복을 위해 개인기초 연구과제 수를 예산 삭감 전보다 많은 1만5000개 이상으로 확대하고, 폐지됐던 풀뿌리 기본연구 과제를 2700여 개로 복원한다.

우수 이공계 인재 처우 개선과 전략기술 중심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영입하기 위한 인재유치 프로젝트(Brain to Korea)를 실행하고, 출연기관은 중장기·대형연구를 통한 국가 임무 중심 연구에 집중해 성과를 창출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PBS 제도를 단계적으로 폐지해 인건비 확보 부담없이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연구성과와 직접 연계되는 '최우수 연구자 인센티브'도 신설한다.

지역의 강점·특성·역량을 고려한 지역 주도의 자율 R&D 지원에다,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대규모 AX(AI Transformation: AI 전환) R&D를 지원한다.

또 자연재해나 사회재난 등의 빈발과 대형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AI 드론 등 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해 감시·예방부터 대응·복구 등 재난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리빙랩 등 현장 실증과 구매조달 연계 등을 통해 연구성과물의 현장 활용성을 높인다.

하정우 수석은 ‘기술주도 성장·모두의 성장’에 이어 범국가적 AI 대전환 기반을 위해 국가AI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AI액션플랜’ 수립 추진도 언급했다.

하 수석은 “현재 마련 중인 액션플랜에는 AI 혁신생태계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AI 인프라 구축과 해외인재 유치 계획, 공공과 산업분야 AX, 국민 실생활에 AI 활용, AI 기본사회 실현 등 범정부 세부 이행방안이 총망라될 것”이라고 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3.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4.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5.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1. '포스트 추석' 충청 정가… 본격 지선 체제 돌입
  2. 대전·세종, 박물관·미술관 전국 꼴찌…'문화의 변방' 전락
  3. 충남 중학교 교사 극단적 선택… 교원단체 "순직 인정 필요"
  4. 대전 중구, 석교동 도시재생대학 8기 끝으로 성공적 마무리
  5.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헤드라인 뉴스


정년 보장에도 중견교사 그만둔다…충청권 국·공립초 명예퇴직자 증가

정년 보장에도 중견교사 그만둔다…충청권 국·공립초 명예퇴직자 증가

최근 충청권 국·공립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다 정년을 채우지 않고 중간에 그만둔 교사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단을 지탱할 '허리' 연차에서 명예 퇴직자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열악한 처우 개선 등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강동구갑)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충청권 4개 시도 국·공립 초등학교 명예 퇴직자는 2020년 161명, 2021년 172명, 2022년 205명, 2023년 265명, 2024년 288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같은..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與野 추석민심 대충돌…"경제정책 효과" vs "정권불신 팽배"

충청 여야는 유난히 길었던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바닥 민심을 전하면서 뜨겁게 격돌했다. 집권 여당 더불어민주당은 소비쿠폰 효과 등 이재명 정부의 경제 부양 노력을 부각했고 국민의힘은 대통령 예능 출연 등을 지렛대로 정권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지고 있다고 맞섰다. 충청 여야가 극과 극의 민심을 전한 것은 다음 주 국정감사 돌입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최대격전지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인 박정현 의원(대전대덕)은 "재래시장을 돌면 여전히 지역화폐와 민생회복 쿠폰이 도움이 됐다는 이야..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 '전국 3위'

대전의 30년 이상된 노후주택 비율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전국 노후주택관리에 관한 입법조사를 의뢰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전체주택 1987만 2674호 중 30년 이상이 지난 노후주택의 수는 557만 4280호로 조사됐다. 전국 노후주택 평균 비율은 28.0%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북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대전의 노후주택 비율은 36.5%(전체주택 52만 3823호 중 19만 1351호)로 전남(4..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

  •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