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의 추석, 전통과 경의의 축제

  • 사회/교육
  • 이슈&화제

조선 왕실의 추석, 전통과 경의의 축제

조선왕조실록에 134회 등장한 추석의 중요성
성종실록에 기록된 세자의 궁중 잔치 준비
영조 37년, 명릉에서의 추석제 상세 기록
조선 왕실의 문화적 유산으로 남은 추석 전통

  • 승인 2025-10-04 07:02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KakaoTalk_20251001_083748238
조선 왕실에서도 추석(중추절, 한가위)은 중요한 명절 중 하나였다. 추석 당일 조선 왕실에서는 왕과 왕비, 여러 신료들이 참여하는 의례와 잔치, 제사 등이 치러졌다. 금상진 기자
조선 왕실에서도 추석(중추절, 한가위)은 중요한 명절 중 하나였다. 추석 당일 조선 왕실에서는 왕과 왕비, 여러 신료들이 참여하는 의례와 잔치, 제사 등이 치러졌다. 아쉽게도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해 현재 남아 있는 조선왕실의 기록에는 추석당일의 풍경을 상세히 묘사된 기록이 없다. 다만 실록 전체에서 추석이라는 단어가 134회 등장한 것을 보면 왕실에서도 추석이 주요한 명절이었음이 확인된다. 성종실록에는 "세자가 추석 때 궁중 잔치를 벌일 것에 대비하여 준비시키다" 등과 같은 항목이 등장한다.

추석 당일 조선 왕실에서는 보통 제례를 올렸다. 추석이 다가오면 왕실은 필히 조상의 위패가 모셔진 종묘(宗廟)나 사당(왕실 사당)에서 제사를 준비했고 당일 제사의 주례는 왕이 직접 참여하거나 어가(御駕)를 통해 의식을 주재했다. 제사에는 예(?)의 규범이 엄격히 지켜졌고, 제사상(祭床), 제물(祭物) 준비에 있어 음식, 제사의 절차, 예복(의복), 향(香), 술(酒) 등이 규정대로 준비됐다. 예복은 관복이나 제사용 의복을 갖추고, 신료들도 참가했다.



제사를 올린 뒤에는 뒤풀이 행사로 잔치가 열리는 경우가 있었고, 음식을 나누어 먹거나, 음악, 무용, 노래, 악기 연주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실록에도 일반적인 행사의 음식보다 다양했고 평소보다 많은 종류의 전(煎), 과실(果實), 떡, 과자, 유밀과(油蜜果) 같은 달콤한 과자류 등이 준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석 당일 왕이 어떻게 보냈다" 같은 구체적 일정은 왕마다, 시대마다 다르고 기록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왕실의 추석 풍경이 가장 자세하게 묘사된 부분은 조선 영조때이 기록으로 영조 37년(1761) 8월 15일 추석제에 대한 기록이다.



KakaoTalk_20251001_083814311
조선 왕실에서도 추석(중추절, 한가위)은 중요한 명절 중 하나였다. 추석 당일 조선 왕실에서는 왕과 왕비, 여러 신료들이 참여하는 의례와 잔치, 제사 등이 치러졌다. 금상진 기자
임금이 명릉(明陵)에 나아가 친히 추석제(秋夕祭)를 행하였는데, 이 날은 곧 숙묘(肅廟)의 탄강일이었다. 임금이 익선관(翼善冠)과 천담복(淺淡服)을 갖추고 홍살문에 이르러 망릉례(望陵禮)를 행하고, 이어서 정자각(丁字閣)에 나아가 의식대로 제사를 행하였다.

제사가 끝난 뒤에 능 위를 봉심(奉審)하고 난간석 앞에 잠시 부복하였다가 소차(小次)로 돌아와 지의(地衣) 위에 앉았다. 도승지가 방석에 오를 것을 청하니 임금이 허락하였다. 이어 홍살문에 나아가 사릉례(辭陵禮)를 행하였다. 임금이 아청색 융복(鴉靑戎服)을 갖추고 동구(洞口) 밖에 이르러 말을 탔다. 그리고 능관(陵官)에게 하교하기를,

"내가 비록 돌아가지만 마음은 상설(象設, 제향 장소)에 매여 있다.

능 위 사초가 엉겨 붙은 곳은 다시 파종하고, 봉현(蜂峴)이 몹시 긴절하니 자주 가서 보아 금단의 방도를 삼으라." 하였다. (중략)

위 기록은 1761년 영조가 직접 명릉에 가서 추석제(秋夕祭)를 집행한 장면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제사 복장·절차(망릉례, 제사, 사릉례) → 능 관리 지시 → 관리·군사에 대한 하사 → 돌아오는 길의 민원 처리 → 창덕궁 환궁까지 이어지는 '왕실의 추석' 하루 일정이 상세히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왕실에서의 추석은 매우 중요한 행사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이응다리+중앙공원'서 빛의 향연...22일 개막
  2. 우송정보대 간호학과, 재학생 위한 '취업 멘토링 프로그램' 개최
  3. 대전대·건양대·목원대 SW중심대학 사업단, 지·산·학 협력 활성화 위해 맞손
  4. (사)충남지역혁신사업단, 나사렛대 평생교육원과 업무협약 체결
  5. 건양대 인공지능학과 'KAICTS 2025 추계학술대회' 최우수논문상 영예
  1. 조승래 국회의원, 충남대 후배들과 만나 소통
  2. [기고]성암 이철영 선생의 사불응(死不應)과 매헌 윤봉길 의사의 생불환(生不還)
  3. 배재대 IPP사업단 2026년도 일학습병행 참여기업 모집
  4. 대전과학기술대, 한국스마트혁신기업가협회와 산학 협력 강화 협약
  5.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