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포럼] 미세먼지 대책, 녹색GDP로 시작하자

  • 오피니언
  • 경제포럼

[경제포럼] 미세먼지 대책, 녹색GDP로 시작하자

  • 승인 2016-06-07 14:03
  • 신문게재 2016-06-08 22면
  • 박창귀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경제조사팀장박창귀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경제조사팀장
▲ 박창귀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경제조사팀장
▲ 박창귀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경제조사팀장
미세먼지가 우리나라 성인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고협압 발병률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뿐만 아니라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킨다는 보고도 있다. 최근 기상예보를 보면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을 기록하는 날이 많아지면서 모처럼 휴일이라고 나들이 계획이라도 세웠다가 낭패를 본 경험도 많다.

미세먼지는 왜 나쁜가?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 대기 중 부유 물질인데, 대부분 자동차의 배기가스, 공장 매연, 건설과정에서의 분진 등에서 발생한다. 입자의 크기와 화학적 조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는데, 미세먼지의 노출은 사망률을 증가시키며 특히 크기가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작은 먼지 입자들은 폐와 혈중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큰 위협이 된다고 한다.

이러한 위협에 박근혜 대통령은 특단의 대책을 주문했고 관련 부처에서는 미세먼지를 줄이는 대책 마련에 여념이 없다. 그러나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화력발전과 경유차 관련 대책을 놓고 정부부처 간 대립하고 있다고 한다.

가령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석탄화력발전소 문제를 놓고 갈등을 벌이고 있는데, 환경부는 석탄화력발전소를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으로 꼽고, 규제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했다. 최악의 경우 가동 중단까지 검토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한다. 반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석탄화력발전 대신 LNG 발전을 할 경우 ㎾h당 발전 단가가 석탄보다 훨씬 커 전기 요금을 인상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물론 환경이라는 외부효과를 감안하지 않은 수치다.

이처럼 부처에 따라 다른 의견을 내는 것은 미세먼지에 대한 범국민적 관심을 감안하면 의아스럽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국정지표상 환경요인을 감안하지 않은 경제성장률을 가장 중시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그리 이상할 것도 없다.

경제성장률은 GDP(국내총생산)에 의해 측정되는데, GDP는 일정기간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 합으로 정의된다. 생산된 제품이나 서비스가 외부효과를 통해 얼마나 사회적으로 나쁜 영향을 주는지는 문제되지 않는다. 가령 디젤차에 사용되는 경유는 개인 입장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싼 가격과 연비 때문에 이득이다. 그러나 연소과정에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므로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해악을 끼칠 수도 있는데 GDP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비용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 오히려 배출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데 비용이 들어가면 생산으로 계상되어 GDP가 올라가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다.

이러한 비합리성을 극복하기 위해 탄생한 것이 녹색GDP다. 녹색GDP는 GD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경제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환경손실을 화폐액으로 평가하여 기존의 GDP에서 차감한 지표(EDP: Environmentally adjusted net Domestic Product)다.

국제적으로 보면 1993년 국제연합(UN)에서 대기 질 악화나 환경 훼손이 사람의 건강과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는 녹색GDP의 가이드라인을 처음 제시했다. 그리고 유럽 일부 국가와 미국, 일본 등에서 이 개념을 도입했다.

우리나라에서도 학계 등에서 관심을 보였고 환경부, 환경정책평가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지표를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요인을 금액으로 평가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통계개발이 다소 지지부진한 면이 있다.

무릇 지표(指標)는 생물과 같다. GDP 통계도 쿠즈네츠 교수가 개발하고 '국민계정체계'라는 매뉴얼로 발전한지는 불과 수 십 년에 불과하다. 그만큼 통계는 여건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고정된 시각을 거두고 시대에 맞는 지표로 발전시켜야 한다. 만약 녹색GDP가 개발돼 우리나라 국정지표로 자리 잡게 된다면 지금처럼 각 부처마다 다른 목소리가 나오지는 않을 것이다.

미세먼지는 당장 우리 건강에 심대한 영향을 주기에 이견이 있다고 해서 대책을 미룰 일이 아니다. 이참에 녹색GDP에 관심을 갖고 우리생활을 환경 친화적으로 바꿀 새로운 지표 개발에 힘을 모아보자.

박창귀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경제조사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동구, 동심으로 물든 하루 '2025 어린이날 큰잔치'
  2. K리그1 1·2위 맞대결…대전하나시티즌vs전북현대 승자는?
  3. 6연승의 한화이글스, 리그 선두 도약까지 이제 한 걸음
  4. 천안시, '안심보안캠 설치 지원' 1인 가구 청년 지원자 모집
  5. 대전시 올해 첫 모내기, 유성구 교촌동에서 시작
  1. 천안시복지재단, 제2회 어린이 나눔 공모전
  2. 고용노동부 천안지청, 건설현장 체불임금 9억원 전액 청산
  3. 천안시 서북구, 상반기 지방세 미환급금 일제 정리 기간 운영
  4. 천안희망쉼터, 부처님오신날 맞아 '희망한줌, 연꽃한송이'나눔 행사 펼쳐
  5. 대통령실·국회 세종시 완전이전 대선 화약고 부상하나

헤드라인 뉴스


대통령실·국회 세종시 완전이전 대선 화약고 부상하나

대통령실·국회 세종시 완전이전 대선 화약고 부상하나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이슈가 20여 일 앞으로 다가온 6·3 대선 최대승부처인 금강벨트 민심향배를 판가름할 화약고가 될 전망이다. 각 후보마다 장밋빛 공약으로 충청에 구애하고 있지만, 각론에서 견해차가 큰 데다 워낙 휘발성이 큰 사안으로 본선 과정에서 충돌을 배제할 순 없기 때문이다. 국가균형발전 백년대계이자 560만 충청인의 염원인 이 사안이 또다시 정쟁의 소용돌이로 휘말릴 우려가 크다. 지금까지 윤곽을 드러낸 대진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무소속 한덕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격돌이 점쳐진다. 김문수 후보와..

국힘 중앙선대위 출범…충청권 인사 빠졌다
국힘 중앙선대위 출범…충청권 인사 빠졌다

국민의힘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공식 출범한 가운데 주요 보직에서 충청권 인사가 제외되면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본격적인 본선레이스 돌입을 앞두고 충청권 핵심현안을 대선 공약에 반영해야 할 시점에서 중앙선대위에서 지역의 목소리가 뒷전으로 밀리는 것 아니냐는 걱정 때문이다. 6일 국힘에 따르면 전날 오후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비상대책위원회 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중앙선대위 및 시도당선대위 구성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김문수 후보가 지난 3일 당내 경선에서 대선 후보로 선출된 지 이틀 만이다. 중앙선대위 주요 인선에는..

[사상 초유 대대대행 체제] 지역 경제계 컨트롤 타워 부재 우려감
[사상 초유 대대대행 체제] 지역 경제계 컨트롤 타워 부재 우려감

사상 초유의 '대통령 권한 대대대행 체제'에 돌입하면서, 지역 경제계에서 컨트롤 타워 부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가 잇따라 사퇴하면서 2일 0시부터 국무위원 서열 4위인 이주호 사회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이어받게 됐다. 이에 따라 당장 미국의 통상압박을 어떻게 풀어나갈지와 한 달 앞으로 다가온 대선을 어떻게 관리할지가 이주호 대행의 중대한 과제가 됐다. 다행인 점은 이주호 권한대행의 과거 주요 이력이다. 이 대행은 서울대에서 무역학 학사·경제학 석사를, 미국 코넬대에서 경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화이글스 공동 1위…야구장은 매진 행렬 한화이글스 공동 1위…야구장은 매진 행렬

  • 제21대 대선 선거인명부 작성 제21대 대선 선거인명부 작성

  • 물총 싸움으로 연휴 즐기는 시민들 물총 싸움으로 연휴 즐기는 시민들

  •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