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톡] 두통, 신(神)이 내린 축복

[공감 톡] 두통, 신(神)이 내린 축복

  • 승인 2016-07-22 01:00
  • 김소영(태민)김소영(태민)
▲ 게티 이미지 뱅크
▲ 게티 이미지 뱅크


아침부터 가느다란 송곳으로 머릿속을 찔러대는 듯한 통증에 미간 사이에 주름이 그려졌다. 나는 가끔 심한 두통에 시달린다. 한번 나타나면 적어도 이틀은 꼼짝없이 누워 쉬어야 나아진다. 심한 두통이 속까지 건드려 식사도 제대로 할 수가 없다. 죽으로 겨우 끼니를 때워야 한다. 이때 가장 많이 애용하는 건 벌건 배추김치를 쫑쫑 썰어 묵은 밥을 넣고 잔멸치를 넣어 끓인 김치죽이다. 이것이 그렇게 속을 달래 줄 수가 없다. 예전에 임신을 했을 때 즐겨먹던 음식이기 때문이다.

엊그저께도 심한 두통에 시달리면서 도대체 이 두통은 왜 생겨서 나를 이리도 괴롭히나하고 화가 났다. 콕콕 쑤셔대던 통증은 눈으로까지 내려와 눈을 뜰 수가 없어졌다.

참을 수 없는 통증에 침대에 누워 두통을 분석하기 시작했다. ‘두통이 왜 생기는 걸까? 어떨 때 생기지?’

내가 너무 활동량이 많아서 잠이 부족하기 때문일까? 아니면 신경 쓰는 일이 많아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기 때문일까? 곰곰 생각해 보니, 이 두통은 나를 괴롭히기 위해 오는 고통이 아니었다.

그럼 왜?
오히려 나를 쉬게 하고 몸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오는 하나의 선물과 같은 것이라는 걸 깨닫게 된 것이다.

‘야, 너 좀 쉬어야 할 때야’ 하며 몸에서 주는 신호였던 것이다. 그래서 마음을 바꿨다. 그냥 아무생각 없이 쉬어 주기로…….

먹기 좋은 부드러운 음식을 골라 먹고 잠도 푹 자며 지냈다. 그랬더니 다른 때 보다 훨씬 빨리 회복이 되는 것이다. 그래, 나에게 오는 두통은 신이 내린 축복. 쉴 때 쉬라는 신호였던 것이다.

이솝 우화인 토끼와 거북의 경주에서 토끼는 달리다 말고 잠을 잤던 것이다. 경주에서 좀 뒤처지면 어떠랴? 건강이 최고인 것을. 옛날 우리 부모님들은 거북이처럼 쉬지 않고 일만했다.

토요일도 없었고 휴일도 없었다. 그 결과 평균 수명이 50을 좀 넘었다. 그러나 주 5일제가 생기고 일할 때 토끼처럼 열심히 일하고 쉴 때 푹 쉬는 요즈음 평균 수명이 80이지 않는가? 누군가는 의술이 발달해서 그렇다고 할지 모르나 쉬지 않고 일하고 신경쓰다보면 몸도 맘도 지치게 마련.

좀 다른 이야기지만 옛 이야기 한번 해보자.

어떤 나이 든 스승에게 항상 불평만 하는 제자가 있었다. 어느 날, 스승은 제자에게 소금을 사오라고 시켰다. 그리고는 제자에게 물이 든 잔에 소금을 한웅큼 넣고는 마셔 보라고 했다. 스승은 물었다. “맛이 어떠냐?”

제자는 침을 뱉으며 말했다. “짜다 못해 씁니다.”

스승은 제자에게 남은 소금을 맑은 호수에 넣으라고 했다. “자, 이제 호수의 물을 마셔보아라”

제자는 스승이 시키는 대로 했다.

“맛이 어떠냐?”
“아주 물맛이 좋습니다.”
“짠맛이 느껴지느냐?”
“아닙니다. 전혀 느껴지지 않습니다.” 스승은 제자의 손을 잡고 이렇게 말했다.

“인생의 고통은 이 소금처럼 양이 정해져 있느니라. 단지 고통을 받아들이는 마음의 크기에 따라 고통의 강도가 결정되지. 그러니 고통을 받아들이는 마음을 넓게 가져라. 잔(盞)이 아니라 호수만큼 크게 말이다.”

짠맛의 유무(有無)는 물이 담겨있는 그릇의 크기에 달려 있다. 우리 인간사도 그렇다. 거북이처럼 쉬지 않고 일만하면 몸에 무리가 와서 결국 병원신세를 지게 마련이다. 왜 우리 부모 세대는 쉬지 않고 노력만 하는 거북이를 본받자 하였을까? 토끼처럼 일 할 땐 하고 쉴 때 쉬는 현명함을 발견하지 못했을까?

나는 세상에서 신축성(伸縮性)이 큰 것은 호수나 바다가 아닌 바로 사람의 마음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면 마음이 바다처럼 넓어지게 되고, 마음이 바다처럼 넓어지게 되면 모든 불행과 시련이 몰아닥친다 해도 큰 파도를 불러일으키지는 못할 것이다.

어제 선물 받은 시집 속 자신의 통증을 큰 그릇에 담는 법을 알리는 시 하나를 발견했다.

하늘의 또 하나의 선물일까?

55병동 최송석
차단된 시간 위에 놓인 불꽃. / 간이역 같은 병동은
거치지 않아도 아쉬울 것이 없는 곳인데
세월이 번번이 육신을 끌고 들어와 / 속속들이 수색을 한다.
모진 것들이 속을 파고드는 통증 속에 / 존립의 존재는 소리 없이 진행되고 있지만
상황을 어찌 할 것인가는 거의 자율이 아니다.
- 하 략-


/김소영(태민) 시인

▲ 김소영 시인
▲ 김소영 시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2. 대전 학생들의 HYO(효)와 함께하는 특별한 하루
  3. 세종시 '조치원~청주공항' 연결 버스 운행 재개
  4. 세종충남대병원, 개인정보 보호 캠페인 시작
  5. 대전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 2025년 재가장애인 익산 봄나들이
  1. 신영복지재단 산하 대덕구노인종합복지관 총명서포터즈
  2. 국립어린이박물관, 어린이날 맞이 '도시를 달려요' 전시 개최
  3. 소비자원, 주요 온라인쇼핑몰 7개사 점검 168건 위반사항 적발
  4. 세종 전통문화체험관, 건강한 식생활 위한 사찰음식 정규강좌 연다
  5. 타이어뱅크(주), 어린이날 맞아 따뜻한 나눔 실천

헤드라인 뉴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원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 이에 따라 이 후보는 서울고법에서 다시 재판받아야 한다. 서울고법은 대법원의 판단 취지에 기속되므로 유죄를 선고해야 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박영재 대법관)는 5월 1일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지난 3월 28일 사건을 접수한 뒤 국민의 관심이 지대하고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의 피선거권 여부가 달려있다는 점을..

한덕수 대행 “직면한 위기, 제가 해야하는 일 하고자”… 총리 사퇴
한덕수 대행 “직면한 위기, 제가 해야하는 일 하고자”… 총리 사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1일 "우리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 제가 해야 하는 일을 하고자 직을 내려놓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통해 "깊이 고민해 온 문제에 대해 최종적으로 내린 결정을 말씀드리고자 이 자리에 섰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법원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한 직후다. 또 "엄중한 시기 제가 짊어진 책임의 무게를 생각할 때, 이러한 결정이 과연 옳고 또 불가피한 것인가 오랫동..

세종시 베어트리파크, 어린이날 특별한 추억 선사
세종시 베어트리파크, 어린이날 특별한 추억 선사

세종시 베어트리파크가 어린이날 연휴를 맞아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5월 5일 아기 반달곰의 백일잔치를 포함해 다양한 어린이날 행사를 진행한다. 국내 유일의 행사로, 어린이와 가족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베어트리파크는 5월 1일부터 6일까지 무료 체험과 나눔, 마술쇼, 버블쇼 등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5월 5일에는 아기 반달곰의 백일잔치가 열리며, 관람객들은 마술과 버블쇼를 즐기며 아기 반달곰의 새로운 이름을 짓고 축하 노래를 부르는 시간을 갖는다. 이 외에도 5월 1일과 6일에는 입장객에게 선착순으로 새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