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차례상 어떻게 차릴까

  • 문화
  • 문화 일반

헷갈리는 차례상 어떻게 차릴까

생선·붉은 과일은 동쪽…고기·흰 과일은 서쪽에 '어동육서·홍동백서'가 기본 원칙

  • 승인 2016-09-12 13:53
  • 신문게재 2016-09-13 13면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행복 한가위]차례상 차리는 법

'더도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이 코앞으로 다가 왔다.

추석하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손꼽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차례상차림이다.

명절에 오랜만에 만나는 가족들과 함께 떠들썩한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지만 한해의 수확을 감사하고 조상께 예를 올리며 차례상을 준비하는 것은 한민족의 오랜 풍습이자 전통이다.

하지만, 차례상 차림은 젊은 세대일수록 제례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자칫하면 실수하기 쉽다.

많은 음식들을 차리는 것은 물론, 음식들의 배치가 여간 복잡한 것이 아니고, 차례는 조상이 돌아가신날 지내는 제사와 달리 설, 추석, 한식, 동지 같은 명절에 지내는 제이기 때문에 명절에 따라 차려놓는 음식도 조금씩 다르다.

때문에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해본 경험은 누구나 한번쯤을 있을 것이다.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풍습이나 지역적 특성, 고인의 취향 등을 고려해 개성 있는 차례상을 마련할 수도 있지만 예법에 맞는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원칙이 있다.

처음 차례를 지내거나 차례상 차리기를 어려워하는 이들의 의문을 풀고,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차례상 차리는 법'을 제시한다.

차례상 기본 원칙은 '어동육서(魚東肉西·물고기는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다.

이것만 기억한다면 어렵게만 보이는 차례상도 쉽게 차릴 수 있다.

설 차례상은 밥 대신 떡국을 올리는 것이 특징. 차례상은 북쪽에 두고 다섯 줄이 기본이다.

보통 첫째줄은 시접과 밥, 국을 지방(신위) 수대로 올린다. 여기에 추석엔 송편이 올라가며, 조상들께 올리는 술잔도 함께 놓는다.

둘째줄은 육전과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채소 구운것), 어전과 어적(생선 구운 것) 등이 올라간다.

이때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어동육서)으로 올리고,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두동미서)으로 올리면 된다.

셋째줄엔 탕을 놓는다. 육탕(고기), 소탕(두부), 어탕(생선) 등 삼탕을 놓는 게 원칙이지만, 합쳐서 하나로 만들어도 괜찮다.

탕은 일반적으로 1, 3, 5개의 홀수로 맞춰 준비한다. 탕 종류를 다섯 개까지 늘리는 경우 봉탕(닭), 잡탕을 더한다.

넷째 줄은 '좌포우혜'에 맞춰 북어, 대구 등의 생선을 왼쪽 끝에 놓고, 오른쪽 끝에 식혜류를 놓는다. 도라지, 시금치, 고사리 등 숙채와 침채(물김치)는 가운데에 올린다.

다섯째 줄은 과일을 놓는다. 이때 '조율이시'에 따라 서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놓는다. '홍동백서'에 맞춰 붉은색 과일은 오른쪽에, 흰색 과일은 왼쪽에 놓기도 한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선 앞 세종 집값 상승률 2주 만에 12배↑… 대전·충남은 '하락'
  2. 대전 둔산동서 음주운전으로 행인 3명 친 20대 검거
  3. KT&G '제17회 대단한 단편영화제' 출품작 공모
  4. [유통소식] 대전 백화점과 아울렛서 가정의 달 선물 알아볼까
  5. 신용보증기금, '대장~홍대 광역철도 사업' 7000억 원 규모 보증 지원
  1. 남서울대, '산학협력 글로벌 K-스마트팜 포럼'개최
  2. 서철모 서구청장, 릴레이 캠페인으로 인구문제 관심 호소
  3. 천안법원, 음주운전 집유 선고 전력 40대 남성 ‘징역형’
  4. "금강수계기금 운영 미흡 목표수질 미달, 지자체 중심 기금 개선을"
  5. 백석대, 지역 청년 일자리 창출 위한 협력체계 강화

헤드라인 뉴스


국민이 보는 지역균형발전…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 가장 필요

국민이 보는 지역균형발전…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 가장 필요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선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제기됐다. 이와 함께 지역균형발전에 가장 필요한 1순위 대책으로는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확충'이 꼽혔다. 3일 국토연구원이 '도로정책브리프'로 발표한 국토정책 이슈 발굴 일반국민 인식 조사에 따른 결과다. 이번 설문조사는 2025년 1월 21~24일까지 진행했고, 표본 크기는 1000명으로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69세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대책을 묻는 1순위 답변으로는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확충'이 27...

`벼락 맞을 확률` 높아졌다…기후변화에 장마철 낙뢰 급증
'벼락 맞을 확률' 높아졌다…기후변화에 장마철 낙뢰 급증

지난해 대전 지역에 떨어진 벼락(낙뢰)만 1200회에 달하는 가운데, 전년보다 4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낙뢰가 잦아지면서 지난 5년간 전국적으로 낙뢰 사고 환자도 잇달아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기상청 '2024년 낙뢰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 지역에서 관측된 연간 낙뢰 횟수는 총 1234회다. 앞서 2021년 382회, 2022년 121회, 2023년 270회 낙뢰가 관측된 것과 비교했을 때 급증했다. 1㎢당 낙뢰횟수는 2.29회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같은 해 충남에서도 전년(3495회)에 약 5배..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대청호 오백리길 ‘명상정원’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대청호 오백리길 ‘명상정원’

본격적인 연휴가 시작됐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들과 국내외로 여행계획을 잡았거나 지역의 축제 및 유명 관광지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에 반해 인파가 몰리는 지역을 싫어해 여유롭고 한가하게 쉴 수 있는 곳, 유유자적 산책하며 휴일을 보내고 싶은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곳이 있다. 바로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에 위치한 명상정원이다. 명상정원은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인 호반낭만길을 지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 차량을 이용한다면 내비게이션에 명상정원 한터주차장을 검색하면 된다. 주차장에서는 나무데크를 따라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화려한 개막…4일까지 계속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화려한 개막…4일까지 계속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