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충식 경제라운지] 전국의 맛집이 몰려온다

  • 오피니언
  • 최충식 경제통

[최충식 경제라운지] 전국의 맛집이 몰려온다

  • 승인 2016-10-12 11:24
  • 신문게재 2016-10-13 22면
  • 최충식 논설실장최충식 논설실장
▲ 최충식 논설실장
▲ 최충식 논설실장
'밥을 짓다, 집을 짓다, 옷을 짓다'에는 재료를 들여 만든다는 뜻 이상의 엄숙한 의미가 있다. 글을 짓는 업(業)도 그렇다. 가짜를 펑펑 쏟아내는 것이 아니라 한 땀 한 땀 진실을 짓는 일이다. 지겨운 밥벌이의 산물이든 낭만적 밥벌이의 결과든 밥 짓기는 소중하다. 컵라면에 뜨거운 물을 붓는 행위는 짓기, 지음(作)과 어울리지 않는다. 세븐일레븐의 강릉 교동짬뽕이라고 해도 달라질 건 없다.

하지만 그런 의미 부여와 상관없이 편의점 컵라면이 된 교동짬뽕은 볼수록 기특하다. 코리아 세일 페스타(9월 29일~10월 31일) 행사 기간 중 안동구시장에서는 안동찜닭을 간판상품으로 내걸고 있다. 그곳까지 가기 힘들면 이마트에서 자체브랜드(PB, Private Brand) 제품으로 팔리는 간편식 안동찜닭으로 대신할 수 있다. 갤러리아백화점 타임월드점에는 최근 대선칼국수가 입점했다.


이처럼 '마트, 편의점으로 들어온 지역 맛집'이 화제가 되고 있다.(브릿지경제 10월 11일 1면) 이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이 간편식이다. 일상이 복잡할수록 일용할 양식은 단출해진다. 삶이 전쟁이어서 그럴까. 실제로 간편한 음식문화의 한 축은 전쟁과 연관이 있다. 예를 들면 몽골기병의 육포는 말안장 밑에 말고기나 양고기를 넣어 납작하게 된 전투식량이었다. 일설에 따르면 이 타르은르스테이크가 독일 함부르크를 거쳐 미국에 건너가 햄버거가 된다. 식품 포장용 캔은 나폴레옹이 전쟁 중에 현상 공모로 개발한 것이다. 밀가루 사람머리를 빚어 노한 강물의 신을 달랬다는 제갈량의 만두도 있다. 돼지국밥과 밀면에는 6·25 한국전쟁의 아픔이 오롯이 담겨 있다.

순대도 연원을 찾아가면 몽골군대와 만난다. 용어부터 만주어 생지(순=피) 두하(대=창자)가 변형돼 순대가 됐다. 언어에 완전한 순혈주의는 없다. 얼마 전까지 비교양어로 치부됐던 짜장면이나 짬뽕을 자장면이나 초마면(炒碼麵)으로 바꾸면 음식 맛이 싹 달아난다. 짬뽕은 국적부터 '짬뽕'인데다 그 한 그릇에 일본 군국주의와 동아시아 근대사가 얼기설기 혼재한다. 초마면에 고춧가루를 팍팍 쳐야 짬뽕이다. 케밥(터키), 스파게티(이탈리아), ?얌꿍(태국)은 놔두면서 만만한 우동에 시비 걸지 말라는 얘기는 필자가 이번 '말과글'(2016년 가을호) 특집에서 우회적으로 쓴 바 있다. 일본 우동과 대전역 가락국수는 같은 듯 다른 음식이다.

대전에 명물 먹거리 튀김소보로로 이름난 성심당이 있다면 전주에는 풍년제과가 있다. 이 집에서 만든 수제 전주 초코파이를 편의점 CU가 재현해 'GET 초코파이'로 옷을 입혔다. 속초 홍게, 청양 고추 라면, 통영 굴 매생이 라면 등 팔도 명물의 비법을 전수받은 식품들도 어렵잖게 만난다. 전쟁 같은 일상 때문에, 아니면 1인가구와 혼술·혼밥족 등의 증가로 간편식 시장이 영토를 넓히고 있는 것이다.

충청권 맛집 중에도 백화점 등 입점이나 간편식화에 좋은 식당이 없지 않다. SBS '백종원의 3대천왕'에 소개되면서 올 상반기 114 문의 베스트 음식 30가지에 오른 대전 한영식당과 부여 시골통닭집을 비롯해 손꼽힐 만한 숨은 맛집과 메뉴가 제법 많다. 유통업체와 손잡는 지역 특산음식의 전국화는 다양한 메뉴와 높은 가성비, 국민 입맛의 공통분모를 찾아야 승산이 있다. 전국화, 현지화 전략이 적중하면 시간에 쫓겨 따뜻한 밥 짓기가 여의치 않은 사람들이 더욱 반길 것이다. 올해 2조3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되는 국내 간편식 시장에 눈을 돌려볼 때다.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에서 기세를 떨치는 지역판 '리얼푸드'를 기다려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3.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