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대전 사람(大田人)’이란?

  •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대전 사람(大田人)’이란?

  • 승인 2017-06-20 16:25
  • 신문게재 2017-06-21 23면
  • 강병수 충남대 교수 대전학연구회장강병수 충남대 교수 대전학연구회장
▲ 강병수 충남대 교수(대전학연구회장)
<br />
▲ 강병수 충남대 교수(대전학연구회장)
대전(大田)이 도시의 면모를 갖춘 지도 어느덧 100년이 넘었고, 행정적으로 대전시(大田市)가 태어난 지도 70여년에 가깝다. 그 동안 대전 사람은 누구였으며, 현재 대전 사람은 누구인가? 그리고 미래 대전을 가꾸어 갈 대전 사람은 누구일까? 대전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이 대전 사람인가? 아니면 그 가운데 대전 사람이 따로 있는가? 대전에서 태어나 고향이 대전이면서 대전에서 초·중·고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일까? 아니면 대전에서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오랫동안 대전에 살면서 자식을 낳고 기르며 대전을 내 고장으로 생각하고 애향심을 가진 사람인가?

6.25전쟁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대전에는 원래 고향이 대전인 사람이 전체의 1/4, 영남에서 온 사람이 1/4, 호남에서 온 사람이 1/4, 그리고 이북에서 온 사람이 1/4이 되어 크게(大) 밭 전(田)자를 4등분하여 인구구성을 해석하기도 하였다. 1990년 후반 연구단지와 정부대전청사가 준공되면서 인구구성은 바뀌었고 원래 고향이 대전인 사람의 비율이 조금은 낮아 졌을 것이다. 그러나 이주민들의 많은 자식들이 대전에서 태어나고 자라면서 그 비율은 크게 변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들도 대전에서 태어나 갑천과 대전천, 그리고 보문산과 동학사를 주름잡으면서 대전 사람으로서의 정체성과 긍지와 애향심을 가지고 있다. 다른 지역 누구보다도 한화 야구팀을 응원한다.

지역의식은 지역주의로 발현되며 지역배타주의와 지역애향주의로 나타난다. 지역의식이 지역배타주의로 나타나면 나쁘게 보인다. 자기지역을 스스로 방어하기 위하여 옆 지역에 배타성을 가지게 된다. 즉 자기지역을 높게 보려고 하니 다른 지역을 부정적으로 낮게 보게 된다. 그러나 지역애향주의로 나타나면 지역발전에 기여하게 되고 장학금을 기탁하는 것과 같은 긍정적이며 발전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선거 때 만 되면 대전·충청으로 뭉치자고 온 통 난리 법석이다. 그러나 막상 선거를 치르면 영남이나 호남처럼 지역성을 가지고 뭉쳐지지를 않는다. 대전에 함께 살면서 여전히 호·불호(好·不好)가 다르고 의견이 다양하며 대전이라는 하나의 지역주의로 뭉치지를 않는다. 그것이 대전의 단점이지만 큰 장점일 수 있다.

대전이 다른 지역과 많이 다른 것은 관용성과 포용성이 크다는 것이다. 인구 구성이 다양하고 그로 인해 쉽게 하나로 뭉쳐지지는 않지만 이주민을 배척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요즈음 세계적으로 회자되며 4차 산업혁명의 주류계급이 될 ‘창조계급(Creative Class)’은 인구구성이 다양하고 관용성이 큰 지역으로 옮겨 다닌다. 첨단산업보다 경쟁력이 훨씬 높은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이 창조계급을 따라가고 창조산업이 꽃을 피우는 도시를 ‘창조도시(Creative City)’라고 정의한다. 미국 실리콘 밸리의 중심도시인 샌프란시스코와 실리콘 힐이라고 불리는 텍사스의 오스틴은 최저의 실업률을 자랑하면서 창조도시 1,2위를 다툰다. 두 도시 모두 인구구성이 다양하고 관용성이 큰 환경을 가지고 있다. 대전과 가장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 사람들이 직장 따라 주거를 옮길 때 지역배타주의에 겁먹지 않고 기회의 땅으로 쉽게 옮겨가는 곳이 대부분 창조도시이다. 그런 점에서 대전은 우리나라에서 1,2위의 창조도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와 오스틴에는 이민자와 직장을 따라 온 외지인이 압도적으로 많다. 그들 모두 샌프란시스코 사람으로, 오스틴 사람으로 거듭 태어나면서 스스로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현재 대전에 살고 있는 나는 대전 사람인가? 현재의 대전 사람들이 앞으로 새롭게 이주해 올 사람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에 대해 심사숙고해 보아야 한다. 지금까지 대전을 내 고향과 내 고장으로 생각하면서 살던 사람, 현재 대전을 내 고장으로 생각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 그리고 새롭게 대전에 정착해 올 사람들을 모두 아울러 우리는 대전 사람으로 정의하여야 할 것이다.

요컨대 ‘대전사람’이라고 하면 관용과 포용의 특성을 가지면서 대전을 내 고장으로 생각하고 앞으로 나와 내 자식들이 살아가야 할 미래의 땅으로 생각하는 소속감과 정체성과 애향심을 가진 사람이어야 할 것이다.

강병수 충남대 교수(대전학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 다가동 예식장 연회장서 천장 마감재 떨어져 하객 10명 부상
  2. 전통시장 수산물 구매, 최대 30% 환급 시작
  3. 어촌마을 워케이션, 바다와 함께 일하며 쉼표 찍는다
  4. 천안동남서, 대학 축제기간 마약류 이용 성범죄 예방 캠페인 실시
  5. '노후 원양어선' 대체 건조 본격화...6월 중 최종 사업자 선정
  1. aT, 무궁화 보급 유공자에 표창 수여
  2. 상명대, 소수정예 웹툰작가 양성사업 선정 및 참여 교육생 모집
  3. 아산시, "걷기로 건강도 혜택도 챙기세요"
  4. 대전 댕댕이들 여기 다 모였다! 2025 대전펫&캣쇼 첫날 표정
  5.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헤드라인 뉴스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충남 서산 부석사에 모셔져 신자들이 친견법회를 가진 금동관세음보살좌상이 5월 10일 이운 법회를 마치고 일본으로 돌아가는 여정에 올랐다. 신자들은 지난 100일 정성으로 봉양한 불상을 떠나보내는 슬픔과 복받치는 감정을 억누른 채 오히려 그곳에서 일본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는 계기가 되어 돌아올 수 있기를 기원했다. 10일 오전 부석사가 있는 서산 도비산은 짙은 안개와 함께 강한 바람으로 좀처럼 보기 어려운 악천후 속에서 이운 법회가 개최됐다. 이날 부석사 설법전에는 신자 50여 명과 조계종 중앙종회의장 주경 스님과 수덕사 주지 도신..

의대생 8305명 유급, 46명은 제적… 수업참여 34.4% 그쳐
의대생 8305명 유급, 46명은 제적… 수업참여 34.4% 그쳐

전국 40개 의과대학 재학생 46명이 제적되고 8305명이 유급 대상자로 확정됐다. 학기 말 성적경고 예상자 등을 포함하면 1만 2767명에 달해 수치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9일 교육부가 발표한 '전국 40개 의과대학 유급 및 제적 대상자 현황'에 따르면, 의대생 1만 9475명 중 42.6%에 해당하는 8305명이 유급, 0.2%인 46명이 제적될 예정이다. 예과 과정에 유급이 없는 대학의 경우, 2025학년 1학기 이후 성적경고 예상 인원은 3027명(15.5%)으로 나타났다. 또 1학기 등록 시 1개 과목만 수강 신청해..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2022년 5월 10일 전면 개방과 함께 국민 품에 안긴 지 3주년을 맞은 '청와대'. 영욕의 상징으로 통한 청와대의 미래지향적 선택지는 어디일까. 6월 3일 대선 국면에선 다시금 권력의 품으로 돌아가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청와대 방문객 수가 부쩍 늘고 있다. 운영 주체인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청와대 재단은 이 같은 여건 변화와 관계 없이 일상적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중도일보는 '국민 vs 권력' 사이에서 기로에 선 청와대 개방 3주년을 재조명하고, 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필요성에 무게를 싣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