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돋보기]한국스포츠개발원, 1.8% 융자 받아 돈 벌자

  • 스포츠
  • 스포츠종합

[스포츠돋보기]한국스포츠개발원, 1.8% 융자 받아 돈 벌자

  • 승인 2017-09-07 14:51
  • 신문게재 2017-09-08 10면
  • 구창민 기자구창민 기자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에서는 우리나라의 21세기 신성장 동력인 스포츠산업 육성을 위해 스포츠산업 융자사업을 1991년부터 2017년 9월 현재까지 시행해 오고 있다.

모두 2594억 4000만원의 융자금을 지급했고, 844개 업체가 혜택을 받았다.

분야별로는 체육시설업(2174억 7500만원/650개 사업체), 체육용구생산업(286억 5000만원/168개 사업체), 스포츠서비스업(53억 1500만원/24개 사업체), 국제경기대회 경기시설설치(800억 /2개 사업체)에 지원됐다다.

2014년까지는 60~70억 내외 규모로 지원됐지만, 2014년도부터 사업비가 확충돼 현재는 300억 규모가 됐다.



지원형태는 은행 담보부 대리대출 형태로 진행되며, 사업예산 관계로 차입 신청 순서대로 융자가 진행된다. 대상 기업으로 선정됐어도 사업예산 소진 시 지원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해를 돕고자 내용을 세세히 설명한다.

융자 대상 업체는 ① 민간체육시설업체(단, 회원제 체육시설, 무도장 및 무도학원장 제외) ② 체육용구생산업체(문화체육관광부장관 지정 우수체육용구생산업체) ③ 스포츠서비스업체 회사설립 1년 경과업체(외국계 업체 제외), 스포츠경기업체, 스포츠마케팅업체, 스포츠정보업체 이다.

세부내용으로는 등록체육시설(골프장업, 스키장업, 자동차경주장업) 및 요트장, 조정장, 카누장, 빙상장, 승마장, 종합체육시설, 벨로드롬, 아이스하키장을 신규 설치하고자 하는 사업주는 시설설치 자금 30억원까지, 개보수자금은 10억원까지, 운전자금은 2억원까지 융자가 가능하다.

이외의 신규 체육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사업주는 시설설치 자금은 20억원까지, 개보수자금은 10억원까지, 운전자금은 1억원까지 융자가 가능하다.

회원제 골프장에서 대중제 골프장으로 전환해 운영하거나 전환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주는 시설설치자금 및 개·보수자금 85억원, 운전자금은 10억원까지 융자가 가능하다.

스포츠산업진흥시설 지정 프로스포츠단 연고 경기장을 운영하고 있는 자는 개보수자금은 50억원까지, 운전자금은 10억원까지 융자가 가능하다.

체육용구 생산업체와 스포츠서비스업체는 설비자금 10억원, 연구개발자금 3억원, 운전자금 2억원의 융자가 가능하다.

융자취급 금융기관은 국민은행 등 14개 시중은행(융자추천서 발급기관, 융자업체 선정 후 담보평가 실시)이며, 심사기준에 따라 기금융자심의회를 개최하여 서류심사(사업내용 및 중요도, 사업진행정도, 자기자본력, 담보가능여부)를 통해 선정된다.

한국스포츠개발원에 의하면, 기금융자 사업운영의 성공적인 업체로는 ㈜개선스포츠(서울:공장 증축 및 생산설비 공사), 리더스골프클럽(주)(경남:골프장 건축 및 내부인테리어공사), 주식회사 투나볼링(경기:볼링장 기계장치 설치 및 인테리어), ㈜세마스포츠마케팅(서울:스포츠엔터테인먼트 시스템 구축), 주식회사 팀트웰브(서울:축구 분석 지표 및 분석시스템 개발) 등이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한다.

한국스포츠개발원은 스포츠기업들에게 저리 자금을 지원하고, 스포츠를 통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26년째 융자 지원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수년간 심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높은 금리의 대출을 쓰면서도 정보에 어두워 신청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업체들을 많이 보고 있다.

어렵게 번 돈을 굳이 은행에 이자를 더 내가며 사업할 이유는 절대 없다. 자금이 필요한 스포츠사업가라면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의 홈페이지를 꼭 방문해 보길 권한다.



정문현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2.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3.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