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 이야기] 신금성, 만해 한용운의 고향을 지키며 묵묵히…

[조영연의 산성 이야기] 신금성, 만해 한용운의 고향을 지키며 묵묵히…

제22회 신금성(神衿城-충남 홍성군 결성면 금곡리)

  • 승인 2017-12-0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4.신금성전경(결성에서본)650
결성에서 바라본 신금성 전경/사진=조영연
'결성(結城)'은 천수만 깊숙이 들어와 수룡동포구(현재는 洪城湖) 안쪽으로 들어온 금곡천변에 있다. 고대에는 안쪽 결성현청 앞까지 수로와 갯벌지였다.

백제시대는 결기군(結己郡, 삼국통일 후 潔城郡)으로 고려시대 운주(運州, 홍성)에 포함하여 결성으로 고친 후 현감을 두었다. 18C초(옹정 정축) 자식이 아비를 죽인 사건으로 한때 보령에 예속시키기도 했으나 다시 행정구역 개편 시 결성으로 복구됐다.



워낙 낮은 지대여서인지 신금성 대신 결성읍성으로 후대에 내(川) 건너 산기슭으로 옮겨져 현재는 일부 건물, 성벽 그리고 기초석들만 남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神衿城 在縣西五里 土築1350尺 今廢"에 이어 忠淸道邑誌에 '읍 5리 북쪽 신금성은 洪武30년에 산성으로 옮겼다'는 기록으로 미뤄 태종원(1400)년에 현재의 석당산 아래 읍성으로 옮기기 전까지 읍 치소였음을 알 수 있다.



사방 220m 가량의 정방형 평면 형태지만 현재는 입구인 북벽과 서벽을 제외하곤 폐해졌다. 잔존 상태로 미뤄 판축기법의 토축성으로 비교적 양호한 북벽 중앙 절단부가 문지로 여겨질 뿐 나머지는 김해김씨 문중 묘지나 농지로 완전 유실, 평범한 농촌마을이 됐다. 간척 전 천변보다 한 층 높긴 하지만 워낙 지대가 낮아 사방이 열린 작은 야산에 불과해 보인다.

홍성군지에 의하면 과거 발굴에서 백제-조선시대 다양한 토기와 와편이 출토됐으나 백제시대 유물은 성벽과 무관한 유적에서 출토돼 대체적으로 이 성의 축조 시기를 고려 이전 9C 무렵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이 백제 결기현의 치소였다면 당연히 치소성으로 출발했을 것으로 보아도 될 것 같다. 성의 서쪽 1km 정도 무량리에 봉화대가 있고, 그 사이에 조선시대 금정도(金井道)의 해문(海門)역이 있던 역말, 역촌이 있었다.

4.신금성내성벽650
신금성내 성벽/사진=조영연
만해 한용운의 고향이고, 이웃 갈산 김좌진 장군을 위시해서 金福漢 같은 지사들이 이 지역 출신들이다. 결성은 천수만, 서해안을 배경으로 한 어업과 금곡천 주변 농업이 번성해서 문화적으로도 활동이 활발한 곳이었다. 그 결과 두레를 통한 농경문화의 전통을 담은 결성농요, 구한말 송만갑 등과 더불어 판소리 공연과 전승에 앞장섰던 김창룡, 고수 한성준은 물론이요, 신재효의 뒤를 이은 판소리 대가 최선달의 후손들이 이 지역에 대대로 살아오면서 결성은 판소리의 중요한 전승지가 됐다.

이 험난한 난행량과 해안을 무사히 통과한 당나라 군사들은 일사천리로 기벌포에 이르렀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3.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4.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5. 온새미로 봉사단과 함께하는 사랑의 소규모 집수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