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마의태자 오누이의 애달픈 이별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마의태자 오누이의 애달픈 이별

제24회 하늘재 너머 덕주사와 산성

  • 승인 2017-12-15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하늘재정상650
하늘재 정상/사진=조영연
계립령(鷄立嶺)은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

신라초 8대 아달라 이사금(阿達羅尼師今)3(156)년에 이곳에 도로를 개척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미뤄 일찍부터 신라가 길을 열어 북진의 통로로 사용하려 했던 듯하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조령이 주통로로 개척됐다면 그 이전에는 고모산성을 출발하여 일대에서는 가장 낮은 지역인 하늘재, 계립령을 통과하는 교통로가 존재했다고 보여진다.



계립령과 하늘재의 위치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들이 있어 아직 정설은 없다. 계립령은 고구려 온달이 "鷄立縣, 竹嶺 서쪽이 우리에게 돌아오지 않으면 나도 돌아오지 않겠다."고 비장한 결심을 하며 출발했다는 기록 속의 지명이라고 추정된다.

하늘재표석-450
하늘재 표석/사진=조영연
이 고개를 사람들은 '지릅재, 지름재, 기름재, 油峙' 등으로 부른다고 하고, '麻骨沾, 麻木峴' 麻骨山, 鷄立峴' 등으로 한 다른 기록들이 있는데 이런 명칭들은 길쌈 용어 '계릅대, 저릅대, 지릅대' 등과 상통하는 것이다. 즉 삼베 길쌈에서는 그 재료인 '삼(麻)의 껍질을 벗기고 남은 속대 즉 麻骨'을 민간에서는 곳에 따라서 '계릅대, 저릅대, 지릅대' 라고 부른다.



이때의 마골이니 마목이니 하는 말들은 모두 삼의 속대를 가리키는 한자말로서 고유어 계릅, 저릅, 지릅에 해당된다. 따라서 계립령의 鷄立은 '삼(麻)대'를 의미하는 '계릅, 지릅'을 근접한 한자음으로 音借해서 쓴 것으로 볼 수 있다. 지릅재는 삼국사기 속 계립령과 가장 가까울 것으로 보인다. 1/50,000지도에는 하늘재와 지릅재가 미륵사지 앞에 독립적으로 나타난다. 계립령을 조령으로 보는 견해는 "계립령은 지금의 조령이다"라고 한 東史綱目에 바탕을 둔 것이다.

험준한 소백산맥 등줄기지만 하늘재에서 미륵리까지는 평탄한 길이다. 신라가 북진을 위해 일찍(2C)부터 개척한 하늘재 고개를 넘으면 덕주사와 미륵대원지에 닿는다. 경순왕의 딸 덕주공주와 마의태자의 망국의 한이 미륵사와 미륵불에 서린 곳이다. 훗날 영남지방으로 오가던 나그네들을 위한 院이 설치됐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3.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4.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5. 온새미로 봉사단과 함께하는 사랑의 소규모 집수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