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적성산성, 삼국시대부터 교통의 요충지서 중요 역할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적성산성, 삼국시대부터 교통의 요충지서 중요 역할

제29회 적성산성(赤城山城 -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성재산)

  • 승인 2018-01-1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적성산성
적성산성/사진=조영연
북동부 태백산에서 발원한 남한강물은 우여곡절 끝에 온달산성 앞을 통과한 뒤 곳곳의 크고 작은 지천들과 합류, 단양을 돌아 남서진하여 내려오며 충주호를 이룬다. 단양읍을 통과 급격히 남쪽으로 꺾인 강은 곧바로 적성산성 서벽 밑을 지나고 다시 꺾여 더 내려가 월악산국립공원 청풍관광단지 옥순봉 밑을 거쳐 충주호로 유입된다.

한편 문경(고모산성)과 죽령을 넘어오는 교통로(현재의 중앙고속도로, 5번국도 부근)는 각각 적성산성의 남벽과 동벽을 거쳐 제천, 한양 방면으로 북진한다. 단성에서는 영주-제천길에서 분기돼 국토의 중앙인 충주로 가는 35번국도가 출발한다. 적성산성의 임무는 이런 육로, 수로들이 교차하는 삼각점에 위치해서 그것들을 지키는 것이었다. 이 교통로들은 멀리는 삼국시대로부터 고려, 조선 나아가 현대(6.25)까지의 우리 역사 속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그 요충지에 적성산성이 자리했다.

성 위에서는 서쪽과 남쪽 지역과 수로가 모두 감지되며 동쪽은 죽령 문경 등 소백산맥을 통과하는 교통로와 지역이 관찰된다.

서벽과 남벽은 남북으로 진행되는 강과 죽령천을 해자처럼 둔 높은 지형이지만 약간의 사면 속에 적성비 아래 부분까지의 평탄지를 감싸면서 동과 북벽을 축조하여 전체적으로 남북으로 길어진 타원형이다. 대체적으로 외면은 경사가 졌지만 지대가 높은 서북쪽은 외측의 경사가 더욱 심하다. 동남쪽 비교적 평탄한 지역에 건물 등 시설이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동벽의 낮은 곳으로 배수구를 냈다. 성벽의 둘레가 약 920m인 테뫼식 산성이며 북동쪽 협축벽 일부가 원형으로 잔존하나 동,서,북벽은 현재 높이와 폭 삼사 미터 정도로 복원된 상태다. 서, 동, 동남에 문지가 있으며 서벽의 문지는 현문 형태로 복원되고 동쪽은 계단을 통해서 휴게소쪽으로부터 오르내리게 됐다. 東國輿地勝覽에 석축. 우물 하나' 등의 기록이 있다. 잔존 원벽이 비교적 얇은 장방형 자연할석들로 가지런하고 섬세하게 싸여진 바는 온달산성과 비슷한 점도 있으나 석재의 두께가 약간 두꺼우며 대림산성이나 장미산성들과는 상당히 다르다. 현재 이들 성들이 어느 나라 성이냐는 단정짓지 못한 상태다.



적성산성1
적성산성 앞 교통로 모습. 앞쪽이 죽령이다./사진=조영연
적성산성비550
단양 적성산성비/사진=조영연
어느 나라가 점령했느냐에 따라 전진기지냐 방어기지냐의 성격이 달라질 것이지만 강을 해자로 삼은 점에서는 북방의 적에 맞서기 위한 신라측의 사용에 더 유리할 것으로 여겨진다.

성내에서는 백제나 신라 등 삼국토기 및 와편들과 더불어 고려유물들도 출토돼 삼국시대에 활발히 활용되다가 고려 때까지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한다. 진흥왕 때 세운 적성비의 내용으로 미뤄 고구려와 신라간 쟁패기를 거쳐 6세기 중반 무렵부터는 신라가 확보하여 전진기지로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적성산성과 연관된 가장 중요한 사항은 赤城碑(국보198)의 발견이다. 이 비는 1978년 단국대 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된 것으로 높이 97×폭 107㎝의 화강암 자연석으로 조성됐으며 위는 넓고 아랫 부분은 뾰족하여 받침돌에 꽂아 놓은 역삼각형 형식이다. 일부 글자가 파손되긴 했지만 남은 430여 자를 통해 당시의 인명, 지명, 관직명 등을 파악할 수 있어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내용은 대강 이렇다. 大衆 等 喙(훼)部 출신 伊史夫智 등 지휘관 9인에게 왕이 교(敎)를 내린 내용으로 김무력, 이사부 등의 인물도 등장한다. 당시 고구려 영토였던 적성현을 공격, 고구려군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이 고장 적성인으로 고구려군과 싸우다 전사한 也爾次와 기타 관련된 유공자들을 왕이 포상하고 주민들에게 1년간의 세금 면제와 죄수를 사면해 주는 것이다. 진흥왕이 북한산 등 점령지를 점검하고 돌아오면서의 일이다. 아마 영토 확장의 기념과 더불어 점령지를 위무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웠다고 여겨진다. 내용으로 미뤄 진흥왕 때(454-551년) 무렵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진흥왕은 북쪽으로 진출하던 신라의 영토 확장 과정에서 차지한 함경도 마운령과 황초령, 북한산(경기도), 창녕(경상도) 등에도 巡狩碑를 건립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