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김유신 장군의 아버지가 쌓았다는 상당산성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김유신 장군의 아버지가 쌓았다는 상당산성

제35회 상당산성(上黨山城-청주시 상당구. 사적212호)

  • 승인 2018-03-0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상당산성
상당산성 진동문
이 성의 처음 축조는 김유신 장군의 아버지 김서현 장군이 쌓았다는 설 등 다양하다. 그러나 이 성은 어느 한 시기의 것이 아니라 백제시대, 통일신라 말, 고려말, 조선후기 등 여러 시기에 걸쳐 축조 활용된 것으로 한국 문화재 보호 재단의 발굴을 통해 밝혀졌다. 궁예 당시 축조된 성벽도 상당 부분 나타났다 한다. 현재의 산성은 숙종 42년(1716)에 개축한 것이다.

청주는 원래 백제의 상당현에 속했다가 삼국의 치열한 각축장으로, 상당산성은 백제성을 기초로 주인이 바뀔 때마다 변화되다가 조선 후기에 현재의 모습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백제 상당현 당시에 성이 존재했다면 북벽의 흔적으로 미뤄 전체적으로 토축 중심으로 출발했을 것으로 보인다. 서원경의 방어성으로 유사시 활용을 위해 석축으로 바꾸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현재의 규모와 형태로 변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성 안에는 넓은 공간과 토지, 급수 및 집수시설, 군사시설은 물론 창고와 관아, 무기고, 거주시설 등을 갖춰 전란시 많은 군사와 백성들까지 들어와 장기간 수성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춰 유사시 성밖의 많은 사람들이 들어와 적과 싸웠을 것이다

고구려는 남진의 최전선으로, 신라는 서원경(西原京)을 삼아 고구려와 백제에 대한 방어와 공격을 위한 요새로, 백제는 중원으로의 진출과 신라 견제의 최 전초기지로 중요하게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때는 궁예와 견훤, 견훤과 왕건이 밀고 밀리면서 각축했던 곳일 만큼 이 성은 점령자들에 따라 변하는 역사마다 항상 소용돌이의 중심에 섰던 현장이다.



상당산성은 둘레 4km나 되는 규모가 큰 포곡식(包谷式) 산성으로 홍예문(虹霓門) 형태로 된 중심 출입로이자 남문인 공남문(拱南門), 동문인 진동문(鎭東門), 서문인 미호문(?虎門)을 세웠다. 서문을 제외한 각각의 문들은 옹성이 없이 치성(雉城)으로 보완했다. 남문을 들어서면 옹벽에 부딪쳐 성 밑으로 돌아나가도록 한 용도(甬道)의 일부가 남아 있으며 부분적으로 복원된 여장(女墻-성가퀴)의 일부도 남문 서쪽 부분에 있어서 적의 방어와 공격에 어떻게 대비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자연지형을 활용해서 축조했지만 남문 좌우는 초승달형으로 휘었으며 양 끝에 치성까지 두어 방어를 견고히 했다. 여장이 없는 곳에는 성둑 위에 돌맹이가 박혀 있어 여장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상당 부분 남아 있는 성벽은 자연석을 차곡차곡 쌓아올린 고대 축성법을 잘 보여준다. 성 꼭대기에는 동장대와 서장대(제승당-制勝堂)터가 있으나 현재는 동장대인 보화정(輔和亭)만 복원됐다. 동문 북쪽, 동쪽 능선과 연결된 높은 곳과 남문의 서편에 두 군데의 작은 암문(暗門-비밀문)을 두어 유사시 비상구로 연락과 물자 조달에 사용했던 듯하다. 서문과 남문 사이 암문은 서남쪽 능선으로 연결되는 봉수대 것대산과 연결된다. 거기에는 진천 망이산-문의 소이산-계족산-환산-옥천 월이산 등을 거쳐 진주로 이어지는 간봉로가 있다. 성내 저수지는 농사나 유사시에 활용하고 해자 구실을 했을 것이다. 동벽에 수구가 설치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워낙 경사가 심한 북벽은 현재도 그 흔적을 볼 수 있는 바처럼 토성으로 대치됐을 것이다. 북벽의 석축들은 그리 높거나 견고하지 않은 모습이 후기 개축시나 최근에 구색을 맞추기 위해 쌓고 수구와 그 안의 집수정까지 만들었다. 현재의 성은 조선 중후기 숙종 무렵 개축한 것으로 주로 남쪽과 서쪽에 잘 다듬은 돌로 쌓은 성벽이 많이 남았고, 경사가 심하고 험한 계곡이 많은 북쪽은 성벽 높이가 아주 낮고 상당히 많이 붕괴된 상태다. 성돌의 배치도 종횡으로 맞물림과 들여쌓기로 크고 작은 재료를 잘 활용함으로써 실용성은 물론 미적으로도 매우 아름답다. 굵게 틈이 난 성돌 결합부에 자란 풀과 이끼, 담쟁이가 고풍스럽다. 무기고와 식량창고지도 있었다 한다.

청주상당산성
상당산성 서벽
성의 정상부 장대지 근처에 서면, 사방의 시야가 넓게 트여 전망이 아주 좋으며 특히 서와 북쪽 방면 평야 지대는 물론 남쪽 낭성산성까지 막힘없이 관측된다. 부근을 통과하는 이 길들은 옛날 신라군들의 주 통로이자 임진왜란 때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이 한양을 향해 가던 길이었으며 6?25 때 공산군들이 남진하던 그 길이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중봉 조헌(趙憲)이 승장 영규 대사와 함께 왜군을 물리쳤다. 동쪽에 구라산성, 북쪽 낭비성이 있다.

교통로 또한 평탄하고 편리해서 접근이 아주 용이하며 주변의 수목을 말끔히 제거하고 성벽 및 탐방길을 정비하여 시민들의 휴식처로서 알맞다. 성안에 각종 편의시설까지 곁들인 마을이 있어 치열했던 과거의 전쟁은 전혀 느껴지지 않는 평화로운 관광지다. 여러 면에서 작은 남한산성이다. 입구에 들어서면 맑은 호숫가 벚나무, 소나무 사이로 둥그스럼한 능선 아래 펼쳐지는 아늑한 성안 마을이 무척 정답다. 푸른 이끼 낀 가지런한 성돌, 가지 늘어진 장송, 묵직한 장대가 한결 고성의 운치를 돋운다. 品(품)자형 크고 작은 성돌의 배치는 현대 모자이크 작품에 지지 않는다. 푸른 소나무숲을 스쳐가는 안개가 멋지다. 안내상으로는 봄철 꽃 필 때의 풍경이 좋다고 했지만 특히 멀리 운주산성까지 펼쳐지는 미호천 위 석양 풍경은 사계절 절경이다. 이 아름다운 경치를 어찌 시인묵객들이 지나쳤으랴. 김시습이 남기고 간 해타(咳唾)가 공남문 앞에 비석으로 남았다. 전쟁과 죽음, 평화와 안식, 과거와 현재가 역설적으로 공존한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3.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4.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5. 온새미로 봉사단과 함께하는 사랑의 소규모 집수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