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백제 성왕은 왜 죽음의 땅 '구진베루'로 향했을까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백제 성왕은 왜 죽음의 땅 '구진베루'로 향했을까

제43회 구천(狗川)과 구타모라새(久陀毛羅塞)

  • 승인 2018-04-2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구진베루
구진베루/사진=조영연
사서 속의 구타모라새, 구천(狗川) 등의 어원 파악을 통해서 '42회 관산성 아래 구천(狗川)에서의 비극' 편에서 소개했던 당시의 상황을 천착해 본다.

구진베루의 '狗川'은 고유어 '궂은(厄)내'의 발음상 유사 한자 표기인 바, 구진베루는 '궂은(구진:액=厄)+베루(고대 국어 '별=벼랑, 물가의 낭떠러지崖)간 합성어로 좋지 못한 일이 전개됐던 전설의 현장으로 전자의 설에 무게를 둔다(신라?백제 격전지 관산성 지표조사보고서.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 2003). 필자는 내용면에서는 그 견해에 동조하면서 한자 '구(狗)'의 발음과 갈음될 가능성이 있는 고유어 '개'의 발음 속에 '내(川)'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살펴보고 싶다. 우리말에서 내(川)를 개울이라 한다. 개울은 갯골(갯굴, 갱골)에서 ㄱ탈락형으로 볼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갯골'이란 이름이 곳곳에 있는 것으로 보아 '내(川=개울)가 있는 골짜기'라는 의미인 보통명사로 '갯골(실제 발음은 개꼴)'이 쓰였을 가능성도 있다. 물론 이 경우도 구진베루 전설과도 연결된다.

실제로 현지를 답사해 보면 구진베루는 양편 바위산들 사이에 구불구불하고 큰 S자형 시내가 있으며 무중동과 삼성산(관산)간에 위치한 구릉지대와 개울 등 매복의 조건을 충분히 갖춰져 현재도 그 가까이에 외부에 전혀 노출되지 않는 군부대가 숲속에 감춰져 있다. 성왕의 죽음을 불러온 것은 산, 골짜기, 시내 등이 있는 험지에서의 매복이 거의 확실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성왕이 왜 하필 구진베루를 통과하려했는지 의문시된다. 그것은 성왕이 무중동이나 군서 성치산성은 다수의 군사 주둔지를 배경으로 왕이 대기하기에 충분한 곳이었기에 거기서 구진베루를 건너 구타모리새로 가고자 한 것이다.

일본서기(日本書紀) 19권 흠명기(欽明記) 15년 조에는 이때의 일을 일찍이 신라의 땅에 깊숙이 들어가 구타모라새(久陀牟羅塞)를 쌓고 오랜 동안 고생을 하고 있는 아들 여창(餘昌)을 만나 위로해 주러 보기 오십(步騎五十. '五千'의 오기?)을 이끌고 인근 백제 진영으로부터 출발했다가 도도(都刀)의 복병에 걸려 죽음을 맞는 것으로 전하고 있다. 두 장소의 거리가 1,2km 정도로 아주 가깝고 낮은 구릉지대여서 주둔지로부터 소규모의 병사만 대동하고 비교적 안심하고 갔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들이 있는 곳과 무중동 사이는 이미 점령지였기에 안도감에 젖어 방심하고 병사 50명만 대동한 것이다. 그렇게 근접한 거리임에도 구진베루에는 의외로 상당히 은폐할 장소가 있다. 노고성·무중동에서 출발한 성왕 일행이 멀지 않은 관산성(혹은 서산성) 인근 구타모라새를 향해 안심하고 구진베루 개울 근처를 지나가다가 지리를 잘 파악한 적(간자)에게 매복을 당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삼성산
삼성산 전경/사진=조영연
이 기록에서 또 한 가지 생각해 볼 일은 '구타모라새'의 표기와 삼성산성 일대와의 연관성 문제다. 이 말은 '구타모라+새(塞는 성 혹은 군 주둔지)'의 합성어인 바 '구타모라'라는 발음은 우리말을 일본인의 입장에서 음차한 것으로 여겨져 '굿터(삼국시대 굿드레, 일본의 구다라 등에서도 '굿'이란 말이 사용됨)+??'(?, 모루)로 굿당이 있는 마을을 의미한다. 그렇게 우리나라 지명을 자기나라 말로 음차한 굿당은 성황당과 관련이 있으며 '굿터말'은 굿당말 즉'서낭당(성황당)마을','서낭당 있는 마을'로 연결된다. 굿터말일본인들의 귀로 들은 바를 구따모라(久陀牟羅)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실제로 몇 사람의 일본인들에게 발음시켜 본 결과 비슷했으며 역으로 우리나라 '굿터(당)??' 발음과 일본인들의 청취 정도를 질문해 보아도 久陀牟羅의 일본식 발음과 유사하다는 반응이었다. 따라서 '굿터(당)마을의 성 즉 성황당 있는 성'이라는 이름을 찾아낼 수 있다. 이것을 현재 재건산(삼성산)과 서산성 사이에 위치한 성을 성황당 산성이라는 명칭과 일치시킨다면 구타모라새는 삼성산 혹은 서산성이고, 삼성산성은 공격대상인 관산성이라고 할 수 있게 되어 구진베루설과도 들어맞는다. 성황당은 삼성산 내 혹은 삼성산과 서산성 사이 고개에 있었을 것이다. 성황당은 세종실록지리지의 '在郡西四里 혹은 五里인 두 성 사이에 있었던 것이다. 성황당산성이 서산성이냐 혹은 성황당석성이냐 혼동하는 것도 두 성 사이 고개에 있던 성황당을 어느쪽으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근처의 성을 차지하여 지키고 있던 아들을 만나기 위해 서쪽 어느 지점(무중동?노고산성이든지)을 출발해서 가까운 거리였기 때문에 안심하고 보기 50명만으로 성에 가려다 매복에 걸렸다는 이야기도 꾸며 볼 수 있다. 무중동에서 삼성산성 사이는 불과 1km 정도에 불과하며 무중동은 백제군 주둔 전설이 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3.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4.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5. 온새미로 봉사단과 함께하는 사랑의 소규모 집수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