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렬 변호사의 경매 첫걸음]나는 왜 경매를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가 되었는가?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신동렬 변호사의 경매 첫걸음]나는 왜 경매를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가 되었는가?

신동렬 법률사무소 여름 경매 아카데미 대표 변호사

  • 승인 2021-01-12 09:58
  • 수정 2021-06-24 13:45
  • 신문게재 2021-01-13 10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KakaoTalk_20210108_173530896
신동렬 법률사무소 여름 경매 아카데미 대표 변호사
필자는 결혼하기 전까지는 부동산에 대해서 별 관심이 없었다. 그런데 결혼 날짜가 잡히니 막상 거주할 집이 필요했다. 그래서 부동산경매를 전문으로 하면서 강사로도 유명한 고등학교 친구한테 아파트 1채만 낙찰받아 달라고 부탁을 했다.

그랬더니 친구가 하는 말이 "난 아파트에 관심 없어! 그래서 아파트 경매는 잘 몰라."하고 부탁을 정중히 거절하였다. 그 당시에 필자는 부동산경매에 대해서 막연하게는 알고 있었지만, 친구의 말을 이해하지 못했다. 부동산경매면 아파트나 빌라 등 주택 하는 거 아닌가? 그런데 아파트 경매는 잘 모른다니.

나중에 알게 되었는데 친구는 토지, 공장이나 창고 등 특수물건만 전문으로 하고 있었다. 지금 부동산경매를 전문으로 하는 필자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이해가 가는 말이었는데 그 당시에는 조금 서운한 느낌이 들었다.

당장 살 집이 필요해서 할 수 없이 전세로 집을 얻었다. 그 후 아내의 병원 상가 자리를 알아보기 위해서 여러 부동산을 다녔다. 그런데 생각보다 좋은 자리도 없고 임대료도 만만치 않았다. 괜히 아내에게 미안했다. 내 건물이 있으면 이런 걱정을 안 할 텐데...



그때부터 필자는 부동산을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부동산경매에 관심을 가지고 서점은 물론 도서관에 있는 부동산경매 관련 서적을 거의 모조리 읽기 시작했다. 그런데 공부를 하면 할수록 어렵기도 하고 배워야 할 게 너무도 많았다.

그래서 전문적으로 부동산경매를 배우기로 하고 서울에 있는 학원에 경매를 배우러 다녔다. 매주 토요일 아침 일찍 집을 나서 강의를 듣고 집에 내려오면 밤이 되었다. 학원 강의를 통해 폭넓은 부동산경매지식 및 권리분석, 부실채권(NPL) 등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또한, 좋은 스승을 만나서 부동산경매 이론뿐만 아니라 실무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게 되었다.

이때부터 부동산경매를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가 돼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본격적으로 부동산경매를 하면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집도 경매로 낙찰을 받는 행운을 얻었다. 낙찰받았을 때는 너무 가격을 높게 쓴 거 아니냐고 하는 분도 있었지만, 부실채권을 매입하여 수익분석을 하고 낙찰가를 썼기 때문에 필자한테는 전혀 높은 금액이 아니었다.

낙찰을 받고 나니 아파트의 활용을 어떻게 할지 고민이 생겼다. 처음 계획은 조금만 수익을 남기고 매도하려고 했다. 그런데 의도치 않게 전 아파트 주인에게 집을 못 나갈 사정이 생겨 6개월 정도 그냥 살도록 했다. 그 후 낙찰받은 아파트를 몇 번 방문할 기회가 있었는데, 단지도 크고 방 평수도 넓어서 아이들이 마음껏 놀 수 있을 것이라며 아내가 그 아파트에 들어가 살자고 해서 지금까지 살고 있다.

작년 한 해 대전 아파트 가격이 많이 올랐는데 필자가 사는 아파트도 마찬가지이다. 낙찰가 대비 거의 3배가 올랐다. 낙찰받을 당시에는 아파트 경매가 치열하지 않아서 싸게 낙찰을 받을 수 있었는데, 2020년 대전지역의 부동산경매 낙찰가율이 인기 있는 아파트의 경우 거의 150%에 육박하고 있는 상황을 보면 운이 좋았다는 생각이 든다.

부동산경매를 전문으로 하다 보니 기회가 닿아 대학교 평생교육원 강의도 하고 주민센터 평생학습원 강의도 하게 되었다. 경매 아카데미도 열었다. 부동산경매는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이다 보니 재미도 있고 보람도 있다.

부동산경매는 부동산을 싸게 사는 수단의 하나일 뿐이지만, 부동산을 보는 시야를 넓히고 부동산경매를 열심히 배우고 익힌다면 어떤 다른 재테크 방법보다도 블루오션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덕공동관리아파트 이재명 정부에선 해결될까… 과기인 등 6800명 의지 모여
  2. 대전 죽동2지구 조성사업 연내 지구계획 승인 받을까
  3. '팔걷은 대전경찰' 초등 등하굣길 특별점검 가보니
  4. 충남대병원 등 48개 공공기관,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5. 대전대, 70대 구조 중 숨진 故 이재석 경사 추모 분향소 연다
  1. '행정수도 개헌' 이재명 정부 제1국정과제에 포함
  2. 대전교도소 금속보호대 남용·징벌적 사용 확인…인권위 제도개선 주문
  3.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4. [2026 수시특집-대덕대] 교육수요자 중심의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 직업교육 중심 대학
  5. 대전 대학생 학자금대출 ‘늘고’ 상환 ‘줄고’… 취업난에 연체 리스크 커졌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공기관 2차이전 로드맵 지방선거 前 확정 시험대

李정부 공공기관 2차이전 로드맵 지방선거 前 확정 시험대

이재명 정부가 16일 국정과제를 확정한 가운데 이에 포함된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로드맵을 내년 지방선거 전 확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가균형발전 마중물인 이 사안을 두고 선거용으로 활용한 역대 정부 전철(前轍)을 되풀이 하지 않고 이재명 정부 균형발전 의지를 증명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1호 국정과제인 개헌 추진과 관련해 560만 충청인의 염원인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수도조항 신설을 정치권에 촉구하는 것도 충청권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이날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코스닥 시가총액 1위, 국내 탑클래스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이 첫 생산 기지 조성에 시동을 걸면서 대전시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전과 인천 송도 중 신규 공장 부지를 놓고 고심하는 알테오젠을 지역으로 끌어오기 위해 행정당국은 지속해서 러브콜을 보내는 것이다. 국내 굴지의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 생산기지 확보는 고용창출과 세수확충 등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여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16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에 본사를 둔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이 자체 공장 건립에 나선다. 현재 알테오젠은 자체 생산 시설이 없다...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7000원 육박... 1만원으로 점심 해결도 어렵네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7000원 육박... 1만원으로 점심 해결도 어렵네

대전 외식비 인상이 거듭되며 삼계탕 평균 가격이 1만 7000원을 목전에 두고 있다. 지역 외식비는 전국에서 순위권에 꼽히는 만큼 지역민들의 부담은 갈수록 커지는 모습이다. 1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8월 대전 외식비 평균 인상액은 전년 대비 많게는 6%에서 적게는 1.8%까지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인 건 김치찌개 백반이다. 직장인들이 점심시간 가장 많이 찾는 대전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8월 1만 200원으로, 1년 전(9500원)보다 7.3% 상승했다. 이어 삼계탕도 8월 평균 가격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