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샌들과 슬리퍼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샌들과 슬리퍼

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 승인 2021-03-15 09:09
  • 수정 2021-06-24 14:01
  • 신성룡 기자신성룡 기자
2021020101000100200000461
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십 년 유학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을 때였다, 때가 여름인지라 앞뒤가 뚫린 샌들을 신고 귀국 인사차 은사님 연구실을 방문했다. 1994년 8월이었다. 인사를 마치고, 뒤돌아서 연구실을 나가려는데, 은사님께서는 뜻밖에도 내 샌들을 지적하셨다.

"김 선생, 학교에서는 앞뒤가 닫힌 신발을 신으세요." 발가락과 뒤꿈치가 훤히 드러나는 내 샌들이 못내 불편하셨던 모양이다. 학교에서는 정장이 예의고, 샌들은 정장이 아니라는 규범이 통용되던 때다. 어떤 분은 내가 입은 청치마도 문제 삼았다. 청치마는 부적절한 강의 복장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여교수가 신는 샌들이나 청치마를 문제 삼을 사람은 없다. 영화 제목처럼, 그때는 틀렸지만, 지금은 괜찮은 것이다.

규범은 시간이 흘러 변화할 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유동적이다. 1990년대 미국의 교수들은 강의할 때도 청바지는 물론이고, 여름엔 샌들에다 반바지 차림도 종종 있었다. 우리에겐 문제였지만 다른 공간 속 그들에겐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한때 절대적으로 보였던 규범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고, 어느 특정한 공간에서 절대 준수를 요구하는 규범도 공간이 바뀌면 함께 바뀌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모든 규범은 원래부터 그랬던 것이 아니라, 사회적·역사적·문화적으로 특정한 조건에서 만들어진 구성물일 뿐이다. 즉, 요새 말로 규범은 자의적(arbitrary)이고 우연적(contingent)일 뿐, 결코 절대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낯선 고국 생활에서 당시 나의 적응을 염려했던 두 분의 충고를 나는 잘 따랐다. 학교에 올 때는 샌들을 신지 않았고, 청치마도 될 수 있는 대로 피했다. 규범의 자의성과 우연성을 모르지 않았지만, 나는 당시 문화가 요구하는 규범을 따랐다. 로마에서는 로마의 법을 따른다는 심정이기도 했지만, 실은 내 맘대로 하기엔 당시 나의 입지가 불안했던 탓이 컸다. 전략적 준수였다. 규범을 새로이 주조하는 선구자의 길은 고단하니, 두어 발짝 발걸음을 늦추는 것이 두루 편하다는 영리한 계산이 있었을 것이다.



복장 규범뿐만이 아니다. 우리가 지켜야 한다고 믿는 윤리와 도덕률도 마찬가지로 역사/문화적으로 만들어진 약속들이다. 교통법규와 비슷하다. 교차로에서 빨간 불이 켜지면 멈추고, 녹색 불이 켜졌을 때 움직이는 것은 색깔이 지니는 내재적인 의미 때문이 아니라, 그렇게 하자는 우리 간의 자의적인 약속을 따르는 것이다. 약속의 위반은 교차로의 원활한 교통을 막을 터이니, 원활한 교통을 위해서 우리는 약속을 지킬 뿐이다. 약속이 절대적이라서 지키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질서를 위해 잠정적으로 지키는 것이다.

나는 규범의 절대성을 믿지 않으면서도 편의상 대체로 규범을 따르는 편이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다. 이번엔 샌들이 아니라 슬리퍼가 문제였다. 누군가는 학생들이 슬리퍼 신고 수업에 오는 행동이 부적절하다고 믿는다. 그리고 이를 가정교육의 문제로 분석했다. 나는 가슴이 뜨끔했다. 왜냐면 우리 집 막내가 이름하여 '슬파족'이기 때문이다. 조상 탓에 발등이 높은 막내는 어떤 신발도 불편했기에 어딜 가든 웬만하면 슬리퍼를 신고 다닌다. 그런 막내를 가끔 타박하긴 했지만, 신체조건 탓이니 많이 타박하긴 힘들었다. 그런데 가정교육이 잘못되었다니, 순간 가슴이 철렁했다.

'샌들이든 슬리퍼든 뭐가 문제에요? 슬리퍼 신었다고 누구에게 해를 끼치나요? 강의실에서 슬리퍼는 틀렸다는 기준은 자의적이고 우연적일 뿐이라고요! 슬리퍼가 공동체 질서를 파괴하는 것도 아니잖아요!'라고 마구 반박하고 싶었지만, 나는 침묵했다. 강의실 슬리퍼의 부적절성은 지금 여기 합의된 공중도덕이라는 주장을 나 혼자 함부로 부정하긴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어도 나는 규범을 따르지 않는 누군가를 비판하기 전에 한 번쯤 비판 기준의 절대성을 먼저 의심해보겠노라 생각했다./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