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사이언스 콤플렉스, 대전의 랜드마크를 위하여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사이언스 콤플렉스, 대전의 랜드마크를 위하여

이성만 배재대 항공운항과 교수

  • 승인 2021-05-10 10:35
  • 신문게재 2021-05-11 18면
  • 신성룡 기자신성룡 기자
2021021501001217600054401
이성만 배재대 항공운항과 교수
대전 갑천변에 새로운 명물이 생겨나는 중이다. 포디움과 타워동으로 구성된 신세계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그것이다. 특히나 지상 43층의 타워동은 50층도 안 되고 200m도 넘지 않으니 법적으로는 마천루가 아니지만, 과학과 문화와 여가를 충족시키는 대전의 랜드마크라고 할 조건을 갖춘 듯하다. 2018년 5월에 착공하여 2021년 8월에 완공이라니 3년은 족히 걸리는 셈이다. 도시의 랜드마크라면 미국 뉴욕의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이 떠오른다. 1931년 5월 1일, 대공황에 직면해서 개장하여 올해에 탄생 90주년을 맞는, 게다가 그 개장일이 우리에게는 가정의 달 첫날이니 대전의 랜드마크로서 사이언스 콤플렉스에 대한 기대감도 그만큼 크다.

지금도 마천루의 아이콘인 엠파이어스테이트를 방문하는 것은 뉴욕 관광객에게 필수코스다. 코로나 대유행 전에는 매년 400만 명이 이곳 엠파이어스테이트를 방문했으니 독립 건물로는 최대치가 아닐까. 86층 전망대에서 날씨가 좋은 날이면 미국 5개 주를 볼 수 있다나.

1920년대 후반부터 뉴욕에서는 가장 높은 건물을 둘러싸고 경쟁하기도 했다. 가장 유명한 줄다리기는 비대칭보다는 대칭을, 곡선보다는 직선을 지향하는 아르데코의 진주인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과 크라이슬러 빌딩 간에 있었다. 월터 크라이슬러는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의 높이가 304.8 미터가 된다는 소식을 듣고 건물에 첨탑을 추가했다.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도 이에 질세라 16층짜리 안테나로 그에 대응했다.

102층에 이르는 세계 최초의 건물 공사가 시작된 때는 1930년 3월 17일이었다.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의 건설은 강철 프레임 덕분에 현대 건축의 기적이라고들 한다. 위험한 고도에서 일하던 건설 노동자들이 매주 4층 반 정도를 완공하며 14개월 후인 1931년 5월 1일에 완공하여 개장했으니 현대 공학의 세계적인 기적이라고 하기에 충분하다.



1932년까지 방문객들은 망원경으로 뉴욕의 360도 전경을 보기 위해 10센트를 지불했다. 6개월 만에 3,000달러 이상이 모였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는 86층 전망대 입장료가 성인 1인당 38달러, 102층 입장료는 58달러나 된다니 격세지감이 든다.

안테나 포함 443m 높이의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은 1972년 세계무역센터가 완공되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였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미국에서 9번째로 높은 건물이고, 세계에서 49번째로 높은 독립 건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축가 윌리엄 램(William F. Lamb)이 디자인한 우아한 건물은 건축사의 아이콘으로 여겨진다.

뉴욕의 상징 엠파이어스테이트는 낭만의 상징이기도 했다. 영화 <Sleepless in Seattle>(1993)에서는 주인공이 사랑을 이루는 로맨틱한 장소로, 1932년부터 수차례 리메이크된 <Love Affair>(1994)에서는 사랑에 빠진 남녀가 3개월 후 만나기로 한 약속 장소로 등장한다.

그러나 가장 유명한 영화 출연은 <King Kong>이 아닐까. 1933년판은 거대한 원숭이가 죽기 전에 이 빌딩 꼭대기에서 비행기들과 싸우는 장면에서, 1993년판은 킹콩이 빌딩 최상층의 안테나를 붙잡고 싸우는 장면에서 등장한다. 1978년부터는 세계적인 '런업(Run-Up)' 대회도 이 빌딩에서 열린다. 방문객들은 엘리베이터를 타면 단 1분 만에 86층까지 올라갈 수 있지만, 주자는 1,576개의 계단을 걸어서 올라간다. 호주인 폴 크레이크(Paul Crake)는 9분 33초의 기록을 세웠고, 독일인 토마스 돌트(Thomas Dold)는 7번이나 우승을 차지했다. 2021년 1월 19일에는 코로나19 대유행의 희생자를 추모하며 이 빌딩이 핏빛 조명으로 채색되었다.

대전의 랜드마크로 부상할 사이언스 콤플렉스도 뻔한 쇼핑과 호텔의 기능을 넘어, 대전 시민들의 탄성을 자아내기에 충분한, 온 가족이 과학과 문화와 여가를 한껏 누릴 수 있는 한국형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으로 탄생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이성만 배재대 항공운항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