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리포트] 충청승리=전국승리 불문율 또다시 입증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총선리포트] 충청승리=전국승리 불문율 또다시 입증

금강벨트 민주 26석 국힘 6석 새미 1석씩 분할
전국표심 판박이 2년前 대선·지선 민심도 같아
정부 심판론, R&D예산 삭감 원심력 작동 결과

  • 승인 2024-04-11 16:43
  • 신문게재 2024-04-12 2면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a12566489
국회의사당 사진=게티이미지뱅크
4·10 총선이 막을 내린 가운데 공직선거 '충청 승리=전국 승리' 정치권의 불문율이 이번에도 또 다시 입증됐다.

560만 금강벨트가 전통적 캐스팅보터이자 전국 민심 바로미터인 금강벨트 표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여야 정치권에 각인시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총선 결과 28석이 걸린 충청권에서 더불어민주당은 75%인 무려 21석을 차지하며 압승했다. 4년 전 21대 총선에서 승리한 20석 보다도 1석 더 확보하며 충청 1당으로 우뚝섰다.

지역별로는 대전 7석을 4년 전과 같이 또 다시 싹쓸이 했다. 세종은 부동산 갭투기 의혹이 불거진 세종갑 이영선 전 후보 공천취소 여파로 4년 전 2석에서 1석으로 줄었다.



충남에선 공주부여청양과 아산갑 탈환에 성공하며 4년 전 6석에서 2석을 더 추가해 8석으로 늘렸다. 8석이 걸린 충북에선 5승으로 4년 전과 균형을 맞췄다.

민주당의 초강세로 국민의힘은 금강벨트에서 입지가 더욱 좁아졌다. 21대 총선 8석에서 2석 준 6석에 그친 것이다. 대전과 세종 9석을 전패했고 충남에서 참패도 뼈아팠다.

그나마 충북에선 4년 전과 같은 3석을 건져 체면을 차렸다.

제3지대 정당인 새로운미래는 세종갑 한 곳에서 깃발을 꽂아 중원의 교두보를 만든 데 만족했다.

이같은 금강벨트 결과는 전국적 선거결과와 같다. 이번에 민주당은 지역구 161석과 비례 14석을 합쳐 175석으로 단독 과반을 훌쩍 뛰어넘었다.

국민의힘은 지역구 90석과 비례 18석을 더해 108석으로 개헌 저지선(200석)을 가까스로 넘었다. 조국혁신당이 12석을 얻었고 개혁신당 3석, 새로운미래와 진보당이 각 1석 등이다.

충청에서 승리한 정당이 전국 선거도 이긴다는 정치권 불문율이 이번에도 딱 들어맞은 것이다.

충청 승리=전국 승리 공식은 역대 공직 선거에서도 어김없어 맞아 떨어졌다.

앞서 2022년 3·9 대선에서 '충청의 아들'을 자처하며 국민의힘 후보로 나섰던 윤석열 대통령이 48.56%를 얻어 47.83%에 그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0.7%p 차로 누르고 5년 만에 정권교체에 성공했다.

충청권 4개 시·도에서도 세종(尹 44.14%, 李 51.91%)을 빼고 대전(尹 49.55% 李 46.44%) 충남(尹 51.08 李 44.96%) 충북(尹 50.67% 李 45.12%)에서 윤 대통령이 14만여 표를 더 얻어 승리했다.

같은해 치러진 6·1 지방선거에서도 마찬가지다.

충청권은 광역단체장 기준 4개 시도를 국민의힘이 싹쓸이 했으며 기초단체장도 23곳에서 이겨 8곳에 그친 민주당을 압도했다.

당시 전국적으로는 국힘 12석 민주 5석, 기초단체장 기준 국힘 145곳 민주 63곳으로 여당이 승리한 바 있다.

4·10 총선 민주당 승리의 원인으로는 야권이 내세운 '윤석열 정부 심판론'이 선거일에 임박해 잇따라 나온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논란 등 정부발 악재들과 맞물려 유권자들에게 잘 먹혀든 결과로 풀이된다.

윤석열 정부 R&D 예산 삭감에 대한 원심력이 대덕연구개발특구 등 우리나라 과학기술 전진기지가 있는 충청권에서 크게 작동한 것도 여당 참패의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4.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5.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헤드라인 뉴스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학교폭력 이력을 평가에 반영해 37명이 불합격한 것으로 조사 됐다.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