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리포트] 충청승리=전국승리 불문율 또다시 입증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총선리포트] 충청승리=전국승리 불문율 또다시 입증

금강벨트 민주 26석 국힘 6석 새미 1석씩 분할
전국표심 판박이 2년前 대선·지선 민심도 같아
정부 심판론, R&D예산 삭감 원심력 작동 결과

  • 승인 2024-04-11 16:43
  • 신문게재 2024-04-12 2면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a12566489
국회의사당 사진=게티이미지뱅크
4·10 총선이 막을 내린 가운데 공직선거 '충청 승리=전국 승리' 정치권의 불문율이 이번에도 또 다시 입증됐다.

560만 금강벨트가 전통적 캐스팅보터이자 전국 민심 바로미터인 금강벨트 표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여야 정치권에 각인시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총선 결과 28석이 걸린 충청권에서 더불어민주당은 75%인 무려 21석을 차지하며 압승했다. 4년 전 21대 총선에서 승리한 20석 보다도 1석 더 확보하며 충청 1당으로 우뚝섰다.

지역별로는 대전 7석을 4년 전과 같이 또 다시 싹쓸이 했다. 세종은 부동산 갭투기 의혹이 불거진 세종갑 이영선 전 후보 공천취소 여파로 4년 전 2석에서 1석으로 줄었다.



충남에선 공주부여청양과 아산갑 탈환에 성공하며 4년 전 6석에서 2석을 더 추가해 8석으로 늘렸다. 8석이 걸린 충북에선 5승으로 4년 전과 균형을 맞췄다.

민주당의 초강세로 국민의힘은 금강벨트에서 입지가 더욱 좁아졌다. 21대 총선 8석에서 2석 준 6석에 그친 것이다. 대전과 세종 9석을 전패했고 충남에서 참패도 뼈아팠다.

그나마 충북에선 4년 전과 같은 3석을 건져 체면을 차렸다.

제3지대 정당인 새로운미래는 세종갑 한 곳에서 깃발을 꽂아 중원의 교두보를 만든 데 만족했다.

이같은 금강벨트 결과는 전국적 선거결과와 같다. 이번에 민주당은 지역구 161석과 비례 14석을 합쳐 175석으로 단독 과반을 훌쩍 뛰어넘었다.

국민의힘은 지역구 90석과 비례 18석을 더해 108석으로 개헌 저지선(200석)을 가까스로 넘었다. 조국혁신당이 12석을 얻었고 개혁신당 3석, 새로운미래와 진보당이 각 1석 등이다.

충청에서 승리한 정당이 전국 선거도 이긴다는 정치권 불문율이 이번에도 딱 들어맞은 것이다.

충청 승리=전국 승리 공식은 역대 공직 선거에서도 어김없어 맞아 떨어졌다.

앞서 2022년 3·9 대선에서 '충청의 아들'을 자처하며 국민의힘 후보로 나섰던 윤석열 대통령이 48.56%를 얻어 47.83%에 그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0.7%p 차로 누르고 5년 만에 정권교체에 성공했다.

충청권 4개 시·도에서도 세종(尹 44.14%, 李 51.91%)을 빼고 대전(尹 49.55% 李 46.44%) 충남(尹 51.08 李 44.96%) 충북(尹 50.67% 李 45.12%)에서 윤 대통령이 14만여 표를 더 얻어 승리했다.

같은해 치러진 6·1 지방선거에서도 마찬가지다.

충청권은 광역단체장 기준 4개 시도를 국민의힘이 싹쓸이 했으며 기초단체장도 23곳에서 이겨 8곳에 그친 민주당을 압도했다.

당시 전국적으로는 국힘 12석 민주 5석, 기초단체장 기준 국힘 145곳 민주 63곳으로 여당이 승리한 바 있다.

4·10 총선 민주당 승리의 원인으로는 야권이 내세운 '윤석열 정부 심판론'이 선거일에 임박해 잇따라 나온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논란 등 정부발 악재들과 맞물려 유권자들에게 잘 먹혀든 결과로 풀이된다.

윤석열 정부 R&D 예산 삭감에 대한 원심력이 대덕연구개발특구 등 우리나라 과학기술 전진기지가 있는 충청권에서 크게 작동한 것도 여당 참패의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6중 추돌사고…1명 숨지고 2명 중상 등
  2.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3. 대전문화방송과 한화그룹 한빛대상 시상식
  4.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5. 전교생 6명인 기성초등학교 길헌분교 초대의 날 행사
  1. [인터뷰]장석영 대한언론인회 회장
  2. 사나래복지센터, 이웃들과 따뜻한 정 나누기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3.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한국건축시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4. 대전 향토기업 '울엄마 해장국'...러닝 붐에 한 몫
  5. 따르릉~ 작고 가벼운 '꼬마 어울링' 타세요!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