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 상권 분석 4. 대전 서구 월평2동 중국집

  • 경제/과학
  • 중도 Plus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 상권 분석 4. 대전 서구 월평2동 중국집

월평2동 중국집 3곳으로, 1년 전보다 1곳 늘어나 소수
평균 매출액 5247만원으로, 서구와 대전 전체보다 높아
주중과 주말 큰 편차 없이 매출 일정해 좋은 상권 분석

  • 승인 2024-07-31 16:04
  • 수정 2024-08-28 10:59
  • 신문게재 2024-08-01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월평중국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4. 대전 서구 월평2동 중국집





정년퇴직을 앞둔 조 모(58·대전 서구) 씨는 주변에서 중식의 대가로 통한다. 1년에 한 두 번은 꼭 해외에 나가 본토의 중식 맛을 본다. 어릴 적부터 요식업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중식조리기능사까지 취득한 전문가이다. 볶음 팬에 기름을 두르고 이른바 '웍질'을 하며 불 맛을 입힐 때면 자신의 음식을 한 입 먹은 지인들의 표정을 몰래 살피는 게 그의 취미이자 행복이다. 조 씨는 요즘 고민이 많다. 부모님의 반대로 요식업에 뛰어들지 못한 한을 풀고 싶지만, 막상 용기가 나지 않는다. 아내의 허락도 받아야 하고, 그간 잘 모아둔 돈을 창업으로 날리면 어쩌나 싶다. 한 번 사는 인생, 좋아하는 걸로 인생의 마지막을 장식하고자 하는 그는 집 인근인 서구 월평동을 타깃으로 삼았다. 조 씨는 궁금하다. 월평동 중국집의 현 상황이.



▲경쟁자는 얼마나=조 씨가 원하는 대전 서구 월평동의 중국집 업소는 2023년 11월 기준 총 3곳이다. 1년 전 2곳이었던 월평동 중국집은 1곳 늘어났다. 조 씨가 원하는 상권 반경 1km 이내에는 총 22곳이 있다. 인근에는 중국집이 많지만, 조 씨가 원하는 곳엔 3곳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충분한 준비를 갖고 도전한다면 승산이 있다. 서구 전체로 보면 중국집은 197곳, 대전 전체는 704곳이다. 조 씨가 원하는 월평동은 아파트 단지가 밀집해있고, 초·중·고등학교까지 몰려있다. 상가만 선정을 잘 한다면 인근 주민들의 가족 단위 고객을 많이 끌어들일 수 있다.





▲매출은=서구 월평동 중국집 한 곳의 월평균 매출액은 2024년 5월 기준 5247만 원이다. 이는 이전보다는 많이 줄어든 수치다. 2023년 5월 1억 9546만 원이던 월평균 매출액은 2023년 12월 2억 803만 원까지 오르며 2억 원을 돌파했다. 그러다 2024년 1월 들어 5469만 원으로 크게 줄어든 이후 5월까지 5000만 원대를 유지 중이다. 월평동 중국집의 월평균 매출액은 서구 전체의 업소 평균 월매출액인 3988만 원보다 높고, 대전 전체 평균 월 매출인 3145만 원보다 높다. 조 씨가 여타 중국집과 다르지만, 깊음 맛으로 승부를 본다면 높은 평균 매출로 남은 인생을 자신이 좋아하는 요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말·주중 고른 매출=거주 단지가 밀집해있는 월평동의 성격 특성상 주중과 주말의 매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주중 평균 매출은 774만 원, 주말은 690만 원이다. 주중엔 목요일이 929만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주말은 토요일이 720만 원이다. 주중 매출이 많다면 주말엔 매출이 별로 발생하지 않는 직장인·근로자가 중심으로 소비가 이뤄진다고 볼 수 있으며, 주말 매출 비중이 높다면 외지에서 찾아오는 소비자가 많다는 걸 의미한다. 주중과 주말 매출 편차가 크지 않은 상권이 더 좋은 상권이라고 시스템은 분석했다. 시간대는 저녁 시간대인 오후 5시부터 9시가 2084만 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점심시간인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가 1952만 원으로 2위다. 연령대 별로는 30대가 평균 1055만 원을 썼으며, 40대 969만 원, 50대 883만 원, 20대 565만 원, 60대 460만 원, 10대 16만 원 순이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이 발생할 수 있는 유동인구는 2024년 5월 기준 4만 8766명이다. 60대 이상이 1만 1438명, 50대가 1만 389명, 40대 1만 226명, 30대 7406명, 20대 6310명, 10대 3004명이다. 유동인구는 통신사 휴대전화 통화량을 바탕으로 전국 50M셀로 추정됐다. 대전정부청사에서 점심 또는 저녁을 위해 월평동에 방문하는 이들과 인근 직장인 등을 공략하면 조 씨의 제2의 삶이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1990년대 지어진 인근 아파트는 오랜 시간 거주하는 지역민들이 많기 때문에 한 곳에서 자리를 잡아 업력을 유지한다면 동네의 소문난 맛집으로 거듭날 수 있다. 조 씨의 제2의 삶을 응원한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동래구, 제3회 온천천 빛 축제 개최
  2. 세종시 '이응다리+중앙공원'서 빛의 향연...22일 개막
  3. 김포시농기계임대사업소, 노후농기계 불용품 매각
  4. 상명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선서식 개최
  5. 천안시보건소, '생명존중 안심마을' 4곳 지정
  1. 한기대 STEP, '열정 가득' 온라인 서포터즈 3기 출범
  2. 나사렛대, 기아자동차 정주훈 상무 초청 '경영인의 날' 성료
  3. 천안 벽산 블루밍 파크포레, 사업계획 승인 및 도급계약 모두 마쳐
  4. 충남창경센터, 'The Future with AX Forum' 개최
  5. 한기대, 충남경제정책 경연대회 우수상·장려상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