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조리원 증원해도 대규모 학교 여전히 곡소리 "실효성 있는 대책 내놔야"

  • 사회/교육
  • 교육/시험

급식조리원 증원해도 대규모 학교 여전히 곡소리 "실효성 있는 대책 내놔야"

급식 조리원 1인당 배치기준 105명으로 총 조리 인원 구성
실제 현장에선 1인당 150명 가까이 감당학고 있어 불만 속출
"대규모 학교 업무과중 여전, 배치기준 더 낮춰 인원 확충해야"

  • 승인 2024-08-22 17:52
  • 신문게재 2024-08-23 6면
  • 오현민 기자오현민 기자
학교 급식 조리원 인력충원
대전교육청 앞에 급식 조리원 인력충원을 요구하는 플래카드가 걸린 모습.
대전교육청이 학교 급식 조리원의 업무 경감을 위해 배치기준을 완화했지만 근로자들은 전혀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 대전 내 과밀학교에서 근무하는 조리원들은 배치기준을 훌쩍 넘어선 급식 인원을 감당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22일 대전교육청·민주노총 서비스연맹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대전지부(이하 학비노조 대전지부)에 따르면 현재 학교 급식 조리원 1인당 배치기준 105명에 맞춰 조리원을 선발했다. 이 수치는 대전지역 학교의 전체 급식인원을 평균값으로 계산한 것이다. 2024년 3월 기준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원 급식 조리원 부문을 통해 선발된 학교 급식 조리원은 1400명이고 자체 선발하는 사립학교 급식 조리원까지 포함하면 총 인원은 1616명이다. 배치기준은 2019년 116명, 2023년 113명, 2024년 105명으로 점차 줄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하다. 2020년, 2021년, 2022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배치기준을 따로 조정하지 않았다.

현재 대전교육청이 정한 각급학교 조리원 배치기준은 학교급별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유·초·중·고 모두 급식인원 150명 이하일 경우 조리원 2명 배치는 동일하다. 다만 급식인원이 많아질수록 차이는 커진다. 유치원·초등학교는 급식인원 170명당 조리원 1명이 추가 배치, 중·고등학교는 급식인원 160명당 조리원 1명이 추가로 배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학교 규모에 따라 급식 조리원들의 업무 강도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대전 내 과밀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 둔산·유성지역 학교의 급식 조리원들은 1인당 120~130여 명의 식수인원을 감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둔산지역의 한 중학교는 2024년 기준 학생과 교원 등 약 1070여 명으로 대전교육청이 설정한 급식인원 951명~1090명 범위로 조리원 8명이 배치된다. 이는 조리원 1명당 약 135명의 급식인원을 책임지는 셈이다.

같은 지역 초등학교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급식인원이 약 1759인 곳은 1621~1770명 범위에 해당돼 조리원 12명이 편성됐다. 하지만 조리원 1인당 약 146.5명의 급식인원을 맡고 있어 배치기준 105명으로 맞춘 인원을 크게 넘어섰다.

대규모 학교 조리원들은 배치기준 완화에 대한 실효성을 느끼지 못하면서 업무 피로도만 쌓여가고 있는 상황이다. 학비노조 대전지부는 급식 조리원들은 범위를 재조정해 학교 실정에 맞게 인원을 배치하거나 선발 때부터 학교 급식 조리원들은 배치기준을 100명 이하로 낮춰 조리원 인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전교육청은 이미 교섭을 통해 정해진 규모로써 해당 사안에 대해 즉각 수용해 배치기준을 낮출 수 없는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학비노조 대전지부 관계자는 "학교 규모에 상관없이 평균을 내 105명의 배치기준을 맞춘 상황이고 실질적으로 조리원 1명당 120~130명까지 감당하는 실정"이라며 "대전교육청이 조리원을 증원했다고 하지만 대규모 학교는 여전히 업무 과중이 해소되지 않았다. 적어도 40명 정도의 조리원을 추가 채용해야 과중이 해소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과밀학교에 대해서는 급당 인원을 낮춰 더 많이 배치하는 쪽으로 개선했다"며 "급식인원 상황에 따라 학교에 편성되는 조리원 배치 기준을 추가 개선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근무지에 따라 조리원들이 더 많은 학생을 감당하는 불가피한 상황에 대해선 대책을 고민해보겠다"라고 덧붙였다.
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3.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4.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5.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1.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2. 사회안전 지키는 우수 교정공무원 44명 포상…교정의날 80년
  3. [행복한 대전교육 프로젝트]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학교, 대전생활과학고
  4. [춘하추동]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출발점, 기후변화 상황지도
  5. 대전 서남부권 특수학교 '서남학교' 교육부 중투심 통과

헤드라인 뉴스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프로야구 한화이글스의 가을야구가 대전에서 펼쳐지는 날 기차와 고속·시외버스 이용해 대전을 오가는 발길이 전주보다 최대 2만6000여 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많은 사람이 운집하는 한화의 대전 홈경기가 할로윈과 같은 시기에 개최되면서 경기 시작 전후와 은행동 지역에 인파가 밀집해 발생하는 사고 예방관리가 요구된다. 한국시리즈 엘지를 상대로 두 번의 패배를 당한 한화이글스가 29일부터 3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3연전 홈경기를 앞둔 가운데 경기 시작 전후의 안전관리가 화두가 되고 있다. 중도일보가 한화이글스 대전 홈경기가 개..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10월 최저기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는 이른 추위가 찾아오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 '붕어빵'을 찾는 발길이 분주하다. 예년에는 11월 말부터 12월 초쯤 붕어빵이 모습을 드러내지만, 올해는 때이른 추위에 일찌감치 골목 어귀에서 붕어빵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고 있다. 29일 대전 최저기온이 5도를 가리키는 등 날씨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인 붕어빵이 지역 상권마다 등장하고 있다. 올해는 예년보다 한 달 먼저 장사를 시작한 김 모(41) 씨는 "보통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날씨가 급격하게 추워지면 붕어빵 장사를 했지만,..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개인 의견 전제로 보유세 인상 공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개인 의견 전제로 보유세 인상 공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29일 부동산 보유세 인상을 두고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인상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세금 문제에 대해서는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진행되기 때문에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지난 기자 간담회 과정에서 (밝힌 것처럼)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보유세 인상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감사에서 윤종오 진보당 의원은 "우리나라 보유세 실효세율은 대체로 0.15% 이내 수준으로 OECD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며 "국제 수준에 맞추려면 보유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