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을 연 대전 3·8민주의거기념관…대전 학생 민주화운동 역사 한눈에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문을 연 대전 3·8민주의거기념관…대전 학생 민주화운동 역사 한눈에

4일 기념관 가보니, 상설전시실서 아카이빙 자료 전시
참여 학생 일기, 학교 교지, 시집, 신문 등 50여 점 선봬
19일 정식 개관…자료 수집, 교육 등 3.8 알리기 집중

  • 승인 2024-11-04 17:22
  • 수정 2024-11-04 17:41
  • 신문게재 2024-11-05 3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3.8
4일 대전 3.8민주의거기념관 상설전시실 모습. (사진=정바름 기자)
"정의와 진리를 사랑하는 우리 대전고 건아는 최근 자유당의 불법 및 부정·부패와 장기집권을 위한 도당국 및 학교의 처사에 대해 그 잘못을 깨닫고 학원의 자유 보장과 대전고의 명예를 더럽히지 않도록 시정책을 강구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1960년 3월 8일 대전고 학생들은 독재정권에 맞서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데모에 나서기 전, 이 같은 결의문을 낭독했다. 대전고, 대전상업고, 보문고 등 대전 지역 고등학생 1600여 명이 거리로 나가 자유와 민주주의를 외쳤는데, 이것이 충청권에서 최초로 벌어진 학생 민주화운동인 '대전3·8민주의거'다. 이 결의문 내용은 대전 중구 선화동에 문을 연 '3·8민주의거 기념관'에서 볼 수 있다.



3·8 역사를 알리기 위한 첫 걸음인 '3·8민주의거기념관'이 4일 개관했다. 이날 오전 10시께 정식 개관 전 시민에게 개방한 기념관에 가보니, 학생들의 민주화 정신이 담긴 결의문을 포함한 아카이빙 자료 50여 점이 2층 상설전시실에서 전시되고 있었다. 상설전시실은 4개 구역으로 나뉘어 시대적 배경, 3·8 데모 과정, 시민 체험 공간 등으로 구성해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KakaoTalk_20241104_165017192_04
4일 대전 3.8민주의거기념관에 전시된 대전고 학생의 일기. (사진=정바름 기자)
데모에 참여했던 대전고 학생의 일기도 볼 수 있었다. 세월이 흘러 색이 바랜 종이 3장에는 사건의 발단과 데모 과정이 수기로 빼곡히 적혀있다. 생생한 3·8 데모기를 기사로 실었던 당시 대전고 발행 교지도 확인할 수 있다. 모두 졸업생들에게 직접 기증을 받은 자료들이다.



당시 학생들의 민주주의 욕구를 자극했던 '사상계' 잡지 원본도 전시돼 있다. 사상계는 1953년부터 1970년까지 발행된 월간 잡지다. 정부 비판적 내용을 실어 당대 지식인과 학생들이 주된 구독층이었다. 특히 1958년 8월호에 실렸던 함석헌의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라는 기사는 데모에 참여한 대전 지역 학생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4·19 혁명 당시 지역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대전 지역 고등학생들이 꾸린 동인회에서 발간한 추모시집 '분향'도 볼 수 있었다. 4월 26일 충남 공주고에서 일으켰던 학생 시위 내용이 담긴 일기, 학도호국단 임명장, 각종 신문 기사 자료도 전시돼 있다.

KakaoTalk_20241104_165017192_01
4일 시민에게 개방한 3.8민주의거 기념관 모습. (사진=정바름 기자)
대전의 3·8민주의거가 해외에서도 주목했던 사건이라는 점도 알리고 있다. 미8군 사령부 일일정보보고서에는 1960년 3월 8일 대전고 학생 400여 명이 학교를 정치적 도구로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미국 국무장관이 서울 대사관에 보낸 발신 전보, 해외언론 보도 내용 등 해외의 반응이 전시실에서 소개되고 있다.

현재 3·8민주의거기념관은 관련 자료 기증을 받고 있다. 향후 자료 수집을 확대하고, 학술연구를 통해 3·8민주의거 알리기에 집중할 계획이다. 정진용 3·8민주의거기념관장은 "11월 19일 개관식을 열 예정이고, 지금 열리고 있는 상설 전시 외에도 특별전도 가질 계획"이라며 "3·8 민주의거 유공자분들의 구술 채록도 진행할 예정이다. 지역 내 학교 협조를 통해 대전 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3·8 민주의거 교육에도 힘쓸 것"이라고 했다.

이영조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부회장은 "기념관에서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발자취를 돌아보고 그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아울러 3.8민주의거 기념관이 민주시민으로서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자리매김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KakaoTalk_20241104_165017192_03
4일 시민에게 개방된 3.8민주의거기념관 상설전시실 내부 (사진=정바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1. 당진시, 신규 공무원 임용식 개최
  2. <인사>대전시
  3.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4.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5.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