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취재]탄핵정국의 전망과 정상정치의 과제

  • 사람들
  • 뉴스

[현장취재]탄핵정국의 전망과 정상정치의 과제

정성호 국회의원, 국회입법조사처 공동주최 세미나
차재권 부경대 교수 ‘탄핵정국의 성격과 전망’ 발제, 김의영 서울대 교수 ‘탄핵정국 이후의 한국정치 과제:시민 민주주의 시각’ 발제
유재일 전 한국정당학회장 사회로 토론

  • 승인 2025-01-11 06:59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20250110_101736
‘탄핵정국의 전망과 정상정치의 과제’를 제목으로 한 세미나가 정성호 국회의원과 국회입법조사처(처장 이관후) 공동주최로 1월10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렸다.

정성호 국회의원은 개회사에서 “탄핵정국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정상적인 정치 궤도를 회복해야 한다”며 “계엄해제와 탄핵소추 과정에서 시민들이 보여준 민주적 회복탄력성은 대한민국이 국란을 극복하고 다시 바로 설 수 있는 강력한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어 “2024년은 대한민국 헌정사에 비극으로 기록될 것이지만 2025년은 내란 위기를 극복하고 희망찬 미래를 열어가는 해로 기억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20250110_100456
이관후 국회입법조사처장은 환영사에서 “12.3 계엄 조치 이후 우리의 민주주의에 대한 의구심이 안팎으로 커지고 있다”며 “우리 민주주의와 정치가 어디로 가야 할지에 대해 정확한 진단과 대안을 통해 앞을 밝혀야 할 때이고, 지식인과 정치인들이 함께 정치 정상화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관후 처장은 이어 “무엇보다 민주주의의 복원력에 대해 깊이 성찰해야 할 때”라며 “여야 정치권이 합심해서 민주주의를 지키고 정국을 안정시키기 위한 노력에 힘을 더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또 “오늘의 세미나가 현 상황에 대한 반성에서 나아가 한국 정치의 미래를 조망하고,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국회의 역할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20250110_101722
우원식 국회의장은 인사말에서 “우리나라는 안타깝지만 헌정 사상 세 번째 대통령 탄핵소추라는 중대한 국면을 맞이하고 있고, 현재 대한민국은 대내외적으로 매우 엄중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올해 경제 성장률은 잠재 성장률 2%를 밑돌 것으로 전망되고, 정부의 외교 공백에 대한 우려 또한 커지고 누란의 위기 속에서 정치권의 극한 대립은 국가 운영의 공백으로 이어질 위험을 안고 있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불안정성 해소를 통해 대외신인도를 회복하고 경제를 안정시키는 것”이라며 “여야가 정쟁보다는 머리를 맞대고 국가와 국민만을 생각하며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상생과 협치’라는 정치문화의 회복”이라며 “여야는 극한대립을 넘어 서로의 목소리에 겸허히 귀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이번 비상계엄 해제와 탄핵소추 과정을 겪으면서 국회는 ‘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로서, 국민이 선출한 유일한 헌법기관으로서 비상계엄 사태의 조속한 수습과 국정 안정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20250110_100503
이날 '탄핵정국의 성격과 전망'에 대해 발제를 맡은 차재권 부경대 교수는 2024년과 2025년 계엄탄핵 정국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계엄탄핵 정국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볼 것인가 계엄탄핵 정국의 배경과 구조, 성격, 계엄탄핵 정국의 방향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들, 계엄탄핵 정국의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차재권 교수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운명은 여전히 시계 제로의 회색 지대에 걸쳐 있다”며 “진실에는 등을 돌리고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극우보수에 대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 교수는 “계엄탄핵정국의 방향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들은 정치적 반동의 장기화 가능성에 대한 전망,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의 속도와 예측 가능성, 2차 계엄 혹은 유혈 사태 발생 유무, 공수처의 내란 수괴에 대한 구속수사 의지와 법원의 구속영장 발부 여부, 탄핵 심판 및 내란죄 수괴에 대한 권한대행 체제의 협조 수준, 국민여론의 압박 수준, 역사가 선택하게 될 시나리오와 전망에 영향을 미칠 기타 부수적 조건들”이라고 했다.

김의영 서울대학교 교수는 ‘탄핵정국 이후의 한국 정치 과제:‘시민 민주주의’의 시각’에 대한 발제에서 “민주주의 다양성 척도 기준으로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에 있던 한국이 이명박, 박근혜 정권 하에 뚜렷한 내림세를 보였고, 최근 급격한 독재화로 뒷걸음하는 Bell-turn 타입으로 규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20250110_112459
김 교수는 촛불 봉기에도 실현되지 못했던 세 가지 과제를 탄핵 이후에 실천하기를 제안하며 “주민자치회, 주민참여예산제 같은 시민참여형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시민의회’의 제도화, 능동적 민주적 시민 양성을 위한 ‘대학 주도 지역 연계 민주시민교육’ 제도화, 대선 후보들의 ‘시민사회와의 정치개혁 약속’ 등을 제시했다.

20250110_121043
2부 토론에서는 유재일 전 한국정당학회장의 사회로 성한용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이인복 연세대 교수, 이정진 국회입법조사처 정치의회팀장, 이재묵 한국외국어대 교수, 이준한 인천대 교수, 최광필 경운대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해 숙의민주주의라는 절제된 방식의 직접민주주의 도입, 승자 독식의 대통령제 보완, 평생교육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 체계 구축, 정치의 과잉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완화, 상호 관용과 제도적 자제의 정착,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 강화를 위한 제도적, 사회적 방안 모색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동남서-압구정KM 성형외과, 마약범죄예방 나선다
  2. 한덕수 대행 “직면한 위기, 제가 해야하는 일 하고자”… 총리 사퇴
  3. [르포] "안전한 게 맞나요?"…관저다목적체육관 천장 낙하에 불안 고조
  4.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5. 보이스피싱 예방, 우리가 앞장선다
  1. 대전관광공사.과학산업진흥원 이달 원도심 행… 산하기관 이전 신호탄
  2. 대전시, 국토부 '수소교통 복합기지 구축'공모 최종 선정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위기행동 중재 지원 강화 "모두가 안전한 학교로"
  4. 도시재생 뉴딜사업 핵심 어울림그린센터 본격 착수
  5. 청주공항 활성화에 대전시 힘 보탠다

헤드라인 뉴스


대선 앞 세종 집값 상승률 2주 만에 12배↑… 대전·충남은 `하락`

대선 앞 세종 집값 상승률 2주 만에 12배↑… 대전·충남은 '하락'

6월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세종시 집값이 급등하고 있다. 최근 70주 만에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한 데 이어, 이번 주에는 4년 8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면서다. 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4월 넷째 주(28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49% 상승했다. 2주 전(0.04%)과 비교해 무려 12배 이상 오른 수치다. 세종 집값은 2023년 11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가 4월 둘째 주 0.04%로 70주 만에 상승 전환됐다. 셋째 주(0.23..

한덕수, 대선출마 선언…"임기단축 개헌후 대선·총선 동시실시"
한덕수, 대선출마 선언…"임기단축 개헌후 대선·총선 동시실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한 전 총리는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 개헌 지원기구를 만들어 개헌 성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3년 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곧바로 직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이어 "취임 첫해에 개헌안을 마련하고, 2년 차에 개헌을 완료하겠다"며 "개헌의 구체적인 내용은 국회와 국민들이 치열하게 토론해 결정하시되, 저는 견제와 균형, 즉 분권이라는 핵심 방향만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나..

세종시 베어트리파크, 어린이날 특별한 추억 선사
세종시 베어트리파크, 어린이날 특별한 추억 선사

세종시 베어트리파크가 어린이날 연휴를 맞아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5월 5일 아기 반달곰의 백일잔치를 포함해 다양한 어린이날 행사를 진행한다. 국내 유일의 행사로, 어린이와 가족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베어트리파크는 5월 1일부터 6일까지 무료 체험과 나눔, 마술쇼, 버블쇼 등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5월 5일에는 아기 반달곰의 백일잔치가 열리며, 관람객들은 마술과 버블쇼를 즐기며 아기 반달곰의 새로운 이름을 짓고 축하 노래를 부르는 시간을 갖는다. 이 외에도 5월 1일과 6일에는 입장객에게 선착순으로 새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