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딘소장 구출' 미카형 증기기관차 번호 바꿨다

  • 문화
  • 문화 일반

[단독] '딘소장 구출' 미카형 증기기관차 번호 바꿨다

코레일 산하 철도박물관, 김재현 기관사 판넬 수정
자문위원회 자문과 조사 통해 129호에서 219호로
정부 검증결과도 바뀌나 국가유산청 "상반기 발표"

  • 승인 2025-02-19 16:57
  • 수정 2025-02-19 18:57
  • 신문게재 2025-02-20 2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KakaoTalk_20250218_084934733
코레일 소속 철도박물관의 수정된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안내 판넬./사진=김지윤 기자
<속보>=최근 코레일 소속 철도박물관이 역사 검증 절차에 들어간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에 대한 열차번호를 수정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되면서 이목이 집중된다. <중도일보 1월 14일 자 1면·16일자 5면 보도>

한국전쟁 당시 미 육군 딘 소장 구출 작전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진 기관차가 실제와는 달랐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인데, 정부 검증 결과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에 설치된 김재현 기관사의 설명이 일부 수정됐다.

철도박물관 역사실 내부에 걸려있는 안내 판넬에 김재현 기관사가 운전한 증기기관차 명칭이 129호에서 219호로 바꾼 것이다.



수정 과정은 2019년 이후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박물관은 소방시설 설치를 위한 리모델링 작업 중 일부 전시물에 대한 재조사도 함께 들어갔다. 소방 방재 벽지로 바꾸기 위해 벽지에 붙여진 판넬 형식의 안내문도 함께 교체하는 과정에서 수정 작업이 이루어진 것이다.

박물관 측은 "판넬을 바꾸기 위해 자문위원회의 자문이 필요했다. 그 과정에서 마침 한 자문위원이 김재현 기관사와 미카형 129호에 대한 조사를 끝낸 상황이었다"며 "여러 협의를 통해 해당 안내문을 수정하는 게 맞다는 결과가 나와서 수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철도박물관은 당시 수집된 자료 및 증거를 종합 분석한 결과 김 기관사가 운전한 기관차에 30여 명의 미군 결사대가 탑승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또, 전투 당시 사용됐던 증기기관차 역시 129호가 아닌 219호라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다만, 기관차 투입 목적이 딘 소장 구출 작전이 아닌 보급품 후송 작전이었다는 내용은 김 기관사의 유족과의 협의를 거쳐 수정하지 않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특히, 이후 코레일과 국가유산청 등 정부 기관에서 조사에 돌입한 내용이다 보니 박물관 자체적으로 내용을 변경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 같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향후 정부 조사 결과에도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검증 절차에 돌입한 국가유산청 측과 기관차 소유 기관인 코레일은 아직 검증이 종료되지 않은 상황이다 보니 해당 내용에 대한 입장을 내놓는 것을 꺼리고 있다.

하지만 유관 기관인 철도박물관이 이미 관련 정보를 수정했기 때문에 국가유산청의 심사 방향과 일맥상통할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최근 국가유산청은 평가위원회 구성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결과는 상반기 내 발표될 전망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현재 평가위원회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전문가 섭외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절차가 다소 지체가 되는 상황"이라며 "그 외의 재심사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비공개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7차 지역정책포럼
  1.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2.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3.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4.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5.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