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시평] 상아탑을 넘어, 지역과 함께

  •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상아탑을 넘어, 지역과 함께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 승인 2025-03-18 10:02
  • 신문게재 2025-03-19 18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2023082801010014786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코끼리는 생의 마지막 순간이 다가오면 특정한 장소로 모이는 습성이 있다고 한다. 이곳에서는 죽은 코끼리들의 어금니인 상아가 쌓여 마치 탑을 이루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하얗고 깨끗한 상아는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귀한 보물로 여겨졌다. 코끼리의 몸이 썩어 사라진 후에도 오랜 세월 그대로 남아 '가장 소중하고 귀한 것'으로 불리곤 했다. 이러한 상아의 특성은 학문 세계에서도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대학을 '상아탑'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상아탑은 지식과 학문의 순수성을 상징하며, 진리를 탐구하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학문의 깊이를 더해 가는 대학의 모습이 상아탑의 의미와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

과거 대학은 실용적인 학문보다는 순수한 진리 탐구를 목적으로 삼았으며, 사회·정치적 압력으로부터 독립적인 연구와 학문의 자유를 추구해 왔다. 이로 인해 대학은 종종 현실과 동떨어진 공간처럼 인식되기도 했다. '상아탑에 틀어박혔다'는 표현이 사회와의 단절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비롯됐다. 대학이 진리를 탐구하는 기관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학문이 사회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할 경우, 대학과 사회 모두 위기를 맞게 된다. 특히 오늘날 대학이 직면한 문제 중 하나는 고등교육의 수요와 공급 불균형이다. 대학 진학 연령대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대학들은 양적 팽창을 거듭해 왔다. 불균형은 대학의 존재 이유가 무엇인가를 고민하게 하고 있다.



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 현상이 지속되면서 지방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출생아 수는 2022년부터 25만 명 이하로 감소했으며, 2020년부터는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많은 '인구 데드크로스(dead cross)'현상이 발생했다. 인구 구조 변화로 인해 2021년부터 대학 입학 연령대 인구가 입학 정원에 미달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신입생 모집 미달 사태의 90% 이상이 지방에서 발생하고 있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문을 닫는다'는 이른바 '벚꽃 괴담'이 현실화되고 있으며, 수도권 대학 선호 현상도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는 지방에서 교육을 받더라도 정주할 수 있는 환경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방 대학의 위기는 곧 지역 사회의 위기로 이어지며, 나아가 지역 소멸과 국가 경쟁력 약화로까지 확대되는 실정이다.

미국 매사추세츠에는 100여 개의 대학이 있는데, 대부분 정문 없이 지역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대학의 물리적 장벽이 없을 뿐 아니라 지역과 연계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하버드대학교는 보스턴의 올스턴(Allston) 지역과 캠퍼스를 잇는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MIT는 'Kendall Square Initiative'를 통해 AI·바이오·로보틱스 기업과 협력해 혁신 지구를 조성하고 있다. 스탠퍼드대학교는 구글, 페이스북, 테슬라 등과 협력하며 연구를 산업화하고 있고, 캠브리지대학교는 'Cambridge Science Park'를 통해 대학과 기업이 협력하는 연구 클러스터를 운영하고 있다. 암스테르담 대학교는 'Science Park Amsterdam'에서 공공 연구소, 스타트업, 글로벌 기업이 함께하는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는 'Helsinki Challenge'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자, 학생, 지역 주민이 함께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한국의 대학도 지역과 함께하는 개방형 캠퍼스를 조성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캠퍼스혁신파크 사업이다. 기존의 대학 캠퍼스는 학교 용지(校地)로 한정됐지만, 이제는 대학 내 산업단지를 조성할 수 있게 됐다. 대학, 기업, 지역, 지자체가 협력해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내 우수 인재가 정주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현재 전국 9개 대학이 캠퍼스혁신파크 사업을 진행 중이며, 한남대학교는 대한민국 최초로 이를 준공했다. 대학이 벽을 허물고, 지역과 함께 미래를 선도하는 것을 기대해 본다./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2.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3. 초록우산 박미애 본부장, '시낭송 상금' 100만 원 기부 귀감
  4.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5. 건보공단, 미혼 한부모가정 위한 따뜻한 지원 눈길
  1. 충남대, 중국약과대학과 협약…바이오 재료·약학 분야 공동 연구 추진
  2. 세종충남대병원, '당뇨병 예방과 공연' 이벤트..건강한 삶 이끈다
  3. 세종도시교통공사, 저출산·지방소멸 해결 위한 시민 소통 강화
  4. 세종테크노파크, 네트워킹데이 개최...입주기업 성장 돕는다
  5. 대전·세종 수출기업인들 '한 자리에'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