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 '세종시 입점' 요원… 스타벅스는 지속 확장세

  • 정치/행정
  • 세종

맥도날드 '세종시 입점' 요원… 스타벅스는 지속 확장세

신도시에만 집중 전략, 14개 운영 중...오는 5월 나성동 예당 인근에 15호점 예고
맥도날드는 여전히 신중한 접근...시 관계자 "DT점 고집 않는 분위기" 언급
스벅에 맞서 읍면동 지역에 선전하는 카페 등장...노호와 세컨드세컨드 눈길

  • 승인 2025-04-02 11:33
  • 수정 2025-04-02 17:50
  • 신문게재 2025-04-03 3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스벅
오는 5월 신규 오픈 예정인 예술의전당 앞 나성동 스타벅스점. 사진=이희택 기자.
신세계가 운영 중인 스타벅스가 세종시 곳곳으로 진출 루트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 이슈로 부각됐으나 여러 이유가 맞물려 진출조차 못하고 있는 '맥도날드'와 대조를 이룬다.

세종시는 상가 공실률과 역외 소비율, 토지 매매가 상승률 등의 영역에서 전국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어 '창업 및 개점'이 쉽지 않은 조건에 놓여 있다.

중도일보 취재 결과 스타벅스는 신도시 수요를 집중 공략하고 있다. 가람동(S-2) 이마트부터 ▲2생활권 4곳 : 한솔동, 나성동 첫마을, 새롬동, 다정DT ▲1생활권 5곳 : 도담동, 어진동(세종청사), 어진R, 아름동, 종촌동 ▲3생활권 3곳 : 소담동, 보람동, 대평동 금강DT ▲4생활권 1곳 : 반곡동까지 모두 14곳에 이른다.

여기에 오는 5월 나성동 세종예술의전당과 나성1교 앞쪽에 또 하나의 스타벅스 매장이 가세한다. 읍면지역에는 단 한 곳도 진출하지 않은 점이 눈길을 끈다.



스타벅스의 이 같은 신도시 공략은 음식점 방문 수치로 볼 때, 어느 정도 주효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관광공사의 관광데이터랩상 네비게이션(티맵) 방문 수치를 확인해보니,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간 스타벅스 다정 DT점(드라이브 스루)이 음식점 영역에서 산장가든(11만 2175회)에 이어 2위(7만 5637회)에 올랐다.

다음 순위에는 부강옥(7만 5573회)이 있었고, 어진동 테라로사(5만 5371회)와 메타45(5만 245회)가 뒤를 이었다. 메타45는 내부 사정으로 지난해부터 문을 닫은 상태다. 스타벅스는 7위 금강 DT점(3만 9116회)과 16위 소담점(2만 7844회), 27위 보람점(2만 2120회), 31위 아름점(2만 1018회), 35위 어진R점(2만 362회), 39위 첫마을점(1만 8610회) 등이 대거 포진했다.

그 사이에서 △13위 나성동 플레져(2만 9368회) △19위 연서면 에브리선데이 본점(2만 3951회) △24위 나성동 아우어베이커리(2만 3279회) △고운동 헤이믈(2만 2406회) △금남면 이도커피 3호점(2만 2020회) △40위 연동면 빈스텔라(1만 8555회) △고운동 그리너리(1만 6836회) △금남면 소소루(1만 6658회) △49위 써밋뮤(폐업, 1만 6546회)가 파고 들었다.

맥도날드가 눈여겨볼 부분은 버거킹 충남대병원 DT점(2만 1651회)과 행복새롬 DT점(2만 1046회)이 각각 29위와 30위에 오른 점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맥도날드는 지난해부터 세종시의 대응과 시의회의 공식 요구 등에 따라 적극적인 진출 루트를 찾고 있다. DT점을 고집하진 않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관광데이터랩
올해 1~3월 티맵 네비게이션 기준으로 세종시에서 가장 많이 찾은 음식업종 순위. 사진=한국관광공사 자료 갈무리.
2025년 음식업 업종의 판도 변화도 관심 있게 지켜볼 대목이다.

올해 1~3월 기준으론 부강옥(7244회)과 산장가든(6981회)이 나란히 1~2위에 올랐고, 금강 DT점이 금강 조망과 수용 규모 등에 힘입어 3위(6647회)로 올라섰다.

1월 오픈한 부강면 카페 '노호'의 기세도 무서웠는데, 5237회로 4위로 급부상했다. 5위에는 스벅 다정DT점(5182회), 9위는 어진동 테라로사(3144회), 17위에는 역시나 새로 오픈한 전동면 세컨드세컨드(2234회)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이어 전체 음식업종 50위권에는 이도커피 3호점과 스타벅스 아름점, 소담점, 장군면 그리너리, 연동면 빈스텔라, 금남면 시선293, 고운동 헤이믈, 투썸플레이스 고운힐데스하임점, 반곡동 오투커피, 투썸 대평펜트빌점, 스벅 어진R점 등이 뒤를 쫓았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유성복합터미널 경영은 누구에게? 사업권 입찰 소식에 교통업계 '관심'
  3. 진천고, 충주예성여고…교육부 신규 자율형 공립고 선정
  4. '차량에 보조장치' 세종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막는다
  5. [현장취재]충남대 총동창회 골프대회에서 학교 발전기금 2000만원 기탁
  1. '金金金金' 세종 장애인 유도선수단 잘 나가네~
  2. 충북 치료가능 사망률 전국 '꼴찌'…"지역 의료체계 강화 필요"
  3.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4. 자신이 볼보던 장애인 수당 빼돌린 요양보호사 실형
  5.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최대 25만㎡)과 국회 세종의사당(최대 63만㎡), 시민 공간(최대 122만㎡)을 포함한 210만㎡로 조성되는 '국가상징구역'. 국가상징구역에 대한 마스터플랜 공모가 29일 본격화하면서, 이의 주변 지역에도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국가 최고 권력 기관이 들어서는 입지 인근인 데다 사무공간과 상업시설, 오피스텔 등의 주거 기능, 공원, 문화, 교육, 휴식 등이 어우러질 시민 공간(역사+정신+정체성 내포)이 새로운 콘셉트로 등장한 만큼, 세종동(S-1생활권)과 6생활권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의 추가 도입과 세부 계..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