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3일, 하남교산 기업대책위와 간담회 개최 |
이날 간담회는 금 의장을 비롯해 박선미 의원, 하남시 기업인협의회 김승현 회장, 하남교산 기업이전 대책위(이하'대책위') 이희근 대외협상 단장 및 대책위 위원들과 하남시 관계부서, LH 등 사업시행자가 한자리에 모여 머리를 맞댔다.
논의사항은 ▲선이주 후철거 약속이행 ▲교산지구 본 단지 내 기업이전단지 요구 ▲교산 기업이전단지(광암, 상산곡) 개발이익 재투자 원칙 준수 ▲기업이전단지 내 공영주차장 건립 ▲입주업종의 명확화 등이다.
이외에도 ▲협의양도자도 블록형 주택지에 포함 될 수 있도록 지구단위계획 변경 건의 ▲건실한 중견기업 유치를 위한 부지마련 등을 제안했다.
특히 '대책위'는 중견기업 전용 비즈밸리 조성은 하남시를 명실상부 자족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 강조하고, 최근 조성된 고덕비즈밸리를 표준모델로 삼아 면밀히 분석해 적용할 것을 요청했다.
금 의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 2018년 하남 교산지구가 지정되어 정부는 '선이주 후철거','선교통 후입주'원칙을 제시하며, 하남시가 인구 50만 명의 명실상부 자족도시 청사진을 내놓은 바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구지정 후 7년 경과한 시점에서 기업이전부지의 진행은 지지부진한 것이 현실이라며, 이로 인해 오랜시간 하남시와 함께해온 토종기업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실정이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의 도시개발은 지역 주민의 의견을 도외시하고 시행사 위주의 신도시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며,"하남교산지구 만큼은 실수요자인 기업인의 입장에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성공적 기업이전을 위해 조속히 기업지원센터 설치로 창구를 일원화하여 기업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듣고 소통 부재로 인한 갈등을 최소화할 것"을 당부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박선미 의원은"과거 하남시는 미사·감일·위례 등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이뤄졌으나, 원주민과 기업이 만족하는 이주대책은 전무 했다"며,"이러한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LH 등 사업시행자는 지금이라도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책위 이희근 대외협력 단장을 비롯한 위원들은 "선이주 후철거 약속은 불이행 중이고 LH에서는 필지와 관련하여 뚜렷한 기본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하며,"기업이전 관련 공감대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간담회를 실시하여 소통해 나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금광연 의장은 간담회에서 논의된 대책위 요구사항에 대해 하남시 관련부서, LH등 사업시행자에 의견을 받아 답변내용을 토대로 추후 대책위 등과 간담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하남=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