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킬레스베르크 공원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
멀리 내다보고 한걸음, 한걸음씩 내딛는 독일인의 강점은 이 곳 킬레스베르크 공원 곳곳에도 녹아 들었다. 가장 큰 자산은 울창한 숲과 산림에 있다. 또 다른 사례는 1939년 첫 조성 당시부터 고려해온 요소들에서 찾을 수 있다.
당장 입구부터 공원 곳곳을 오가는 '숲길 트램'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공원 곳곳을 어드벤처형으로 누빌 수 있다는 게 큰 매력 포인트다. 비록 전기 트램(32인승) 모델이 최신식은 아니었으나, 폭 38cm 선로에 놓인 아담한 사이즈로 공원 전반의 힐링 분위기에 잘 녹아 들었다. 운영 거리는 총 2.1km고, 연간 이용객은 10만 명 이상이다.
![]() |
공원의 상징 교통수단인 트램. |
![]() |
공원 곳곳의 아주 작은 면적만 차지하며 이동하는 트램 선로. |
트램에 이어 또 다른 랜드마크인 높이 40m 타워도 그야말로 도전과 끈기의 상징물이다. 1939년부터 기획했으나 번번이 재정 문제에 발목을 잡혔고, 1970년 대 작은 타워로 시작해 1993년 재도전 실패 후에도 포기는 없었다. 결국 두드리면 문은 열렸다. 한 사립재단이 기부에 나서 62년 만인 2001년 현재의 모습을 갖출 수 있었다. 중앙공원 도시 전망대는 16m 높이다.
![]() |
40m 전망 타워. |
![]() |
이번 방문 이전 진해된 라이트 쇼 설명 자료. |
바베큐와 음주 금지, 자전거 통행 제한은 공원 그 자체의 기능 극대화에 초점을 맞춘 조치다.
공원 관계자는 "채석장에서 변화한 킬레스베르크는 공원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기억과 휴식, 문화, 만남의 장소다. 과거와 현재가 조화롭게 공존하면서, 녹지 벨트로 지속가능한 도시에 기여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세종시는 이번 방문 기간 슈튜트가르트시와 우호 협력 의향서(LOI)를 체결하고, 앞으로 킬레스베르크 공원부터 맥주와 와인 문화 등의 접목을 지속 시도하기로 했다.
독일=이희택 기자 press2006@
![]() |
공원 내 아이들 놀이터. |
![]() |
정원 풍경. |
![]() |
슈투트가르트의 상징 '말' 조각상.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