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주시청. |
현재 총 270명의 1인 고립 가구가 이 서비스를 통해 따뜻한 안부를 전해 받고 있으며, 위기 상황 여부도 함께 모니터링되고 있다.
26일 시에 따르면 'AI 안부콜 서비스'는 행정안전부 주관 '2025년 읍면동 스마트 복지·안전서비스 개선모델 개발 지원사업'에 선정돼 국가 예산을 지원받아 진행되고 있다.
AI 안부콜은 첨단 인공지능이 취약계층에 정기적으로 전화해 안부를 확인하고, 일상적인 대화를 통해 정서적 교감을 나누는 서비스다.
대상자의 말투나 응답 속 단어 등 대화 패턴을 분석해 평소와 다른 위기 징후를 감지하고 대화 내용도 텍스트로 기록돼 언제든지 읍면동 담당자가 특이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AI 안부콜 서비스는 주 2회 정기적으로 발신하며, 대상자가 전화를 미수신하면 AI가 총 4회의 전화를, 관제센터 모니터링 직원이 추가 3회 발신하도록 설정돼 있다.
총 7차례 발신에도 대상자가 응답하지 않을 경우, 지체 없이 해당 읍면동행정복지센터로 통보돼 즉시 현장 확인과 필요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긴밀한 협력 체계가 이뤄지고 있다.
시는 이번 서비스 도입으로 복지 인력의 한계를 보완하고, 대상자가 위급한 상황에 처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해주는 촘촘한 안전망 역할을 돕고 있다.
조길형 시장은 "행정안전부 공모사업 선정을 통해 충주시가 앞선 기술로 고립 가구의 삶을 살피는 모범적인 사례를 만들고 있어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도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대상자를 확대해 복지 사각지대와 고립 가구가 소외되지 않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따뜻한 AI 복지공동체'를 구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