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28일 분양 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7월 전국 평균 1순위 청약 경쟁률은 9.1대 1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10월(9.0대 1)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또 전국 평균 청약 경쟁률이 10대 1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24년 5월(9.5대 1) 이후 14개월 만이다.
리얼하우스는 "수도권의 주택담보대출 금액 한도를 최고 6억원으로 제한하는 내용 등을 담은 6·27 대책이 청약 시장을 위축시켰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서울의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6월 99.0대 1에서 7월 88.2대 1로 떨어졌다. 동대문구 제기동 '제기동역 아이파크'가 평균 92.2대 1로 높은 가장 경쟁률을 기록했다.
반면, 지방의 청약 평균 경쟁률은 2대 1 이하였다. 충청권에선 충남 아산의 '아산 신창1차 광신프로그레스'가 450세대 모집에 단 3명만 청약 접수했다.
이밖에 강원 '춘천 동문 디 이스트 어반포레'(0.5대 1), 경남 '트리븐 창원'(0.4대 1), 광주 '무등산 경남아너스빌 디원'(0.1대 1) 등도 저조한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를 두고 지방 양극화가 가속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수도권의 경우 고분양가 논란에도 꾸준히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어서다. 충청권을 포함한 지방은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있는 반면, 수도권은 여전히 공급이 부족해 수요가 꾸준해 경쟁률이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6·27 대출 규제로 수도권 청약 경쟁률이 전반적으로 낮아졌지만, 지방보다는 월등히 높은 수준이어서 양극화는 더욱 심화하고 있다"며 "수도권 공급에 청약 수요가 쏠리는 만큼, 지방을 위한 정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