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7월 주택 매매거래량.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
1일 국토부가 발표한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6만 4236건으로 전달(7만 3838건)보다 13% 줄었다. 이는 작년 동월(6만 8296건)보다 5.9% 감소했다.
거래량 감소는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수도권은 전월 대비 19.2% 하락했는데, 서울이 15.5%, 인천과 경기가 각각 22.7%, 21%씩 줄었다. 강남 4구는 오히려 4.1%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에서는 2만 9531건으로 전월(3만 871건)보다 4.2% 감소했다. 충청권에선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대전은 1596건으로 전월(1723건)보다 7.4% 줄었고, 세종은 446건으로 전월(471건)보다 5.3% 하락했다. 충남은 8.6%, 충북은 2451건으로 전월(2453건)보다 2건 줄면서 0.1% 감소했다.
이 같은 거래량 감소는 미분양 심화와 매매가격 하락을 부추겼다는 분석이다. 7월 대전의 미분양 주택을 보면 1514세대로 전월보다 149세대 줄었지만, 충남은 4289세대로 29세대 늘었다. 충북은 173세대 증가한 2058세대를 기록했고, 세종은 57세대로 전달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수도권 대출 규제에 따른 부동산 시장 관망세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매매량이 줄어드는 현상은 실수요자까지 거래에 나서지 않고 시장을 관망하고 있는 것인데, 정부 고강도 대출 규제와 고금리 기조가 겹쳐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이유에서다.
기준금리 동결도 관망세 영향 요소 중 하나다. 최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는데, 부동산과 가계대출 등 금융시장이 불안정성을 고려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르면 이주 중 발표될 이재명 정부의 첫 주택 공급 대책에 관심이 쏠린다. 업계 전문가들은 실효성 있는 공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대전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현재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이 짙어지면 주택시장이 잔뜩 움츠러들 수밖에 없다"며 "향후 발표될 이재명 정부의 주택공급대책이 부동산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