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 화재로 공직자이메일 접속이 차단돼 업무에 차질이 빚어졌다. (사진= 대전 자치구) |
업무량이 적은 공휴일이라 피해는 제한적이었지만, 월요일을 앞두고 행정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공공 업무 차질 우려에 긴장감을 키웠다.
28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부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해 비상대책회의를 진행했다. 화재로 인한 전산망 중단, 오류 피해를 전반적으로 확인하고 복구 가능한 시스템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5개 자치구 역시 긴급 회의를 열고, 사업 추진이나 복지 지원 시스템 등 주민 피해 우려에 대응했다. 담당 공직자들은 주말 내내 출근해 실시간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유성구는 오전 부구청장 주재로 현안 진단 긴급 회의를 개최해 이용이 어려워진 시스템으로 인한 피해 상황을 공유, 당장 월요일부터 진행되는 구민 민원 시스템 오류 시 발생할 상황을 판단했다.
특히, 전산망 복구 이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오류를 대비하고자 구민 이용이 가장 많은 행정센터나 민원실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담당자들은 주말을 반납하고 대기했다.
서구도 오전과 오후 두 차례 회의를 진행했다. 오전 재난안전과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상황을 파악, 오후 4시에는 부구청장 주재로 긴급 회의를 열어 지속적으로 내용을 공유하고 대비했다.
또, 전산망 마비가 월요일 업무에 영향을 미칠 것을 대비해, 담당자들은 개인 노트북을 지참해 근무하기로 했다
이번 화재로 대전시 행정 시스템도 직·간접적 영향을 받았다.
공무원 업무와 관련된 공인인증(GPKI), 온나라시스템, 공직자이메일 '@korea.kr'도 멈췄다.
이로 인해 주말 근무자들의 업무에 차질이 빚어졌다.
화재 다음날인 27일 전국 지방자치단체 행정 전산망인 '새올 지방행정정보시스템' 로그인 과정에서 작은 오류가 났다.
행정 정보 시스템(새올)에 접속하려면 GPKI를 인증해야 한다. 그런데 공인인증서를 검증하는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한 것. 다행히 공인인증서가 아닌 아이디를 통한 로그인 통로는 막히지 않으면서 행정당국은 해당 내용을 전체 공지한 상태다.
그러나 정부 전 부처가 사용하는 전자문서 결재 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과 공직자 이메일 접속이 안 되면서 업무 과정에서 난항을 겪어야 했다.
대전의 한 자치구 담장자는 "이메일이 막히면서 주말에 언론에 배포해야 하는 보도자료를 내보내지 못하고 있다"라며 "자료 배포를 위해 PC방을 가려 한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우선 복구되는 551개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고 전 상황으로 복구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화재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층 7-1 전산실 시스템(96개)의 복구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