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청 전경<제공=탕원시> |
매년 수억 원이 투입되고 있지만, 홍보의 방식과 구조가 달라지지 않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김이근 의원은 "홍보 콘텐츠 제작에 매년 6억 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되는데 전문 인력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외주 중심의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예산이 늘어도 내부 역량이 쌓이지 않으면 결국 결과는 같다"며 홍보 체계의 자생력 부재를 문제로 꼽았다.
공보관 담당자는 "한 명이 모든 분야를 다 맡을 수 없기 때문에 각 분야별 전문업체에 맡기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 답변은 3년째 같았다.
성과 데이터는 없었고, 내부에서 결과를 평가할 지표도 제시되지 않았다.
예산은 매년 투입되지만, 그 결과를 설명할 근거는 남지 않았다.
김영록 의원은 "뉴미디어팀이 자체적으로 아이디어를 내고 기획한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시민 반응이 반영되는 구조는 없다"고 지적했다.
공보관 담당자는 "직원들끼리 의견을 조율해 논의 후 결정한다"고 답했으나, 외부 검증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다.
결국 내부 자율 구조가 자가발전으로만 순환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김기영 의원도 "SNS 홍보가 시민 참여보다 게시 의무로 변질됐다"며 "행정 언어로 시민과 대화하겠다는 구조 자체가 한계"라고 말했다.
창원시 SNS 채널은 매일 콘텐츠를 올리지만, 시민 참여나 반응이 축적된 데이터는 어디에도 없었다.
'소통'이라는 단어를 쓰지만, 실제 행정 구조는 여전히 '송출'에 머물러 있었다.
공보관이 감당해야 할 건 예산이 아니라 신뢰다.
조회수보다 중요한 건 시민이 남긴 한 문장의 반응이다.
도시는 오늘도 말을 걸고 있지만, 그 말은 여전히 되돌아오지 않는다.
행정이 진짜 홍보를 시작하는 순간은, 시민이 먼저 응답할 때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