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옛 판암파출소 건물. 2020년 이전 이후 5년째 방치돼 있다.(사진=이승찬 기자) |
경찰 조직 개편으로 대전에서 파출소와 지구대를 폐지·통합하는 과정에서 남은 청사들이 활용처를 찾지 못한 채 공실로 남아 있다. 공공청사가 단순 매각 대상으로 처리되면서 장기간 흉물로 전락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옛 중부경찰서마저 활용 계획 없이 비어 있어 우려를 사고 있다.
15일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운영하는 공공자산 거래 시스템 '온비드'에 따르면, 대전에서 경찰의 지구대나 치안센터로 사용된 후 용도 폐지돼 매물로 나온 공공청사 10건이 조회된다. 동구 인동에 위치한 옛 인동치안센터부터 옛 산성치안센터, 중구 유천2치안센터를 비롯해 가장 최근까지 경찰 근무지로 사용된 옛 유등지구대까지 다양하다. 이 중 옛 산성치안센터 등은 입찰이 거듭 유찰돼 매각이 이뤄지지 않았다.
폐지된 파출소·지구대 부지와 건물은 국유재산 관리기관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 이관된다. 이후 캠코는 해당 부지를 민간에 임대·매각하거나 지자체와 협력해 공공용도로 재활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매각이 되지 않아 옛 판암파출소처럼 장기간 방치돼 지역의 흉물로 남는 사례가 적지 않다.
앞서 대전 중구 은행동에서 운영되던 옛 중앙로지구대도 2010년 4월 지역경찰 체계 개편으로 폐지돼 4년간 쓰임을 찾지 못하고 방치되다 2014년 6월 가까스로 청소년 치안 교육장소로 전환됐다.
![]() |
9월 22일 대전중부경찰서가 나라키움 대전통합청사 내 독립청사로 이전했다. 왼쪽은 옛 대전중부경찰서 빈 건물, 오른쪽은 이전한 대전중부경찰서 건물.(사진= 이승찬 기자) |
선화동 주민 김모(61)씨는 "건물이 방치되면 보기가 좋지 않다"며 "공공건물이나 활용 방안을 찾아 운영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대전경찰청 관계자는 "옛 중부경찰서 건물 활용에 대해 결정된 바 없어 한국자산관리공사로 이관할 예정"이라며 "추후 행정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기획재정부와 협의 후 사용 승인을 다시 받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승찬 기자 dde0615@
![]() |
옛 대전중부경찰서 건물. /사진=이승찬 기자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