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청 전경<제공=창원시> |
자료 배포 경로가 특정 언론 중심으로 굳어져 있으며, 언론 간 형평성이 무너졌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김영록 의원은 "보도자료가 특정 언론에 먼저 배포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며 "공보의 기본은 공정한 접근성인데 행정이 스스로 편향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누가 먼저 받느냐보다 중요한 건 모두가 동시에 알 수 있는 구조"라며, "정보 공개의 시차 자체가 행정 신뢰도를 흔든다"고 지적했다.
공보관 담당자는 "언론사 요청과 취재 편의를 고려해 배포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명확한 기준이나 내부 매뉴얼은 존재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보도자료 배포는 담당자 재량에 의존했고, 그 재량이 행정의 중립성을 흔드는 통로가 됐다.
김이근 의원은 "시민의 알 권리를 특정 채널이 독점하는 구조"라며 "공보는 언론 관리가 아니라 정보 평등의 실천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도자료를 동시에 공개하는 플랫폼을 마련해 배포 순서를 없애야 한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공보관 담당자는 "현재 시스템에서는 즉시 적용이 어렵다"고 답했다.
보도자료는 행정 언어이자 시민과의 첫 접점이다.
그 문이 특정 방향으로만 열리면, 행정은 스스로 투명성을 잃는다.
누가 먼저 기사를 쓰느냐보다,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구조가 더 중요하다.
김기영 의원은 "행정이 언론을 선택하는 순간, 그 행정은 이미 여론을 편집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는 단순한 표현이 아니라, 행정 공보 근본을 묻는 경고였다.
공보관이 쥔 자료 순서가 곧 신뢰 순서다.
모두에게 동시에 열리지 않는 공보는, 결국 닫힌 홍보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