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청 전경<제공=창원시> |
재난이 터질 때마다 알림이 늦고, 내용은 불명확했다.
김이근 의원은 "작년 집중호우 당시 첫 공지가 2시간 후에 올라왔다"며 "시민이 민간 커뮤니티로 정보를 얻었다"고 말했다.
공보관 담당자는 "현장부서와의 협조가 늦었다"고 답했다.
그러나 '협조 지연'은 매번 같은 이유였다.
속기록에 따르면 재난대응 매뉴얼에는 '즉시 공보관실 보고 및 게시'가 명시돼 있었지만, 실제 게시까지 평균 1시간 40분이 걸렸다.
시민보다 늦은 행정은 위기 대응 의미를 잃는다.
김영록 의원은 "비상대응의 핵심은 속도"라며 "승인 절차를 단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보관 담당자는 "내부 승인 단계를 재검토하겠다"고 답했지만, 실행 일정은 없었다.
위기 대응은 업무가 아니라 존재의 이유다.
시민이 먼저 움직이는 도시에서 행정의 말은 이미 늦었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