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정현 부여군수가 20일 오전 간부회의에서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충남 분원 기공식과 관련해 "부여군이 주도적으로 추진한 사업이 충남도 주관으로 왜곡됐다"며 강한 유감을 표명하고 있다. (사진=부여군 제공) |
박 군수는 "이번 비건 레더 바이오소재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은 부여군이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직접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추진한 사업"이라며 "충남도는 행정적 지원기관으로 협력했을 뿐, 주체가 아니었다"고 밝혔다.
박 군수는 이어 "기공식 현장 무대의 홍보용 간판과 홍보 영상, 그리고 충청남도에서 배포한 보도자료까지 모두 '충남이 주도한 사업'처럼 구성돼 있었다"며 "이는 사실과 다르고, 부여군 공무원들의 노력을 가린 부적절한 행정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한 "작은 기초지자체인 부여군이 선제적으로 기획하고 추진한 사업이 광역지자체 이름으로 둔갑한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충청남도는 이 사안을 바로잡고 정확한 사실관계를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군수는 "우리 부여군 공직자들이 노력해 추진한 사업의 성과가 상급기관의 이름 아래 사라지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며 "앞으로 어떤 사업이든 주체적 역할과 공헌이 명확히 드러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안은 단순히 기관 간 공로 논란이 아니라, 기초지자체의 산업정책 추진 주체성을 지키려는 부여군의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부여군은 그동안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분원 유치를 위해 수년간의 행정 절차, 부지 확보, 연구기관 협약 등 실질적인 기반을 마련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공식이 충남도 중심의 홍보로 진행된 것은 지역의 주도권을 약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군이 강하게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박정현 군수가 강조한 것처럼, "작은 기초지자체의 노력이 상급기관의 이름 아래 묻히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발언은 지역의 자립적 행정 운영과 공정한 성과 인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