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여군청 전경 |
군에 따르면, 2022~2023년에 착수한 사업군은 평균 80% 안팎의 집행률을 기록하며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또한 2024년 사업군은 약 50%의 집행률을 유지하며 설계, 인허가, 착공, 운영 준비 등 다단계 절차를 병행해 추진 중이다.
특히 '농촌근로자 기숙사 건립사업'은 약 90%의 집행률을 달성하며 10월 1일 준공식을 마쳤다. 잔여 예산은 시설 보강과 초기 운영 안정화에 재투입해 실질적 정주 여건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도농 교류와 귀농·귀촌 유입을 위한 '부여 서울농장 활성화 사업'과 '귀농·귀촌 정착 프로그램'은 이미 전액 집행을 완료해 운영 및 후속 관리 단계로 전환됐다. 이와 함께 ▲백마강변 반산저수지 실감형 디지털 테마파크 조성 ▲백마강 123사비 청년공예마을 활성화 ▲공립 치매전담형 종합요양시설 건립 ▲규암나루 청년 임대주택 ▲스마트농업 실습농장 조성 등 주요 사업도 공정 조정과 품질 확보를 병행하며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2025년 지방소멸대응기금 신규 사업으로 확정된 '우리아이 동행마루'와 '부여 서울농장 고도화 굿뜨래스토리팜 조성'은 지난해 말 기금 심의를 통해 선정됐으며, 현재 부지 검토 및 기본구상 수립 등 사전 행정 절차가 순차적으로 진행 중이다.
부여군은 단순한 집행률 관리에 그치지 않고, 사업 이후의 운영 안정성과 지역 실효성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기금이 살아 움직이는 지역 회복 모델'을 완성하겠다는 것이 군의 복안이다.
군 관계자는 "정주 환경과 주거, 돌봄, 청년 활동 등 생활 기반을 균형 있게 확충해 기금의 실효성을 높이겠다"며 "2026년 기금 확보도 예산 절차와 사전 협의 단계부터 철저히 준비하고, 필요한 행정 대응에는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여군의 지방소멸대응기금 운영은 단순한 예산 집행이 아닌 지속가능한 인구 정착 기반 구축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초기에는 행정과 재정 조정의 복잡성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단계별 사업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착시키면서 '속도와 안정'을 동시에 잡은 사례로 평가된다.
특히 농촌 근로자 주거, 청년공예마을, 디지털 관광 콘텐츠 등 산업·문화·정주가 결합된 종합적 접근은 지방소멸 위기 대응의 선도적 모델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