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전쟁 기억은 사람에서 유적으로, 한국은 어떤가요?"

  • 사회/교육
  • 이슈&화제

"일본에서 전쟁 기억은 사람에서 유적으로, 한국은 어떤가요?"

일본전쟁유적전국네트워크 데하라 케이조 공동대표

  • 승인 2025-10-20 17:26
  • 신문게재 2025-10-21 6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1196
데하라 케이조 공동대표(사진 가운데)와 나가부치 아키코(왼쪽), 이와와키 아키라 씨 등 (사)일본전쟁유적전국네트워크 임원과 회원을 인천시 부평에서 만났다.  (사진=임병안 기자)
"일본에서는 전쟁에 대한 기억이 사람에게서 유적과 사물로 넘어가는 과정이에요. 80년 지나 생존자가 거의 남지 않아 유적보존 중요성을 이제 눈뜨기 시작했죠. 한국은 어떤가요?"

(사)일본전쟁유적전국네트워크의 데하라 케이조 공동대표 10월 19일 인천시 부평구에서 열린 '일제전쟁유적네트워크' 1차 전국대회에 친선으로 참석해 이렇게 질문을 던졌다. 그는 일본 열도를 이루는 네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 고치현에서 전쟁유적을 발굴하고 시민들에게 알려 침략전쟁 반성을 잊지 말자는 시민 활동가다. 그는 평화자료관 '초가집(草の家)'을 운영하고 있다. 그의 설명에 의하면 일본 대본영은 침략전쟁인 아시아태평양전쟁(1931~1945)이 종점에 임박한 시기에 미군이 고치현으로 상륙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하고, 바다를 향해 펼쳐진 고치현 곳곳에 방공호와 비행장, 레이더기지 그리고 카미카제 특공대 기지까지 집중적으로 만들었다. 실제 상륙 전투는 없었고 일본의 항복으로 태평양전쟁은 종료됐다. 그리고 이곳에 남은 전쟁 시설도 흙 또는 덤불 속에서 풍화돼 사라지거나 개발로 흔적마저 지워지고 있다.

IMG_1186
(사)일본전쟁유적전국네트워크 임원과 회원들이 부평 지하호를 견학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데하라 게이조 공동대표는 "일본에서도 전쟁유적을 문화재로 지정해 보존하는 곳도 있지만 무척 적고, 상당수 장소와 유적은 사라졌거나 기억에서 잊히고 있다"라며 "침략전쟁이었고, 같은 전쟁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기억을 교육하기 위해 전쟁유적을 조사하고 연구해 보존 가치를 시민들에게 알리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전쟁에 대한 기억이 지금까지 사람으로부터 계승되었다면 1945년 종전 후 80년이 흐른 지금은 생존자는 줄어들고 유물밖에 남지 않았다"라며 "일본에서는 전쟁 기억이 사람에게서 유물로 옮겨졌다 여기고 전쟁유적에 비상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라고 밝혔다.



그는 전날 이뤄진 일제전쟁유적네트워크 전국대회 심포지엄부터 이날 부평구와 인천시 일원의 전쟁유적 탐방에 동료 2명과 동행했고, 부평의 지하호에서는 일본 고치현의 것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전쟁시설은 일본 본토보다 조선에서 먼저 조성되기 시작했는데 침략전쟁이었음을 명백하게 보여주는 것"이라며 "전쟁유적을 보존해 반성의 기억을 계승하는 것은 평화의 방파제를 만드는 일"이라고 밝혔다. 기자는 데하라 케이조 공동대표 일행이 다음에 대전을 방문해 줄 것을 요청하고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인천 부평=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연수구, 지역 대표 얼굴 ‘홍보대사 6인’ 위촉
  2.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3. 일단 입학만 시키자?…충청권 대학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 급증
  4. '날뛰는' 허위 폭발물 협박신고… 아산·광주·인천 등 학교 겨냥
  5. [홍석환의 3분 경영] 누구를 선택하는가?
  1.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공기업, 패션 디자인…다양한 진로를 고교부터 준비
  2. '내신 5등급제 첫 적용' 충청권 고1 1학기 학교성적 상승
  3. 지역과 상생하는 '빵의 도시 천안'…대한민국 대표 빵 축제로 도약
  4. 천안시, 긴급차량 천안·아산 경계 넘어도 '끊김 없는 우선신호' 지원
  5. 국제와이즈멘 한국서부지구 대전지방 연수회, 현충원에서 열리다

헤드라인 뉴스


李 대통령 “2030년까지 국방·항공우주 R&D 대대적 예산 투입”

李 대통령 “2030년까지 국방·항공우주 R&D 대대적 예산 투입”

이재명 대통령은 20일 “2030년까지 국방 R&D, 항공우주 R&D에 예상을 뛰어넘는 대대적인 예산을 투입해 미래 국방을 위한 핵심기술과 무기체계를 확보하고 독자적인 우주개발을 위한 역량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국내 최대규모 방위산업 전시회인 'ADEX 2025' 개회식 축사를 통해 “방위산업 4대 강국은 결코 불가능한 꿈이 아니다. 이미 민간의 기술력과 발전 속도는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국방개혁에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

"편의점도 줄어든다"... 인건비 부담에 하락으로 전환
"편의점도 줄어든다"... 인건비 부담에 하락으로 전환

편리함의 대명사로 불리는 편의점 수가 대전에서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어려운 경기 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늘던 편의점 수가 줄어든 것은, 과포화 시장 구조와 24시간 운영되는 시스템상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며 폐점을 선택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8월 현재 대전의 편의점 수는 1463곳으로, 1년 전(1470곳)보다 7곳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새 7곳이 감소한 건 눈에 띄는 변화는 아니지만, 매년 단 한 곳도 빠짐없이 줄곧 늘던 편의점이 감소로 돌아서며 하락 국면을 맞는..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직원 3명의 징계 처분으로 이어진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 선임 논란이 2025 국정감사에서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2월 임명 초기 시의회와 1라운드 논쟁을 겪은 뒤, 올해 2월 감사원의 징계 처분 상황으로 2라운드를 맞이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서울 구로 을) 국회의원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세종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작된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 공교롭게도 첫 질의의 화살이 박영국 대표이사 선임과 최민호 시장의 책임론으로 불거졌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 2월 12일 이에 대한 감사 결과 보고서를 공..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