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농촌진흥청 제공 |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러한 내용의 2024년 농촌관광 실태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년 주기로 이뤄지는 국가승인통계로 2025년 6월 23일부터 8월 8일까지 전국 15세 이상 국민 5100명을 대상으로 5개 부문 61개 항목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2024년 한 해 동안 농촌관광을 경험한 국민 비율은 43.8%로 2022년 35.2%보다 8.6% 증가했다. 관광객들이 농촌을 찾는 주요 이유는 '일상탈출·휴식·치유(54.0%)'와 '즐길거리, 즐거움을 찾아서(8.2%)'였다. 농촌관광 평균 횟수는 연간 1.9회로 2022년 2.4회보다 줄었으나, 숙박이 0.5회에서 0.7회로 소폭 늘어 체류형 상품 개발이 요구된다.
관광객 대부분은 '자가용(90.9%)'을 이용해 농촌을 찾았으며, 함께 가는 사람으로는 '가족·친지(63.7%)'가 가장 많았다. 농촌에서의 활동으로는 '농촌 지역 맛집 방문(47.4%)'이 가장 많았고, '농촌체험활동(30.3%)'과 '농·특산물 직거래(28.9%)'가 뒤를 이었다.
이용 숙박시설로는 '농촌 민박(34.2%)'이 가장 많이 이용됐으며, '펜션(32.5%)'과 '야영(22.4%)'이 뒤를 이었다. 숙박시설 선택 시 '주변 경관(26.6%)'과 '시설 편리성(24.3%)'을 중시했다. 반려동물 동반 비율은 7.8%로, 대부분 반려견(98.4%)이었다.
농촌 관광객의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숙박시설 청결도(80.3점)', '운영자·직원 친절성(76.1점)', '부대시설 이용 편리성(75.8점)' 등다. 반면 '관광지 및 체험 프로그램 안내자료 제공(71.0점)', '안전시설 및 장비 구비 상태(70.3점)', '마을 및 체험 관련 해설 안내(68.6점)'는 만족도가 낮았다.
농촌지역과 관계를 맺고 활동을 한 농촌 관계인구 비율은 32.3%로, 2022년 28.7%보다 3.6%p 증가했다. 농촌 휴가지 원격근무(워케이션)는 29.6%가 알고 있으며, 17.5%가 이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윤순덕 농촌환경안전과장은 "이번 조사로 농촌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숙박 형태와 체험 수요 등 농촌관광 형태가 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농촌관광 수요 변화를 자세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방문과 교류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은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