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병도 예산결산특별위원장 접견 모습./부산시 제공 |
박 시장은 12일 오후 국회를 방문해 한병도 예산결산특별위원장, 박형수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국민의힘 간사,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잇달아 만나 지역 핵심 사업의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
이번 방문에서 박 시장은 항공, 항만, 반도체, 미래차 등 지역 주력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주요 현안 사업을 중심으로 내년도 국비가 충분히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덕도 신공항 건설사업의 예산이 2026년 정부안에 반영된 6889억 원으로 원안대로 유지돼야 2026년 정상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가 부지조성공사 공기 조정 등 사업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는 중이다.
또한, 시의 오랜 숙원인 낙동강 유역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이 본격 착수하기 위한 설계비 19억 2000만 원의 반영을 요청했다.
미음산단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차세대 항공 기체부품 첨단제조 실증지원 사업에는 내년도 인프라 구축비 30억 원이 반영되면 동남권 항공산업벨트 기반이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극한·극지 환경용 화합물반도체 제조 인프라 구축사업과 실리콘카바이드(SiC) 고효율 전력반도체 기판분석센터 조성사업에 각각 25억 원의 국비 신규 반영을 건의했다.
이 사업들은 전력반도체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 산업 생태계 조성과 기술 자립도 제고에 필수적이라고 박 시장은 언급했다.
부산항 물류 효율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자율주행 기반 스마트항만 모빌리티 허브 구축사업 장비 구축비 50억 원 반영을 요청했다.
미래차 전용플랫폼지원 XR 기반 디지털트윈시스템 구축사업 핵심 실증장비 구축을 위해 현재 정부안보다 29억 원 증액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의료, 인공지능(AI) 분야에서도 균형발전 관점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수도권에 집중된 첨단치료 인프라를 지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양성자치료센터 구축 지원 기획비 3억 원을 신규 반영 요청했다.
해양 특화산업의 AI 전환(AX) 추진을 위한 웨이브(WAVE) 프로젝트 사업 기획 예산 10억 원이 추진 기반 마련을 위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에 제안한 사업들은 부산이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역 현안 해결과 미래 성장 기반 확보에 직접 연결되는 만큼, 국회 심사 과정에서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